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밀교승 혜초의 재고찰 = 『표제집(表制集)』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50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개원의 삼대사로 불리는 중국밀교의 전래자 3인 가운데 금강계법을 전한 금강지삼장(671-741)과 그의 수제자 불공삼장(705-774) 모두의 수법제자인 慧超는 불공삼장의 유훈을 부촉 받은 六哲 중...

      개원의 삼대사로 불리는 중국밀교의 전래자 3인 가운데 금강계법을 전한 금강지삼장(671-741)과 그의 수제자 불공삼장(705-774) 모두의 수법제자인 慧超는 불공삼장의 유훈을 부촉 받은 六哲 중의 1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도 ``옥녀담기우표``나 ``내도량지송``의 표제에서도 혜초는 그 이름과 행적이 등장하고 있으며, 현재 불공삼장의 역으로 알려진 『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鉢大敎王經』의 序에서도 그의 모습이 확인된다. 중국 唐代 인도중기밀교의 전래시기에 그 행적이 보이는 혜초는 20세기 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었던 밀교승이다. 20세기 초 프랑스 탐험가 페리오가 돈황 막고굴 천불동에서 본국으로 가져온 여러 서책 가운데 하나인 『往五天竺國傳』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일본학자 高楠順次郞에 의해 불공삼장의 遺書에 등장하는 慧超가 『왕오천축국전』의 저자이며, 불공의 高弟子라는 언표를 통하여 세계학계에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후 2차 세계대전 이전에 『왕오천축국전』의 저자로서 惠超의 연구는 지대한 관심 속에서 상당한 연구 업적이 나타난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한정된 기록에 의한 연구였으므로 그 한계가 있었다. 그것은 『일체경음의』나 『왕오천축국전』, 불공삼장 『표제집』의 본문 중에 나오는 내용과 역사적 사실과 대비하여 추론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고는 이러한 혜초의 행적 가운데 특히 중국 밀교의 확립자인 불공삼장의 六哲로 기록된 ``新羅慧超``에 대하여 『표제집』을 중심으로 하여 밀교승 혜초의 활동상을 확인해 보고자하며, 아울러 高楠順次郞의 글을 통해 그의 주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recorded that Vajrabodhi, who is one of the Three Transmitters, and also who are considered as the Great Three Masters of the Chinese Esoteric Buddhism. Amoghavajra was a disciple of Vajrabodhi, and in the record, it is said that Hyecho studied ...

      It is recorded that Vajrabodhi, who is one of the Three Transmitters, and also who are considered as the Great Three Masters of the Chinese Esoteric Buddhism. Amoghavajra was a disciple of Vajrabodhi, and in the record, it is said that Hyecho studied under Amoghavajra, and became one of the Six Philosophers with whom Amoghavajra left his last Dharma transmission will. Other than this, Hyecho`s name and lifetime achievements appears in the title of ``OknyodamkiUpyo`` ``Naedoryangjisong``. Hyecho`s existence is confirmed again in the preface of 『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鉢大敎王經』, which is known as a translation by Amoghavajra. Hyecho was an esoteric Buddhist monk who lived during the time of transmission of Indian Esoteric Buddhism to the Tang Dynasty China, however his existence was hardly known until the 20th century. In the early years of 20th century, the French explorer P. Pellot brought back some documents from Dun-Huang(敦煌) and one of the documents was the 『往五天竺國傳』 that immediately drew the attention of the world. It is by the Japanese scholar Takakusu Junjiro, who confirmed that Hyecho is the author of 『往五天竺國傳』, and he is one of the disciples who appears in the Amoghavajra`s Dharma transmisison will. After the World War II, some research on Hyecho were undertaken with great interest. Nevertheless, most of the research were done on the basis of inference referring to the 『一切經音義』, or 『往五天竺國傳』, and the contents from the Amoghavajra`s <Title Compilation> and historical facts. This paper will delve into the world of Hyecho and his achievements using the compiled title which is recorded as ``Shilla Hyecho``, as the Six Philosophers of Amoghavajra, the one who established the Esoteric Buddhism. This will enable highlight Hyecho as one of the Four Great Chinese Translators, and as one of the Six Philosophers and disciples of Amoghavajra. However, there is an obstacle that very limited material is available to do research on him. As one can see in Takakusu Junjiro`s comments saying that people generally conceive Hyecho as an author of 『往五天竺國傳』, with lacking examination or prove against research as the expression known as ``Shiila Hyecho`` determined pre-conception and this always confines him. Hyecho existed historically, however, he could be more than one individual with same name, or probability is there that he is one individual with different names. The understanding and value of Hyecho will be reshaped if any materials can be found to explore more about him, and his position in the history will be reposition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高柄翊, "東아시아의 文化史論考"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2 高楠順次郞, "慧超往五天竺國傳に就いて" 9 : 1915

      3 李廷秀, "密敎僧 慧超의 一考" 27 : 2000

      4 "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鉢大敎王經(大正藏 20)"

      5 "代宗朝贈司空大辨正廣智三藏和上表制集(大正藏 52)"

      6 伽山佛敎文化硏究院, "世界精神을 탐험한 위대한 한국인 慧超" 1999

      1 高柄翊, "東아시아의 文化史論考"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2 高楠順次郞, "慧超往五天竺國傳に就いて" 9 : 1915

      3 李廷秀, "密敎僧 慧超의 一考" 27 : 2000

      4 "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鉢大敎王經(大正藏 20)"

      5 "代宗朝贈司空大辨正廣智三藏和上表制集(大正藏 52)"

      6 伽山佛敎文化硏究院, "世界精神을 탐험한 위대한 한국인 慧超"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5 1.31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