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청년층 근로자의 이직을 통한 임금 사다리 효과 분석 = Can Job Turnover Help Young Korean Workers Climb the Wage Lad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5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 of job turnover on wage growth for young Korean workers using the Youth Panel over the period of 2007-2019. Our empirical findings highlight that if a young employee whose work experience is less than three years moves a ...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 of job turnover on wage growth for young Korean workers using the Youth Panel over the period of 2007-2019. Our empirical findings highlight that if a young employee whose work experience is less than three years moves a job voluntarily, the hourly wage increases by 3.3-4.0 percent, and the annual rate of wage growth increases by 0.1-0.8 percentage point (the so-called “wage-ladder effect”). These results imply that job turnover of young Korean employees not only alleviates labor market mismatch, but also contributes to improve human capital formation by helping them find more suitable jobs and boost their job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7년 청년 패널의 고정표본으로 선정된 3,608명을 추적함으로써 이직이 실제 임금 상승효과를 가지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존 직장에서 3년 이내로 근무한 청년 ...

      본 연구는 2007년 청년 패널의 고정표본으로 선정된 3,608명을 추적함으로써 이직이 실제 임금 상승효과를 가지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존 직장에서 3년 이내로 근무한 청년 근로자가 자발적인 동기에서 이직을 선택하는 경우 非이직자에 비해 이직 시점의 시간당 임금이 직전 직장보다 3.3∼4.0% 높아지며 이직 후에는 연간 임금상승률이 0.1∼0.8%p 올라가는 ‘임금 사다리(wage-ladder)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이직이 최초 직장 선택과정에서의 불일치를 완화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보다 적합한 일자리와의 결합을 통해 보유한 능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빠른 인적자본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황광훈, "청년층의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분석"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2 (22): 137-172, 2019

      2 반정호 ; 김경희 ; 김경휘, "청년취업자의 노동이동 및 고용형태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73-104, 2005

      3 성재민, "청년의 이직과 성과" 19-31, 2019

      4 금재호, "청년의 고용불안과 재취업" 66-82, 2013

      5 문영만 ; 홍장표, "청년 취업자의 기업규모별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23 (23): 195-230, 2017

      6 임찬영, "직장이동행태의 시계열적 추이: 이중노동시장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3103-3119, 2017

      7 김혜원 ; 최민식, "직장이동의 유형에 따른 단기임금변화" 한국노동경제학회 31 (31): 29-57, 2008

      8 조동훈, "직장이동으로 인한 임금변동 패널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21 (21): 161-182, 2019

      9 이병희, "재학 중 근로경험의 실태와 노동시장 성과" 한국노동경제학회 26 (26): 1-21, 2003

      10 성효용,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117-148, 2003

      1 황광훈, "청년층의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분석"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2 (22): 137-172, 2019

      2 반정호 ; 김경희 ; 김경휘, "청년취업자의 노동이동 및 고용형태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73-104, 2005

      3 성재민, "청년의 이직과 성과" 19-31, 2019

      4 금재호, "청년의 고용불안과 재취업" 66-82, 2013

      5 문영만 ; 홍장표, "청년 취업자의 기업규모별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23 (23): 195-230, 2017

      6 임찬영, "직장이동행태의 시계열적 추이: 이중노동시장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3103-3119, 2017

      7 김혜원 ; 최민식, "직장이동의 유형에 따른 단기임금변화" 한국노동경제학회 31 (31): 29-57, 2008

      8 조동훈, "직장이동으로 인한 임금변동 패널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21 (21): 161-182, 2019

      9 이병희, "재학 중 근로경험의 실태와 노동시장 성과" 한국노동경제학회 26 (26): 1-21, 2003

      10 성효용,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117-148, 2003

      11 Hirsch, B., "Women Move Differently : Job Separations and Gender" 33 (33): 417-442, 2012

      12 Mortensen, D. T., "Wages, Separations, and Job Tenure : On-the-job Specific Training or Matching?" 6 (6): 445-471, 1988

      13 Dustmann, C., "Wages, Experience and Seniority" 72 (72): 77-108, 2005

      14 Acemoglu, D., "The Structure of Wages and Investment in General Training" 107 (107): 539-572, 1999

      15 Kletzer, L. G., "The Long-term Costs of Job Displacement for Young Adult Workers" 56 (56): 682-698, 2003

      16 Manning, A., "The Gender Gap in Early-Career Wage Growth" 118 (118): 983-1024, 2008

      17 Albrecht, J., "The Career Dynamics of High-skilled Women and Men : Evidence from Sweden" 105 : 83-102, 2018

      18 Violante, G. L., "Technological Acceleration, Skill Transferability, and the Rise in Residual Inequality" 117 (117): 297-338, 2002

      19 Bartel, A. P., "Studies in Labor Market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20 Kambourov, G., "Occupational Specificity of Human Capital" 50 (50): 63-115, 2009

      21 Lise, J., "Multidimensional Skills, Sorting, and Human Capital Accumulation" 110 (110): 2328-2376, 2020

      22 Parsons, D. O., "Models of Labor Market Turnover: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urvey" US Department of Labor, Office of Research, Office of the Assistant Secretary for Policy, Evaluation and Research 1975

      23 Mincer, J., "Job Training, Wage growth, and Labour Turnover" NBER 1988

      24 Yamaguchi, S., "Job Search, Bargaining, and Wage Dynamics" 28 (28): 595-631, 2010

      25 Del Bono, E., "Job Mobility and the Gender Wage Gap in Italy" 18 (18): 130-142, 2011

      26 Topel, R. H., "Job Mobility and the Careers of Young Men" 107 (107): 439-479, 1992

      27 Jovanovic, B., "Job Matching and the Theory of Turnover" 87 (87): 972-990, 1979

      28 Addison, J. T., "Job Displacement, Relative Wage Changes, and Duration of Unemployment" 7 (7): 281-302, 1989

      29 Light, A., "Job Change Patterns and the Wages of Young Men" 80 (80): 276-286, 1998

      30 Neal, D., "Industry-specific Human Capital : Evidence from Displaced Workers" 13 (13): 653-677, 1995

      31 Parent, D., "Industry-specific Capital and the Wage Profile : Evidence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and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18 (18): 306-323, 2000

      32 Von Wachter, T., "In the Right Place at the Wrong Time : The Role of Firms and Luck in Young Workers’ ㅊareers" 96 (96): 1679-1705, 2006

      33 Burdett, K., "Human Capital Accumulation and Labor Market Equilibrium" 52 (52): 657-677, 2011

      34 Eryar, D., "Gender Effect in Explaining Mobility Patterns in the Labor Market : A Case Study of Turkey" 52 (52): 322-350, 2014

      35 Napari, S., "Gender Differences in Early-career Wage Growth" 16 (16): 140-148, 2009

      36 Lazear, E. P., "Firm-specific Human Capital : A Skill-weights Approach" 117 (117): 914-940, 2009

      37 Sullivan, P., "Empirical Evidence on Occupation and Industry Specific Human Capital" 17 (17): 567-580, 2010

      38 Ruhm, C. J., "Are Workers Permanently Scarred by Job Displacements?" 81 (81): 319-324, 1991

      39 Burdett, K., "A Theory of Employee Job Search and Quit Rates" 68 (68): 212-220, 1978

      40 Goldin, C., "A Grand Gender Convergence : Its Last Chapter" 104 (104): 1091-1119,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