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남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양식 = Pottery Styles and Their Archaeological Implication : Initial Phase of Neolithic Period in Eastern and Southern Coast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9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새로운 자료와 편년 연구 성과에 기초해 신석기시대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조기 단계 토기 양상을 재검토하고 양식 차원에서 종합화한 것이다. 최근 조사된 울진죽변 유적의 토기상...

      본고는 새로운 자료와 편년 연구 성과에 기초해 신석기시대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조기 단계 토기 양상을 재검토하고 양식 차원에서 종합화한 것이다. 최근 조사된 울진죽변 유적의 토기상은 기존에 강원 영동지역과 남해안지역으로 양분되어 있던 신석기 조기 단계 토기상의 중간 지대를 공간적으로도, 형식학적으로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자료이다. 죽변의 토기상은 기존의 신석기시대 조기 중에서도 중엽 단계로 판단되었으며, 특징적인 내만구연옹과 내절구연옹의 검토를 통해 발과 옹의 세트관계가 정립된 양상임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발과 옹의 세트는 현재까지 동해안지역에서 가장 이른 유적으로 평가받는 오산리 C지구 최하층의 기종 조성에서 연원을 구할 수 있었으며, 오산리 C지구 최하층의 일상용 발과 적색마연 횡공 파수부발 세트가 기존의 오산리식 토기와 죽변유적 토기의 기종 조성으로 각각 이어진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 조기 단계 토기를 양식(style) 차원에서 종합화하여 결론적으로 오산리 양식(하층 양식 및 중층 양식), 죽변 양식, 동삼동양식(융기문토기)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각 양식은 대체로 동해안 중부, 중남부, 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토기 양식이 의사소통의 기능을 가진다는 서구의 양식 논의 성과에 기초해 이와 같은 세 가지 양식은 서로 다른 집단의 정체성의 표현 결과일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양식의 표출은 토기, 석기 등 서로 다른 물질문화 영역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지적하였는데, 이는 생업이나 환경적 공통성에 기반한 석기상의 공통성과 집단의 정체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수단이 되는 토기상의 차별성을 서로 대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 조기 단계의 토기상을 세 가지의 큰 양식으로 설정함으로써 향후 조기 단계 집단의 동태를 파악하는 기본적인 틀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existence of three different pottery styles during initial phase of Korean Neolithic period : mid-eastern, southeastern, southern region respectively. These three areas sh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 compositi...

      This paper focuses on the existence of three different pottery styles during initial phase of Korean Neolithic period : mid-eastern, southeastern, southern region respectively. These three areas sh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 composition reflecting common subsistence patterns and environment: mainly toolkits of fishery. But pottery styl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Osanri pottery style, Jukbyeon potte1y style, Dongsamdong pottery style. Osarui style is characterized by bowls(발) and pots(옹) decorated in various design motifs of impression. Jukbyeon style also has bowls and pots, but there s little decoration on potteries. Instead, there are a lot of red slip pottery in Jukbyeon. Dongsamdong style is composed mainly by bowls and applique style of design. These differences of pottery style might be the result of expression of group identity. Common toolkits and different pottery style means that the expression of group identity is differentiated by the different domains of various material cul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동해안과 남해안의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편년
      • Ⅲ. 죽변 유적 토기 검토
      • Ⅳ. 동·남해안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양식 三者와 고고학적 의미
      • 요약
      • Ⅰ. 머리말
      • Ⅱ. 동해안과 남해안의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편년
      • Ⅲ. 죽변 유적 토기 검토
      • Ⅳ. 동·남해안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양식 三者와 고고학적 의미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영, "한반도 중동부지역" 2006

      2 삼한문화재연구원, "울진 죽변리 유적" 2012

      3 고동순, "양양 오산리 C지구 조기문화층 출토 적색마연토기에 대한 검토, In 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2012

      4 김장석, "양식의 고고학, In 樣式의 考古學" 2008

      5 김은영, "러시아 연해주와 주변지역 신석기시대 전기 토기의 편년과 동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6) : 55-101, 2010

      6 고동순, "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In 한반도 신석기시대 지역문화론" 2009

      7 하인수, "동해안지역 융기문토기의 검토『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2010

      8 하인수, "동해안지역 융기문토기의 검토" 한국고고학회 2011

      9 하영중,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석기 검토 울진 죽변리유적 출토 석기 중심으로 『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2010

      10 고동순, "동해안지방의 오산리식토기와 융기문토기의 층위 검토, In 한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 전개" (재)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1 김은영, "한반도 중동부지역" 2006

      2 삼한문화재연구원, "울진 죽변리 유적" 2012

      3 고동순, "양양 오산리 C지구 조기문화층 출토 적색마연토기에 대한 검토, In 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2012

      4 김장석, "양식의 고고학, In 樣式의 考古學" 2008

      5 김은영, "러시아 연해주와 주변지역 신석기시대 전기 토기의 편년과 동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6) : 55-101, 2010

      6 고동순, "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In 한반도 신석기시대 지역문화론" 2009

      7 하인수, "동해안지역 융기문토기의 검토『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2010

      8 하인수, "동해안지역 융기문토기의 검토" 한국고고학회 2011

      9 하영중,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석기 검토 울진 죽변리유적 출토 석기 중심으로 『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2010

      10 고동순, "동해안지방의 오산리식토기와 융기문토기의 층위 검토, In 한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 전개" (재)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11 하인수, "남해안지역 융기문토기의 편년『한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 전개』" 2012

      12 박성근,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석부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3 김은영, "고성 문암리유적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 평저토기문화의 전개" 국립문화재연구소 (40) : 169-205, 2007

      14 김은영, "韓半島中東部地域新石器時代の平低土器つぃての考察, In 東アジアにおける新石器文化と日本 III" 國學院大學 2006

      15 황철주, "韓半島 東·南海岸地域 隆起文土器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6 고동순, "東海岸 鰲山里 C地區 最下層 遺蹟의 調査成果, In 韓.日新石器時代의 漁撈와 海洋文和" 2009

      17 小林達雄, "型式, 樣式, 形式, In 繩文土器, 日本原始美術大系1" 講談社 1977

      18 Wobst, H. M., "Stylistic behavior and information exchange, In In Papers for the Director: Research Essays in Honor of James B. Griffin" Museum of Anthropology, University of Michigan 1977

      19 Hegmon, M., "Archaeological Research on Style" 21 :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2-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신석기연구회 -> 한국신석기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91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