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총독부 관방의 조직과 인사 =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s Affair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3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총독관방은 관방기능의 확대라고 하는 근대일본관료제의 전개양상과 궤를 같이하는 한편, 총독의 권한과 지위와 밀접하게 연동하고 있다. 즉 인사, 문서, 회계의 관방3과를 중심으로 총독의...

      총독관방은 관방기능의 확대라고 하는 근대일본관료제의 전개양상과 궤를 같이하는 한편, 총독의 권한과 지위와 밀접하게 연동하고 있다. 즉 인사, 문서, 회계의 관방3과를 중심으로 총독의 권한과 지위의 변동에 따라 축소 혹은 폐지되는 참사관실, 무관실을 대신하여 행정업무의 고도화, 전문화와 전시 수행을 위해 국세조사과, 조사과, 자원과, 정보과 등이 새롭게 설치되었다. 일본정부는 행정정리, 식민지통치개혁, 행정간소화, 內外地행정일원화, 국내결전태세 강화 등을 이유로 끊임없이 총독부 기구를 축소, 약화시키거나 재편성하려했다. 그 결과 총독관방조직은 부침을 거듭했다. 1919년 3·1운동 이후 대규모의 총독부 조직 개편은 내각이 방침을 결정하고 총독부와 조율을 거쳤지만, 어디까지나 하향식(top down)으로 진행되었던 것이다. 총독부조직 개편을 둘러싸고 내각과 총독부가 종종 갈등을 빚기도 하지만, 전황이 악화될수록 본국과 식민지의 일원적인 통제를 위해 내각의 주도권은 더욱 더 강화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조선총독의 자율성’은 축소될 수밖에 없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vernment-General secretariat i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Japan’s modern bureaucracy, or the functional expansion of the secretariat, closely interlocked with the authority and status of the Governor-General. In other words, the change i...

      The Government-General secretariat i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Japan’s modern bureaucracy, or the functional expansion of the secretariat, closely interlocked with the authority and status of the Governor-General. In other words, the change in the authority and status of Governor-General led to change mainly in humanresources, documents and accountings, three departments under the secretariat, such as downsizing or abolishing the foreign affairs council and military council for creating national tax investigation, investigation, intelligence departments for enhanced and specialized administration and wartime performance. Japanese government was in continuous attempt to downsize, weaken or reorganize the agencies under the Government-General on the ground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novative colonial rule, administrative simplification, domestic and oversea administrative unification, war preparation reinforcement, etc. The result of which was the repeated ups and downs of the Government-General secretariat. Despite the cabinet’s coordination with the Government-General after its decision on the large scale reorganization of Government-General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it was apparently a top-down process. Although the cabinet and the Government-General were frequently in conflict over the reorganiza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the cabinet’s leadership was increasingly enhanced for unified control with the war progressing to their disadvantage, which inevitably resulted in reduced ‘autonomy of Governor-General of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96

      2 박명규, "한국 근대사회와 문화 Ⅱ 1910년대 식민통치정책과 한국사회의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3 신상준, "청주여자사범대학논문집 2" 1973

      4 이형식, "조선총독의 권한과 지위에 대한 시론" 역사연구소 (72) : 191-234, 2011

      5 카터 J. 에커트, "제국의 후예 : 고창 김씨가와 한국자본주의의 식민지 기원, 1876∼1945" 푸른역사 2008

      6 김민철, "전시체제하(1937~1945) 식민지 행정기구의 변화" 고려사학회 14 : 9-316, 2003

      7 강창일, "일제식민통치연구1 1905∼1919" 백산서당 1999

      8 신주백, "일본제국은 조선총독에게 어떤 지위와 권한을 주었을까?" 15 : 15-15, 2004

      9 전상숙, "식민지 조선 행정일원화와 조선총독의 '정치적 자율성'" 현대일본학회 (21) : 281-310, 2005

      10 홍순권, "미국 역사학계의 한국근현대사 연구 실태와 연구 경향 -일제시기의 식민국가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1 : 259-287, 2002

      1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96

      2 박명규, "한국 근대사회와 문화 Ⅱ 1910년대 식민통치정책과 한국사회의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3 신상준, "청주여자사범대학논문집 2" 1973

      4 이형식, "조선총독의 권한과 지위에 대한 시론" 역사연구소 (72) : 191-234, 2011

      5 카터 J. 에커트, "제국의 후예 : 고창 김씨가와 한국자본주의의 식민지 기원, 1876∼1945" 푸른역사 2008

      6 김민철, "전시체제하(1937~1945) 식민지 행정기구의 변화" 고려사학회 14 : 9-316, 2003

      7 강창일, "일제식민통치연구1 1905∼1919" 백산서당 1999

      8 신주백, "일본제국은 조선총독에게 어떤 지위와 권한을 주었을까?" 15 : 15-15, 2004

      9 전상숙, "식민지 조선 행정일원화와 조선총독의 '정치적 자율성'" 현대일본학회 (21) : 281-310, 2005

      10 홍순권, "미국 역사학계의 한국근현대사 연구 실태와 연구 경향 -일제시기의 식민국가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1 : 259-287, 2002

      11 이형식, "무단통치 초기(1910.10-1914.4)의 조선총독부 -인사·관제개혁·예산을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33) : 173-203, 2011

      12 이형식, "동아시아 속의 한일관계사(하)" 제이앤씨 2010

      13 行政管理研究センター, "行政改革のビジョン" 1980

      14 이형랑, "第1次憲政擁護運動と朝鮮の官制改革論" 3 : 1990

      15 萩原彦三述, "朝鮮総督府官制とその行政機構" 友邦協会 1969

      16 李炯植, "朝鮮総督府官僚の統治構想" 吉川弘文館 2013

      17 朝鮮史研究会, "朝鮮の歴史 新版" 三省堂 1995

      18 大久保達正, "昭和社会経済史料集成 第21巻" 大東文化大学東洋所 1995

      19 金雲泰, "日本帝国主義의 韓国統治" 博英社 1999

      20 松田利彦, "日本の朝鮮·台湾支配と植民地官僚" 思文閣出版 2009

      21 総務庁長官官房総務課, "日本の官房機能" 行政管理研究センター 1987

      22 朝鮮総督府, "施政三十年史" 1940

      23 布施龍一郎, "新機構の横顔" 23 (23): 1942

      24 水野直樹, "戦時期の植民地支配と『内外地行政一元化』" 京都大学人文社会研究所 79 : 79-79, 1997

      25 秦郁彦, "戦前期日本官僚制の制度·組織·人事" 東京大学出版会 1981

      26 牧原出, "憲政の政治学" 東大出版会 2006

      27 大森彌, "官のシステム" 東京大學出版會 2006

      28 李炯植, "南次郎総督時代における中央朝鮮協会" 720 : 2008

      29 McNamara, Dennis L, "The colonial origins of Korean enterprise, 1910-194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0 Hagen Koo, "State and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3

      31 Lynn Hyung-gu, "Limits of the colonial state : interest intersections and the state in colonial Korea, 1919-1942" Havard University 2001

      32 赤木須留喜, "<官制>の形成: 日本官僚制の構造" 日本評論社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1 1.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