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의 천하관과 삼국통일론 = Silla’s World View, the Idea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97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라 중대와 관련된 논쟁 가운데에서도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주제는 신라의 삼국통일과 관련된 문제이다. 삼국통일을 위한 전쟁이었는가, 백제통합만을 위한 전쟁이었는가 ...

      신라 중대와 관련된 논쟁 가운데에서도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주제는 신라의 삼국통일과 관련된 문제이다. 삼국통일을 위한 전쟁이었는가, 백제통합만을 위한 전쟁이었는가 하는 것이다.
      신라가 처음부터 삼국통일을 의도하고 전쟁을 벌였던 것은 아니었다. 당시 신라로서는 백제와 고구려에 대해서 통일전쟁을 벌일 의지를 키워나가기는 어려운 사정이었다. 백제멸망이 신라의 목표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후 고구려 내부의 혼란이 진행되자 신라는 고구려멸망까지를 계획하고 주도해나갔다.
      신라의 삼국통일론이 형성된 시기는 671년 무렵이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했다는 언급이 처음 나오기 때문이다. 중국의 당나라가 천하를 통일했다면, 신라는 삼국을 통일했다는 것이다. 이는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를 분리시켜 지배하려는 당의 움직임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신라와 고구려와 백제는 이미 하나가 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신라는 삼국통일론이란 천하관에 이어, 삼한통일론을 새롭게 주장하였다. 이제 삼국이라는 국가의 통일만이 아니라, 그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종족의 통일을 언급하게 된 것이다. 삼국이 서로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삼한통일론은 673년 김유신의 죽음을 앞둔 시기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는 당나라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던 신라의 입장에서 삼국인들의 단결을 바라는 현실적인 필요성에서 나온 것이었다. 또한 내부의 통일 없이는 삼국의 진정한 통일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도 작용하였다.
      신라의 삼국통일론이 실질적으로 추구된 시기에 대해서 문무왕대 나당전쟁에서 승리한 676년, 혹은 신문왕대 9주가 설치된 685년을 들기도 한다. 그러나 옛 고구려의 영역을 당나라가 거의 대부분 장악하고 있던 상태였기 때문에 그렇게 보기는 어렵다. 그보다 늦은 시기인 성덕왕대 나당관계가 개선되고, 당나라와 신라가 발해의 움직임에 공동으로 대처하는 735년에야 그것은 달성되었다. 당나라가 대동강이남 지역에 대한 신라의 지배를 비로소 인정한 것이다. 선덕여왕대 당나라의 태종과 신라의 김춘추 사이에 맺은 약속이 이제야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동안 신라가 추구해온 독자적인 천하관이 당나라에 의해서 마침내 받아들여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신라 소국론과 백제 · 고구려 평정
      • Ⅲ. 삼국통일론의 형성과 신라 대국론
      • Ⅳ. 삼국통일론의 실질적인 추구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신라 소국론과 백제 · 고구려 평정
      • Ⅲ. 삼국통일론의 형성과 신라 대국론
      • Ⅳ. 삼국통일론의 실질적인 추구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경진, "「청주운천동사적비」의 건립 시기에 대한 재검토" 수선사학회 (45) : 107-140, 2013

      2 조법종, "후백제 견훤의 역사계승인식 -고구려 및 백제의 마한계승인식을 중심으로" 58 : 1999

      3 김수태, "현재적 관심에서 새롭게 서술된 한국고대사의 흐름 -김영하, 『한국고대사의 인식과 논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한국고대사학회 (70) : 389-408, 2013

      4 한우근, "한국통사" 1987

      5 이기백, "한국사학의 방향" 일조각 1978

      6 신형식, "한국사학사의 연구" 1985

      7 이기백, "한국사강좌 고대편" 일조각 1982

      8 채미하, "한국고대의 빈과 즉위례" 2014

      9 주보돈, "통일신라 (능)묘비에 대한 몇 가지 논의" 9 : 2012

      10 金昌慶, "중국 고전문헌에 보이는 ‘바다(海)’ 의미 - ≪尙書≫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33-254, 2007

      1 윤경진, "「청주운천동사적비」의 건립 시기에 대한 재검토" 수선사학회 (45) : 107-140, 2013

      2 조법종, "후백제 견훤의 역사계승인식 -고구려 및 백제의 마한계승인식을 중심으로" 58 : 1999

      3 김수태, "현재적 관심에서 새롭게 서술된 한국고대사의 흐름 -김영하, 『한국고대사의 인식과 논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한국고대사학회 (70) : 389-408, 2013

      4 한우근, "한국통사" 1987

      5 이기백, "한국사학의 방향" 일조각 1978

      6 신형식, "한국사학사의 연구" 1985

      7 이기백, "한국사강좌 고대편" 일조각 1982

      8 채미하, "한국고대의 빈과 즉위례" 2014

      9 주보돈, "통일신라 (능)묘비에 대한 몇 가지 논의" 9 : 2012

      10 金昌慶, "중국 고전문헌에 보이는 ‘바다(海)’ 의미 - ≪尙書≫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33-254, 2007

      11 김수태, "이기백기념사학논총" 1994

      12 이호영, "신정 신라삼국통합과 여・제패망원인 연구" 서경문화사 2001

      13 김영하, "신라중대사회연구" 일지사 2007

      14 김영하, "신라의 ‘통일’영역 문제-교과서 내용의 시정을 위한 제언-" 고려사학회 (56) : 7-32, 2014

      15 이기백, "신라사상사연구" 일조각 1986

      16 윤경진, "신라 통일기 금석문에 나타난 天下觀과 歷史意識: 三韓一統意識의 성립 시기 고찰" 수선사학회 (49) : 177-216, 2014

      17 전덕재, "신라 중대 대일외교의 추이와 진골귀족의 동향" 37 : 1997

      18 최홍조, "신라 신행선사비의 건립과 그 정치적 배경" 11 : 2013

      19 김수태, "신라 신문왕대 국왕 친영례의 시행" 신라사학회 (29) : 309-346, 2013

      20 김수태, "신라 문무왕대의 대복속민정책" 16 : 1999

      21 이문기, "신라 김씨왕실의 소호금천씨 출자관념의 표방과 그 성격" 23・24 : 1999

      22 김창겸, "신라 국왕의 황제적 지위" 2 : 2004

      23 박남수, "신라 聖德王代 浿江鎭 설치 배경" 한국사학회 (110) : 1-46, 2013

      24 권덕영, "신라 ‘君子國’ 이미지의 형성" 한국사연구회 (153) : 159-190, 2011

      25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26 노태돈, "변태섭기념사학논총" 1985

      27 김수태, "백제의 멸망과 당" 22 : 1991

      28 노중국, "백제사의 몇 가지 문제-≪삼국사기≫ 백제본기 역주 작업과 관련하여-" 신라사학회 (27) : 33-69, 2013

      29 김종복, "발해정치외교사" 일지사 2009

      30 이기백, "민족과 역사" 일조각 1971

      31 주보돈, "문자,기록 그리고 기억의 전승" 2014

      32 김수태, "문무왕" 13 : 1993

      33 이상훈, "나당전쟁연구" 주류성 2012

      34 존 씨 재미슨, "나당동맹의 와해 -한중기사 취사의 비교-" 44 : 1969

      35 이영호, "김사란 :당을 선택한 망명자" 28 : 2010

      36 권덕영, "고대 한중외교사" 일조각 1997

      37 조법종, "고구려의 마한계승 인식론에 대한 검토" 102 : 1998

      38 권덕영, "고구려 백제 유민묘지명의 검토" 2014

      39 이기동, "隋 · 唐의 帝國主義와 新羅 外交의 妙諦 -고구려는 왜 멸망했는가?-" 신라문화연구소 (24) : 7-22, 2004

      40 전덕재, "新羅의 對外認識과 天下觀" 역사문화연구소 (20) : 203-248, 2004

      41 윤경진, "新羅 太宗(武烈王) 諡號 논변에 대한 자료적 검토 - 原典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역사실학회 (51) : 5-41, 2013

      42 金昌謙, "新羅 中祀의 ‘四海’와 海洋信仰" 한국고대사학회 (47) : 159-196, 2007

      43 윤경진, "新羅 中代 太宗(武烈王) 諡號의 追上과 재해석" 고려사학회 (53) : 213-252, 2013

      44 김병곤, "崔致遠의 三韓觀에 대한 認識과 評價" 한국고대사학회 (40) : 219-252, 2005

      45 이영호, "在唐 신라인 金氏墓誌銘의 검토" 신라사학회 (17) : 325-354, 2009

      46 김영하, "一統三韓의 실상과 의식" 한국고대사학회 (59) : 293-327, 2010

      47 김진한, "「답설인귀서」(答薛仁貴書)에 보이는 신라·당밀약 기사의 사료적 검토" 인문학연구원 71 (71): 253-277, 2014

      48 윤선태, "‘통일신라’의 발명과 근대역사학의 성립" 신라문화연구소 (29) : 5-5, 2007

      49 이영호, "‘신라삼국통일론’에서 ‘남북국론’으로 -김영하, 2007 「新羅中代社會硏究」, 일지사-" 한국고대사학회 (52) : 467-482, 2008

      50 김영하, "7세기 후반 한국사의 인식문제 -신라의 백제통합론과 삼국통일론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46) : 361-389, 2009

      51 조영광, "7세기 중국인들의 對高句麗 ‘三韓’호칭에 관하여" 백산학회 (81) : 127-153, 2008

      52 노태돈, "7세기 전쟁의 성격을 둘러싼 논의" 한국사연구회 (154) : 329-345, 2011

      53 주보돈, "7世紀 羅唐關係의 始末" 영남문화연구원 (20) : 131-17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