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美)의 추구로의 여성 신체 가치관의 변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5467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체육사학(박사) , 2023. 8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조준호

      • UCI식별코드

        I804:11602-200000693272

      • 소장기관
        • 한국체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 요약 미(美)의 추구로의 여성 신체 가치관의 변천 양 승 하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시대마다 미인의 기준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미인의 기준을 한...

      국문 요약

      미(美)의 추구로의 여성 신체 가치관의 변천

      양 승 하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시대마다 미인의 기준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미인의 기준을 한국체육사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시대별 한국 여성의 신체 가치관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기별로 한국 여성의 신체미(美)와 스포츠 참여형태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미의 추구로서의 여성 신체 가치관의 변천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美)의 추구로서 여성 신체 가치관의 변천이라는 주제로 여성 신체의 미적 가치관을 광복 후부터 현재까지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기를 나누는데 있어 우리나라의 당시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을 중점적으로 파악하여 수동적인 여성, 유순한 신체로 살아가다(광복 후~1980년), 소비하는 여성, 여성, 신체를 소비로 완성하다(1980년~1999년), 노마드적 신여성, 여성 자신의 신체 가치관을 정립하다(2000년~ 현재)로 시기 구분을 하였다. 그리고 그 흐름에 따라 다양한 사회학적 이론을 통해 여성 신체 가치관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여성체육 발전의 과정을 상세히 제시하고 현대의 여성체육사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전통적 여성상은 한국전쟁 이후 경제력 향상으로 여성의식의 성장을 가져왔다. 본격적인 산업화가 이루어지기 전인 1960년대까지는 전통적인 부덕을 갖춘 현모양처(賢母良妻)형 여성을 이상적인 여성으로 선호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변화들은 가족의 영역 속에서 존재했던 여성의 모습을 점차 변화시켜 나갔다. 대표적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보급된 TV와 잡지 등 다양한 대중매체에서는 전통적 여성상인 현모양처형의 여성과 섹슈얼리티의 대상인 여성을 대조적으로 다룸으로써 여성의 몸에 대한 인식변화가 본격화되었다. 매체를 통해 들어온 서구식 문화와 서구식 미인선발대회의 개최는 생활세계의 급변과 여성의 자각이 더욱 강조되면서 ‘여성의 몸’에 대한 관심은 고조되었으며, 몸의 아름다움을 가꾸기 위한 계량적 척도로 신체의 아름다움은 매우 커졌다. 그럼에도 여전히 사회는 여성의 적극적인 신체단련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졌다. 이 당시 여성체육은 ‘엘리트스포츠를 통한 국가과시형 여성체육’이었다. 과시형 소비 형태로서 여성 체육의 핵심은 경제적인 부를 축적한 우리나라 일부의 부유층이며 이들은 위세의 기능, 과시적 여가로서 그들만의 신체활동을 즐겼다.

      둘째,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는 이른바 여성의 ‘소비’가 사회의 중점에 있었다. 산업의 발달과 경제적 성장, 전두환 정권의 의도적 스포츠 육성, 사회․ 문화, 교육의 발달 등으로 인해 여성의 역할과 지위가 변화하면서 여성중심의 소비사회가 형성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계몽주의 사상을 근간으로 자유와 평등의식, 여성의 권익과 교육 등으로 새로운 여성상을 구축해나가기 시작했다. 여성들은 스스로 본인에게 시간을 투자하고, 돈을 투자하는 소비문화의 대열에 합류하면서 여성 소비주권 시대를 열었다. 여성의 소비는 대부분이 ‘외모’와 직결되었다. 여성은 나를 가꾸고, 나를 위해 소비하는 대부분이 의류, 화장품, 미용실, 그리고 신체를 가꾸는 운동에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 소비의 대상 중 가장 아름답고 귀중한 것은 사람의 몸이라는 장 보드리야르의 말처럼 아름다운 신체는 소비 자본주의 사회에서 하나의 자본이자 소비의 대상이 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여성들에게 신체는 자본이자 소비의 대상이었다. 시대의 중심에 에어로빅운동, 재즈댄스와 같은 미용체조를 통한 체육활동은 여성의 아름다운 신체에 대한 이미지를 기호화(嗜好化)하기 시작했다. 기호화된 신체미는 소비 자본주의사회에서 추구되는 목적의 대상이 되면서 관련된 소비를 부추겼다. 이처럼 1980년대에서 1990년대는 사회, 문화적으로 여성에게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셋째, 2000년대는 초스피드 정보화 사회에 돌입했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발달과 함께 다양한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등장하면서 많은 여성들은 자신의 일상을 사진으로 찍어 공유하는 것이 빈번해졌다. 이에 과거에는 유명인들의 날씬하고 섹시한 몸을 볼 수 있었다면 이제는 일반 여성들도 자신의 땀과 노력으로 일궈낸 탄탄한 몸을 스스럼없이 공유하는 시대다. 많은 여성들은 건강하면서도 균형 있는 몸을 원하게 되었다. 즉 이상적인 여성의 신체미란 완벽하게 억제된 탄탄한 몸, 즉 ‘근육 미녀’가 각광을 받고 있다. 운동을 통해 얻어지는 신체적인 미, 즉 기호가치가 중요하게 대두된 것이다. 여성들의 신체는 ‘소비자본주의적 몸만들기’를 치중하게 되며 신체미를 통해 자신도 성공한 엘리트 계층의 일원임을 어필한다. 여기서 훈련된 신체미는 주관적인 욕구나 추구의 대상일 뿐 아니라, 이미 사회 속에서 만들어지고 형성되고 있는 ‘성공의 코드’로 인식되었다. 훈련된 신체의 욕구는 이미 ‘사회화 과정’을 통해 사회적 통념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에 부르디외가 주장한 바와 같이 여성의 아름다운 몸은 사회 계급적 차이를 구별 짓는 척도이며 강력하고 암묵적인 규율로서 대중에게 인식되었다. 곧이어 대중매체는 ‘근육 미녀가 더 섹시하다’라는 가치관을 주입시키며 많은 여성을 헬스장 등으로 내몰고 있다. 하지만 현대여성이 추구하고 찬사받는 ‘훈련된 신체미’는 외형에서만 한정되지 않음을 강조하고 싶다.

      결국, 현대의 진화된 여성은 훈련된 몸 또는 미를 가질 수 있게 만드는 일련의 신체활동과 그 결과, 그리고 이를 통해 습득된 몸의 습성, 즉 아비투스까지 모든 것을 다양하게 원하고 있다. 직장에서 자신의 일을 하면서도 체력과 신체미를 기르기 위해 운동을 하고 땀을 흘리는 여성들은 더는 낯설지 않다. 근육은 더 이상 남성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여성들에게 훈련된 신체란 건강과 함께 찾아온 본능 같은 것이다. 곧, 그녀들에게 운동을 통해 얻은 것이 무엇이냐 묻는다면 분명 외모보다 건강과 체력을 그리고 자신감과 성취감을 가장 큰 변화로 뽑을 것이다. 신체훈련을 통한 아름다운 미(美)와 이를 통한 정신적 미(美)까지, 결국 스포츠를 통해 단련된 신체미는 바로 ‘심신의 전인적 인간미를 성취할 수 있는 길이 된 것’이다. 시대를 통과하며 여성의 아름다움의 본능에는 다양한 신체활동이 중심에 있으며 체육인이 지렛대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은 시대적, 역사적 사명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3. 연구방법 7
      • 1) 연구방법 7
      • 2) 연구절차 9
      • 3) 시대구분 11
      • 4. 선행연구 15
      • 5. 연구의 제한점 25
      • Ⅱ. 수동적인 여성: 여성, 유순한 신체로 살아가다(광복 이후~1970년대) 26
      • 1. 사회·문화콘텐츠를 통해 본 한국의 여성상 29
      • 1) 대중소설과 TV드라마 29
      • 2) 여성 잡지 32
      • 3) 미인선발대회 37
      • 2. 스포츠 활동을 통해 본 여성 신체 가치관의 인식 44
      • 1) 학교와 사회 기관을 통한 체육문화의 보급 45
      • 2) 엘리트스포츠를 통한 국가과시형 여성체육 55
      • 3) 과시형 소비형태로서의 여성체육 59
      • 3. 소결론 66
      • Ⅲ. 소비하는 여성: 여성, 신체를 소비로 완성하다(1980년대~1990년대) 69
      • 1. 사회·문화콘텐츠를 통해 본 한국의 여성상 70
      • 1) 산업의 발달과 여성의 사회적 지위 및 역할의 변화 70
      • 2) 교육을 통한 여성의 사회적 역할 향상 75
      • 3) 대중매체의 발달과 여성의 미적 가치관의 변화 80
      • (1) 컬러 TV와 VCR(비디오)의 등장: 소비사회에서의 신체 문화 80
      • (2) 영화, 그리고 여성 89
      • 2. 스포츠 활동을 통해 본 여성 신체 가치관의 인식 97
      • 1) 86 서울아시안게임과 88 서울올림픽 개최 및 생활체육 도입 98
      • 2) 여성을 위한 생활체육의 발전(에어로빅과 재즈댄스의 대중화) 101
      • 3. 소결론 108
      • Ⅳ. 노마드적 신여성: 여성, 자신의 신체 가치관을 정립하다(2000년대~) 112
      • 1. 사회·문화콘텐츠를 통해 본 한국의 여성상 115
      • 1) 새로운 소비트렌드의 등장과 여성의 미적 가치관의 변화 115
      • 2) 여성스포츠 예능의 등장과 운동하는 여성의 인식 변화 120
      • 3) 바디프로필이 의미하는 여성의 신체미 123
      • 2. 스포츠 활동을 통해 본 여성 신체 가치관의 인식 125
      • 1) 피트니스 운동 다변화 126
      • 2) 아웃도어(OUT-DOOR) 스포츠의 발전 130
      • 3) 온라인 홈 트레이닝 134
      • 3. 소결론 139
      • Ⅴ. 결론 및 제언 142
      • 1. 결론 142
      • 2. 제언 146
      • 참고문헌 148
      • Abstract 1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