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 Problems and its ways for improvements of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 Focused on 7th high schoo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80837

      • 저자
      • 발행사항

        무안 :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v, 78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우성대

      • 소장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lays weights on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concern, ability and aptitude, can be the adequate one demanded by modern society if it is properly applied to its purpose. The curriculum in the school field, howe...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lays weights on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concern, ability and aptitude, can be the adequate one demanded by modern society if it is properly applied to its purpose. The curriculum in the school field, however, has many problems as originally intended curriculum is not carried out properly due to the crippled operation connected with the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hereafter "KSAT") in real application. Although the 8th national curriculum will be enacted in 20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ways of improvement of the problems by making close examination on the problems of the school field in practice of the 7th curriculum. Especially the problems will be examined into 3 parts : Theory, School field, and Curriculum.
      For this study, documents research and online interview of active teachers and students were used as a method.
      In this paper, the history of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are viewed in the 1st part of chapter 1. The need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subject education and also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 of general social studies are considered in the 2nd part. In the chapter 3, articles of mass media, and teachers and students' opinion on KSAT in each aspects are analysed followed by present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7th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is shows that 7th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s closely related to KSAT, leading students to choose the subject for a higher score in KSAT than for acquiring academic knowledge as their school year is ascended. The last 4th chapter is made up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about textbook centered cramming education which can not hold individual differences for it puts provider in importance. The second part mentions that even if the 7th curriculum, compared to others, considers highly the choice of a student who is a user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centered education, it is still changed by various social atmosphere and educational policy. Despite the fact, directions to enhance the national curriculum are shown in this part.
      The summary of the conclusion is as in the following.
      Too many elective courses(11 courses) of social studies of KSAT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make teachers and students confused in the school field. The present way of KSAT bring about 3 problems in the school field. Firstly, students prefer courses which can give them relatively higher score and too many elective subjects make teachers hard to teach. Secondly, each schools has many variations in selecting courses. Thirdly, teachers and students tend to neglect the social studies of grade 10 for it is not included in KSAT. In order for improvements, curriculum should have enough time to introduce the in-depth elective courses of social studies applied to both grade 11 and 12, as a result, it will widen student's choice and change their minds on course selection. Moreover, it is required to keep the balance of demand and supply of teachers and have institutes to build up the expertise. Also, students will get more new knowledge if enough aids are prepared in the classroom. Not only this but reedit of textbook that contains real situation centered content is needed for students to be educated. In addition, the policy on KSAT should be stable and consistent. Recent researches show that too many changes of national curriculum make teachers and students confused. 11 courses of social studies are thought to be excessively split up. As subjects such as politics and economy, law and society, and society and culture have some overlapping contents, it can be a good way to unify these subjects. It is also necessary that in case of a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the various kinds of textbook should be published in order to meet diverse view and materials not being biased.
      In conclusion, the problem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must be fixed for the 8th national curriculum which is being raised an iss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생의 흥미, 관심, 능력 적성을 고려하는 것을 중요시 하는 제 7차 교육과정은 제대로 그 목적에 맞게 적용될 경우에는 현대가 요구하는 적절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다. 다만,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흥미, 관심, 능력 적성을 고려하는 것을 중요시 하는 제 7차 교육과정은 제대로 그 목적에 맞게 적용될 경우에는 현대가 요구하는 적절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다. 다만, 학교현장에서의 교육과정은 실제 적용에 있어서 대학입시와 연관되어서 파행 운영되어 원래 의도한 교육과정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못하며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2010년에 제 8차 교육과정의 제정을 앞두고 있는 시점이어서 아직은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교육현장에서 나타나는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이론중심, 현장중심, 교육과정 중심의 세 부분으로 규명하여 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현장 교사들과 학생들과의 온라인상 인터뷰를 통하여 의견을 알아보았다.
      본 논문은 제 2장 제 1절에서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고찰하였고, 제 2절에서는 교과교육의 필요성 및 현황, 일반사회교육의 개념과 성격에 대해서 고찰 하였다. 제 3장에서는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대한 언론매체의 보도 자료와 현장교사들과 학생들의 의견을 각각의 관점에서 알아보고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은 현재 대학수학능력시험체제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로인해 학생들이 과목을 선택할때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문적인 지식 습득 보다는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의 높은 점수를 위한 선택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4 장에서는 교육이 공급자 위주로 경직되어 학생들의 개인차를 수용하지 못하는 교과서 중심의 주입식 교육, 입시 중심의 교육에서 7차 교육과정은 수요자인 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훨씬 높인 교육과정이지만 아직도 여러 가지 사회적인 분위기와 교육정책에 따라서 달라지는 현실에 대하여 개선이 될 수 있는 점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7차 교육과정하에서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사회 탐구 과목은 11과목으로 지나치게 많은 선택과목으로 인하여 학교 현장에서 학생과 교사들 모두 혼란스러움을 야기 시키고 있다. 현재의 대학수학능력 시험 방식이 학교 현장에서는 4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첫째,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과목을 선정해서 시험을 보고자 하며 선택과목이 너무 다양해서 교사의 지도상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둘째, 학교마다 과목선택에 여러 가지 변수를 가지고 있다. 셋째, 10학년 사회 즉 1학년 사회는 학생들도 교사들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이유로 소홀히 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 11, 12학년에서 적용되는 사회과 심화 선택 과목에 대한 충분한 소개의 시간을 교육과정에 포함 시켜 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과목 선택 방식에 대한 의식의 변화를 가져와야하고 교사들의 수급을 조정하고 전문성을 길러줄 기관이 필요하며 it 기자재 등의 충분한 확보를 통하여 새로운 지식습득과 실제 상황위주의 내용으로 꾸며진 교과서의 개편으로 인한 교육을 하여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의 사회탐구 과목을 선정할 때 밑받침이 되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안정된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대한 안정적이고 변화가 적은 정책이 필요하다.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하여 나왔듯이 지나치게 잦은 교육과정의 변화는 학교와 학생 모두에게 혼란을 초래한다. 사회과 11개 과목은 지나치게 세분화 되어있다는 생각이 든다. 정치와 경제, 법과 사회, 사회. 문화등 일정부분의 성격들이 비슷한 교과서의 경우 통합을 고려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본다. 또한 단종의 교과서의 경우는 한쪽의 시각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시각과 자료를 접할 수 있게 다양한 종류의 출판을 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리고 개편이 거론되고 있는 제 8차 교육과정의 경우도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의 개선에 대해 많은 연구과제가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 3
      • 제1절 일반사회 교육과정의 개념과 구성원리 = 3
      • 제2절 사회과 수업 통합의 구성 = 16
      • 제3절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 20
      • 제1장 서론 = 1
      •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 3
      • 제1절 일반사회 교육과정의 개념과 구성원리 = 3
      • 제2절 사회과 수업 통합의 구성 = 16
      • 제3절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 20
      • 제4절 일반사회교육 관련 교과교육의 필요성 및 현황 = 32
      • 제3장 사회과 교육과정의 분석 = 44
      • 제1절 사회교육 관련한 현장의 의견 및 보도 자료 = 44
      • 제4장 결론 및 제언 = 64
      • 참고문헌 = 67
      • 부록- 의견조사 설문지 =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