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ifficulties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into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821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번역은 제 2 의 창조라는 말이 있듯, 외국 문학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은 글자만 옮기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롭게 표현해내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은 헝...

      번역은 제 2 의 창조라는 말이 있듯, 외국 문학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은 글자만 옮기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롭게 표현해내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은 헝가리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만나게 되는 문제점과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한 시도이다. 문제점의 기본은 헝가리어와 한국어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그래서 우선 두 언어의 공통점을 II 장에서, 차이점을 III 장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어에서는 주인공들의 나이, 성별, 상하관계를 정확히 파악해야 올바른 공대법과 높임말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두 언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어순에 있다. 헝가리어에서는 동사 앞에 높이는 문장성분이 가장 강조가 되지만, 한국어 번역에서는 이 강조점이 드러나지 않아, 단어를 반복하여 강조점을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번역에서 가장 중요한 등가성은 내용적인 면과 형식적인 면을 함께 다루어야만 지켜진다. 헝가리 시에서는 음절 수, 운, 강세, 마디가시의 형식적인 미를 구성한다. 하지만 번역에서 이 세 기본요소를 충족시키려면 내용적으로 불명확한 번역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용과 형식의 구성을 훼손하지 않고 등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번역가의 독창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번역의 문제는 번역하려는 문학작품이 태어난 사회와 환경, 문화적인 분위기를 번역해 낸 언어가 가진 사회적, 문화적 특징과 접목시키려는 데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번역은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작품 전체를 구성하는 정신세계를 새로운 문화의 생산물로 구성해내는 새로운 시도이자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solve some of the difficulties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into Korean. Translation is defined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Hungarian language is compared with Korean in the second section. The comparison consists of similariti...

      This article aims to solve some of the difficulties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into Korean. Translation is defined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Hungarian language is compared with Korean in the second section. The comparison consist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wo languages and cultures. In the last section, I focus on the problems of equivalence and the method to gain the equivalence in translation. I hope this article show the problems and one method for problem solving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into Korean. Hungarian and Korean do not have a verb ‘have’, while ‘having’ is expressed using the verbs ‘van’ and ‘있다’. Two languages have no expletives. However, Korean verb stems are what cause the difficulties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Korean honorifics and speech levels form 14 basic verb stems. Besides, Korean has many special honorific words, too. Translation must be done carefully with the expression of honorific and formality. The Hungarian language's word order is not fixed. the word order changes and the important words stay in front of the verb. The important words in the four Hungarian sentences are not expressed in Korean text. Translation is an interactive act and translators are mediators of meaning consequently they are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cultural val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Hungarian and Korean translators to improve their language and culture knowledge. Translation connect not only one literal work with other, but also one culture with o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 Ⅱ. Field of Translation
      • III. Similarities between Hungarian and Korean
      • IV. Differences between Hungarian and Korean
      • V. Problems of Equivalence
      • I. Introduction
      • Ⅱ. Field of Translation
      • III. Similarities between Hungarian and Korean
      • IV. Differences between Hungarian and Korean
      • V. Problems of Equivalence
      • VI. Conclus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etőfi Sándor, "Összes muvei. I, II" Szépirodalmi kiadó 1986

      2 Bassnett-Mcguire, Susan, "Translation Studies. Revised Edition" Routledge 1991

      3 Snell-Hornby, Mary, "Translation Studies. An integrated approach"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95

      4 Nida, Eugene Albert, "Toward a Science of Translating" E.J. Brill 1964

      5 Wilss, Wolfram, "The Science of Translation. in: Problems and Methods" Gunter Narr Verlag 1982

      6 Jakobson, Roman, "On linguistic aspects of translation. in: On Transl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32-239, 1959

      7 "Magyar népballadák" Europa Könyvkiadó 1994

      8 Yeon, Jaehoon, "Korean Grammatical Constructions their form and meaning" Saffron 2003

      9 Ihm, Ho Bin, "Korean Grammar for International Learners" Yonsei University Press 1988

      10 Aczel, Richard, "Heidegger Thinking Translating. in: Transfer and Translation" BIP(Books In Prints) 2002

      1 Petőfi Sándor, "Összes muvei. I, II" Szépirodalmi kiadó 1986

      2 Bassnett-Mcguire, Susan, "Translation Studies. Revised Edition" Routledge 1991

      3 Snell-Hornby, Mary, "Translation Studies. An integrated approach"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95

      4 Nida, Eugene Albert, "Toward a Science of Translating" E.J. Brill 1964

      5 Wilss, Wolfram, "The Science of Translation. in: Problems and Methods" Gunter Narr Verlag 1982

      6 Jakobson, Roman, "On linguistic aspects of translation. in: On Transl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32-239, 1959

      7 "Magyar népballadák" Europa Könyvkiadó 1994

      8 Yeon, Jaehoon, "Korean Grammatical Constructions their form and meaning" Saffron 2003

      9 Ihm, Ho Bin, "Korean Grammar for International Learners" Yonsei University Press 1988

      10 Aczel, Richard, "Heidegger Thinking Translating. in: Transfer and Translation" BIP(Books In Prints) 2002

      11 Erdős József, "Halló, itt Magyarország" Akadémiai kiadó 1992

      12 Reiss K., "Grundlegung einer allgemeinen Translationstheorie" Niemeyer 1984

      13 Szegedy, Maszák Mihály, "Forditás és kánon. in: Irodalmi kánonok" Csokonai Kiadó 1998

      14 Klaudy Kinga, "A nyelvészet és a Magyar felsőoktatás modernizációja" 4 : 449-457, 2005

      15 Newmark, Peter, "A Textbook of Translation" Prentice Hall International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신규평가)
      2013-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유럽발칸학회 ->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br>
      2013-01-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1-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KCI등재
      2006-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 East European Studies KCI등재
      2005-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 East European Studie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