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남 선비 서간발(徐幹發)의 관동(關東) 유람록 『봉해첩(蓬海帖)』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Bonghaecheop(蓬海帖)』, a Travel Essays of the Gwandong(關東) by Seo Gan-bal(徐幹發) Who Was a Scholar in Yeongn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1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영남 지역의 재야 학자 徐幹發의 관동 유람록인 『蓬海帖』에 대해서 序文部ㆍ紀行部ㆍ跋文部로 나누어 그 대략적인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서간발은 李象靖의 문...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영남 지역의 재야 학자 徐幹發의 관동 유람록인 『蓬海帖』에 대해서 序文部ㆍ紀行部ㆍ跋文部로 나누어 그 대략적인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서간발은 李象靖의 문인이었던 叔祖 徐昌載와 스승 鄭宗魯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여 일생 동안 처사의 삶을 살면서 학문을 연마하였고, 소수서원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에서 후진 양성에 힘썼던 인물이다. 서간발의 유고로는 『南厓遺稿』 14권 7책이 필사 定稿本으로 남아 있으며, 『봉해첩』은 그중 제2책에 해당한다.
      『봉해첩』은 강원도 일대와 금강산의 명승지에 대한 소개 뿐만 아니라 강원도의 지리와 풍속ㆍ생활상 등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가진다. 서간발은 금강산과 관동 여러 지역의 지리와 풍속 등을 여행자의 시선으로 다채롭게 소개하고 있는데, 강원도의 수려한 산수와 순수한 풍속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하고 있지만 영남 선비의 입장에서 강원도 문화를 철저히 유교 문명화라는 잣대를 통하여 재단하려는 시각이 분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봉해첩』을 산수유기의 형식적 측면에서 분류해 본다면, 장형의 일기체 산수유기 중에서도 한시가 포함된 형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봉해첩』 기행부의 특징으로 일정과 경로 및 여행지의 경관 등 여행 전체를 매우 자세히 기록하고 있는 점, 유적지의 유래와 고사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점, 여행지에서의 감흥을 읊은 시의 비중이 높은 점, 여행의 고생과 향수 등 객지에서의 어려움을 여과 없이 표출하고 있는 점을 거론하였다.
      또한 『봉해첩』에 부기된 10여 편의 발문을 통하여 『봉해첩』의 가치를 정리해 보고, 그들이 생각하는 관동 유람의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영남 문인들에게 강원도와 금강산은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지상낙원이자 신선이나 노닐만한 탈속의 공간이라고 인식되었지만 금강산이 지니는 불교적 색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표출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또한 관동 유람이 가지는 희소성에 대해서는 십분 인정하면서도 단지 유람의 즐거움을 찾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람의 주체인 유람자가 유람을 통하여 학문의 발전과 인격의 완성 등 인생에 있어 진일보한 결과물을 산출해 낼 때라야 비로소 유람의 가치를 가진다고 생각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sidered the 『Bonghaecheop(蓬海帖)』, a travel essays of the Gwandong by Seo Gan-bal(徐幹發), who was a scholar in Yeongnam of the late Joseon Dynasty, by dividing it into a section of preface, a section of travel and a section o...

      This paper considered the 『Bonghaecheop(蓬海帖)』, a travel essays of the Gwandong by Seo Gan-bal(徐幹發), who was a scholar in Yeongnam of the late Joseon Dynasty, by dividing it into a section of preface, a section of travel and a section of postface, and its approximat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Seo Gan-bal was a person who practiced his studies by living the life of Cheosa(處士) throughout his life based on the teaching of his grandfather’s younger brother Seo Chang-jae(徐昌載) and his teacher Jeong Jong-ro(鄭宗魯) who were disciples of Lee Sang-jeong(李象靖). And Seo Gan-bal worked hard to foster younger generation in the regional community based on Sosu Seowon Confucian Academy. As for the posthumous work of Seo Gan-bal, 14 volumes and 7 books of 『Namae Yugo(南厓遺稿)』 remained as manuscripts, and 『Bonghaecheop』 is the second book among them.
      『Bonghaecheop』 has an important material value that informs the geography, customs, and life of Gangwon-do region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the scenic spots of Gangwon-do region and Mt. Geumgang. Seo Gan-bal introduced the geography and customs of Mt. Geumgang and various regions of Gwandong from a traveler’s point of view in a variety of ways. Although it was based on a positive perception about Gangwon-do’s beautiful landscape and pure customs, from the standpoint of the Yeongnam scho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view to judge Gangwon-do’s culture thoroughly through the standard of Confucian civilization was clear.
      As characteristics of a section of travel in the 『Bonghaecheop』, it was mentioned that it recorded the entire travel in great detail, including the schedule, route, and scenery of the travel destination, that it explained the origin and ancient event of the historic site in detail, that the proportion of poetry that recites an inspiration in the travel destination was high, and that it expressed difficulties in strange land such as the hardships of travel and nostalgia without filtration.
      In addition, through more than 10 postfaces appended to the 『Bonghaecheop』, the value of 『Bonghaecheop』 was organized and the meaning of the travel in Gwandong they had thought was considered. For the writers of Yeongnam, the Gangwon-do and Mt. Geumgang were recognized as a paradise on earth boasting wonderful natural scenery and as a space for unworldliness where the Taoist immortals would stroll, but they did not hesitate to express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Buddhist colors of Mt. Geumgang. Also, while fully acknowledging the scarcity of the Gwandong travel, rather than merely finding the pleasure of travel, it was only when the traveler who is the subject of the travel produced more advanced results in life such as the development of learning and the completion of personality through the travel that they thought it had the worth of trave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