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할라한의 공중 분류의 인지적, 태도적, 행동적 특징에 대한 연구 : 부산울산경남 주민의 원자력 쟁점에 대한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 The Exam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Publics Classifed by Hallahan: Based on the Perception of Busan, Ulsan, and Kyungnam Residents around Nuclear Power Plant Iss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363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원자력 발전소를 지근거리에 두고 있는 부산울산경남 주민들이 원자력에 대한 지식과 관여도의 정도를 중심으로 각각 활동공중, 인지공중, 각성공중, 비활동공중으로 나누어 볼 ...

      이 연구는 원자력 발전소를 지근거리에 두고 있는 부산울산경남 주민들이 원자력에 대한 지식과 관여도의 정도를 중심으로 각각 활동공중, 인지공중, 각성공중, 비활동공중으로 나누어 볼 때 어떠한 특징을 갖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1의 인지적 측면에서 활동공중과 인지공중은 원자력 위험성의 인식이 중립적인 반면에 각성공중과 비활동공중은 위험성을 높이 인식하였다. 편익 인식에 있어서 활동공중, 인지공중, 각성공중은 그 정도가 모두 높은데 반해 비활동공중은 중립적이었다. 정서적 특징을 조사한 연구문제2의 결과에 따르면 각성공중과 비활동공중은 나머지 유형의 공중들에 비해 긍정적 감정이 낮고 부정적 감정은 높거나 중립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활동공중과 인지공중이 원자력 수용성이 높은 반면 각성공중과 비활동공중은 수용성이 중립에 가까운 차이를 나타내었다. 행동적 특징을 조사한 연구문제3에서 네 공중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원자력의 정보처리 정도가 공통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활동공중은 원자력에 대한 정보추구 정도에서 중립 보다 다소 높았고, 인지공중과 각성공중은 중립 보다 다소 낮았으며, 비활동공중은 그 정도가 낮은 특징을 보여주었다. 매체 이용에 있어서도 이들 공중들은 차이를 보였는데 활동공중은 주당 한 시간 정도 적극적으로 종이신문을 이용하였다. 활동공중은 언론사 홈페이지를 주당 2시간 이상 활발히 이용하는 반면 비활동공중은 한 시간도 채 이용하지 않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들 공중들은 대체로 이메일 이용 정도가 높고 밴드 이용 정도는 낮았다. 일반적으로 정보검색과 뉴스기사 읽기에 모두가 활발하였지만 활동공중은 특히 비활동공중 보다 그 정도가 높았다. 네 공중의 인구·사회통계학적 속성의 차이를 조사(연구문제4)한 결과 활동공중은 남성, 4050, 대학원 이상 학력의 비율이 높았고, 인지공중은 남성이 다수이나 20대는 현격히 낮았으며 각성공중은 여성과 20대가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비활동공중은 여성, 2030, 고졸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할라한의 소통전략에 기초하여 학술적 함의와 실무적 함의를 토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cusing on residents in Busan, Ulsan, and Kyungnam near nuclear power plants, this study classified them as four publics with two standards of knowledge about nuclear power and the level of involvement: active public, aware public, aroused public, an...

      Focusing on residents in Busan, Ulsan, and Kyungnam near nuclear power plants, this study classified them as four publics with two standards of knowledge about nuclear power and the level of involvement: active public, aware public, aroused public, and inactive public. After then, this study investigated each public’s characteristics. RQ1 examined each public’s cognitive features. Active public and aware public showed neutral risk perception, whereas aroused public and inactive public highly perceived risk around nuclear power. Three publics of active public, aware public, and aroused public highly perceived the benefit of nuclear power, whereas inactive public was quite neutral in terms of benefit perception. RQ2 investigated affective and attitudinal features of the classified publics. Compared with active public and aware public, aroused public and inactive public showed low positive emotion and relatively high or neutral negative emotion for nuclear power. Active public and aware public showed the high level of nuclear power acceptance, whereas the other publics were close to neutral in terms of nuclear power acceptance. RQ3 analyzed behavioral features of publics. Four publics showed the high level of information processing in common, although they were slightly different. Active pubic showed slightly higher level of information seeking than neutral, aware public and aroused public were rather lower than neutral, and inactive public was not active in seeking nuclear power information. Regarding media use, active public read print newspaper for about one hour per week. Active public also actively used newspaper or broadcasting websites at approximately longer than two hours per week, whereas inactive public used the media for less than one hour per week. Most publics actively used email, but few publics actively used band service. In general, all publics were very active in searching information and reading news articles. Active public was particularly more active than inactive pubic in doing those tasks. RQ4 examin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four pubics. Active public consisted of male, people in their 40s and 50s, and graduate level of education. Aware public also consisted of a lot of men but few people in their 20s. Aroused public included many female respondents and people in their 20s. Inactive public also showed the high rate of female,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30s, and less educated peopl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문헌연구 방법론 결과 토론 참고문헌
      • 서론 문헌연구 방법론 결과 토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왕재선,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자력 수용성 및 인식구조 변화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47 (47): 395-424, 2013

      2 김서용,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세계인의 원자력 수용성 태도변화 분석" 한국정책학회 23 (23): 57-90, 2014

      3 정주용,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대국민 원자력 수용성 변화" 321-361, 2011

      4 김창수,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방사선 및 원전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81-287, 2013

      5 최진식, "주민투표 후 방폐장에 대한 위험판단과 위험수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42 (42): 149-168, 2008

      6 고광완, "정부 정책 PR에 있어서 공중별 특성에 따른 조직의 대응 전략 연구: 할라한(Hallahan)의 이슈 처리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16) : 5-37, 2018

      7 곽천섭, "재난의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과 정보 전달채널로서의 사회적 자본: 재난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4 (14): 5-41, 2014

      8 김효정, "위험인식, 두려움, 분노가 원자력정보 탐색과 처리,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위험정보탐색처리(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3 (63): 7-45, 2019

      9 한동섭,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1-22, 2011

      10 양기용, "원전지역공동체 재구조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고리원전지역공동체 확장과정에 대한 개념적 접근"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181-207, 2018

      1 왕재선,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자력 수용성 및 인식구조 변화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47 (47): 395-424, 2013

      2 김서용,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세계인의 원자력 수용성 태도변화 분석" 한국정책학회 23 (23): 57-90, 2014

      3 정주용,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대국민 원자력 수용성 변화" 321-361, 2011

      4 김창수,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방사선 및 원전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81-287, 2013

      5 최진식, "주민투표 후 방폐장에 대한 위험판단과 위험수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42 (42): 149-168, 2008

      6 고광완, "정부 정책 PR에 있어서 공중별 특성에 따른 조직의 대응 전략 연구: 할라한(Hallahan)의 이슈 처리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16) : 5-37, 2018

      7 곽천섭, "재난의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과 정보 전달채널로서의 사회적 자본: 재난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4 (14): 5-41, 2014

      8 김효정, "위험인식, 두려움, 분노가 원자력정보 탐색과 처리,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위험정보탐색처리(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3 (63): 7-45, 2019

      9 한동섭,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1-22, 2011

      10 양기용, "원전지역공동체 재구조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고리원전지역공동체 확장과정에 대한 개념적 접근"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181-207, 2018

      11 이민창, "원자력에 대한 지식이 위험지각, 정부신뢰 및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원자력 발전소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11 (11): 54-74, 2018

      12 박성민, "원자력발전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울진군 지역을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5 (15): 5-43, 2017

      13 이종혁, "원자력 이슈에 대한 미디어 이용이 수용자 지식, 소통,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치-경제-사회-과학 관점의 다차원적 접근" 117-150, 2018

      14 김태완, "원자력 수용성 지수 개발: 부산・울산・ 경남 지역 주민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9 (29): 113-134, 2018

      15 정현주, "원자력 수용성 영향요인과 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원자력 안전 규제 및 규제기관 신뢰도의 조절효과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8 (18): 79-127, 2018

      16 황성욱,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 인식과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부산, 울산, 경남 주민들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11 (11): 135-164, 2018

      17 이민재, "원자력 발전의 위험인식, 효용인식, 투명성이 사회적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21 (21): 253-279, 2014

      18 심준섭,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한국정책학회 18 (18): 93-132, 2009

      19 김효정, "원자력 기사 프레이밍이 수용자의 심리적 저항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저항 이론(Psychological Reactance Theory)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1 (61): 130-164, 2017

      20 김영곤, "원자력 갈등해결을 위한 수용성 확보에 관한 연구: 수용성 측정지표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3 (13): 41-76, 2015

      21 남경태, "외모지상주의 문제에 관한공중별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관한 연구: Grunig의 상황적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광고홍보학회 8 (8): 237-270, 2006

      22 한정호, "온라인과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상황이 공중 세분화 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319-350, 2007

      23 왕재선, "신뢰와 원자력 수용성" 한국정책학회 22 (22): 235-266, 2013

      24 김동성, "소셜 공중에 적합한 새로운 공중 세분화 이론: 페이스북 페이지의 소셜 네트워크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8 (18): 394-429, 2014

      25 박노일, "상황이론의 블로거 공중 세분화 적용 연구" 한국PR학회 14 (14): 69-105, 2010

      26 방성곤, "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을 적용한 저출산 극복 PR캠페인 전략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6 (16): 349-375, 2013

      27 서미혜, "메르스 관련 위험정보 탐색과 처리가 메르스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형의 확장과 SNS 이용 정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78 (78): 116-140, 2016

      28 "관여도"

      29 송해룡, "공중의 환경위험이슈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행동 연구: 지구온난화 쟁점(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23) : 273-309, 2014

      30 이유나,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수돗물 직접음용 태도 및 의도에 관한 연구: 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의 재해석" 한국광고학회 20 (20): 7-28, 2009

      31 김찬석, "공중의 성향, 정책-공중 관계성, 행위변인간의 PR효과 모형 고용노동 정책PR 공중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02) : 5-34, 2014

      32 Peter, J. P.,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Irwin 1987

      33 Aaker, D. A., "The value of brand equity" 13 (13): 27-32, 1992

      34 Shen, L., "The influence of behavioral inhibition/approach systems and message framing on the processing of persuasive health messages" 34 (34): 433-467, 2007

      35 Frijda, N. H., "The emo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6 Hallahan, K., "The dynamics of issue activation and response : An issues processes model" 13 (13): 27-59, 2001

      37 Slovic, P., "Social theories of risk" Praeger 1992

      38 Stoutenborough, J. W., "Knowledge, risk, and policy support: Public perceptions of nuclear power" 62 : 176-184, 2013

      39 Hamilton, P. K., "Grunig's situational theory : A replication, application, and extension" 4 (4): 123-149, 1992

      40 Lazarus, R. S., "Emotion and adap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41 Huang, L., "Effect of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on the risk perception of residents near a nuclear power plant in China" 110 (110): 19742-19747, 2013

      42 Cox, D., "Communicating the consequences of early detection : The role of evidence and framing" 65 (65): 91-103, 2001

      43 Kuklinski, J. H., "Citizen knowledge and choices on the complex issue of nuclear energy" 26 (26): 615-642, 1982

      44 Yang, Z. J., "Applying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RISP) model to examine support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policy" 36 (36): 296-324,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6 1.39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