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고유물을 통해 본 선진(先秦) 이전 치우의 기원과 형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306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선진 이전 고문헌과 고고자료를 통해 볼 때 치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선진 이전 문헌자료에 등장하는 치우는 삼묘와 관련이 있다. 치우가 삼묘의 수장이라고는 할 수 ...

      선진 이전 고문헌과 고고자료를 통해 볼 때 치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선진 이전 문헌자료에 등장하는 치우는 삼묘와 관련이 있다. 치우가 삼묘의 수장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최소한 삼묘와 같이 창강 이남에 위치하였다. 연구성과에 의하면 삼묘는 창강 중류에서 활동한 고대 민족을 지칭한다. 따라서 치우는 창강 일대의 민족과 관련이 있다.
      둘째, 금문 상의 蚩자는 발로 뱀을 밟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동주시기 이후 창강 중류에서는 새의 모습을 한 신인이 뱀을 제어하는 모습의 문양이 다량 출토되었다. 이들 뱀을 제어하는 신인이 바로 치우이다.
      셋째, 치우는 조신(鳥神)에 빙의되어 뱀을 제어하는 답사무를 추는 무당이다. 강신한 경우 무당은 곧 신이기도 하기 때문에 치우는 무당이면서 동시에 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고대사회에서 무당은 세속적 통치권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치우는 정치적 권력을 가진 통치자이기도 하다.
      넷째, 황하 이북의 중원 사람들에게 있어 답사무를 추는 치우의 모습은 매우 인상적으로 느껴졌고 따라서 이들 남방민족의 지도자가 치우라고 생각하였다.
      다섯째, "태양과 뱀의 사투"라는 모티브는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전 3,000년 전에 보이며 중국에서는 춘추시기 이후에 주로 발견된다. 이러한 문화는 이전 중국 사회에 보이지 않던 것으로 중동이나 인도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청동 원료는 대부분 창강 중하류에 매장되어 있다. 이들 청동원료를 얻기 위한 남북방 민족의 대립은 치우와 황제의 싸움이라는 내용으로 문헌상에 기록되었다. 상나라 시기는 청동원료를 얻기 위한 남북방의 대립이 주가 되었다면 주나라 시기에는 남방민족이 청동제련기술을 장악하였기 때문에 서로 대등하게 대립하는 전쟁의 양상으로 등장한다. 문헌상의 황제와 치우의 싸움은 바로 주나라 시기 남북방민족의 대립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ult which arranged an study on Chiu before XiānQín (先秦) through archaeological remains and old reference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Chiu shown in references before XiānQín has something to do with sanmiao. The research r...

      The result which arranged an study on Chiu before XiānQín (先秦) through archaeological remains and old reference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Chiu shown in references before XiānQín has something to do with sanmiao. The research result has found that sanmiao was called an ancient people who were active at midstream of the Yangtze River. Therefore, Chiu has something to do with people in the area of the Yangtze River.
      Second, Chi(蚩) of Jinwen is the figure that the foot steps on a snake. Many patterns of the figure that a man of god with the bird's figure control snakes were excavated at midstream of the Yangtze River after the Dongzhou period. The man of god who control these snakes is Chiu.
      Third, Chiu is a shaman who is possessed by a spirit of bird god and do dances to step on snakes. When the shaman is possessed by the spirit, he/she is a god. So Chiu can be a shaman and god.
      Forth, people in central districts of the north of the Yellow River felt that the figure of Chiu who did the dance to step on snakes. Therefore, they thought that Chiu was a leader of southern people.
      Fifth, the motif, "The desperate struggle between the sun and snakes" was shown in Mesopotamia before 3,000 years before the birth of Christ and was found in China in the Dongzhu period. This culture was flowed into China from Middle east or india because it didn't exist in China before.
      Sixth, the raw material of bronze was mostly buried in midstream and downstream of the Yangtze River. Opposition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people was recorded in literature by the contents of a fight between Chiu and the emperor. The specific period is the one from the last period of Shang Dynasty to the one of Chou Dynasty.
      Since Chiu was recorded in historial literature by Sima Qian, Chiu appeared as another shapes and got to have the historical duties according to them. They will be minutely discussed in next pap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치우는 남방민족의 지도자
      • Ⅲ. 치우의 기원
      • Ⅳ. 청동을 쟁취하기 위한 치우족과 황제족의 대립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치우는 남방민족의 지도자
      • Ⅲ. 치우의 기원
      • Ⅳ. 청동을 쟁취하기 위한 치우족과 황제족의 대립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顔建眞, "齊魯地區蚩尤崇拜及其影响" 1 : 2008

      2 史樹青, "陆离新解, In 文史 第11集" 中華書局 1981

      3 兪偉超, "長江流域靑銅器文化發展背景的新思考, In 長江文化議論集 上" 湖北敎育出版社 2005

      4 鄭若葵, "長江中游地區史前農業文化與古苗蠻文化關係初探" 2 : 2000

      5 高蒙河, "銅器與中國文化" 漢語大詞典出版社 2003

      6 "逸周書"

      7 "通典"

      8 "越絶書"

      9 高至喜, "論我國春秋戰國的玻璃器及有關問題" 2 : 1985

      10 楊志强, "蚩尤崇拜與民族認同-論當今中國苗族樹立“精神共祖”的過程及背景" 21 (21): 2004

      1 顔建眞, "齊魯地區蚩尤崇拜及其影响" 1 : 2008

      2 史樹青, "陆离新解, In 文史 第11集" 中華書局 1981

      3 兪偉超, "長江流域靑銅器文化發展背景的新思考, In 長江文化議論集 上" 湖北敎育出版社 2005

      4 鄭若葵, "長江中游地區史前農業文化與古苗蠻文化關係初探" 2 : 2000

      5 高蒙河, "銅器與中國文化" 漢語大詞典出版社 2003

      6 "逸周書"

      7 "通典"

      8 "越絶書"

      9 高至喜, "論我國春秋戰國的玻璃器及有關問題" 2 : 1985

      10 楊志强, "蚩尤崇拜與民族認同-論當今中國苗族樹立“精神共祖”的過程及背景" 21 (21): 2004

      11 "管子"

      12 王本興, "甲骨文小字典" 文物出版社 2009

      13 方國瑜, "滇史論叢 第一輯" 上海人民出版社 1982

      14 王厚宇, "淮陰高庄墓刻紋銅器上的神人怪獸圖像" 南京博物院 4 : 1994

      15 段渝, "楚公逆編鐘與周宣王伐楚" 社會科學硏究雜志編輯部 2 : 2004

      16 嚴文明, "東夷文化的探索" 9 : 1989

      17 "戰國策"

      18 "戰國策"

      19 鄒芙都, "從出土文物看楚國的商業與商品經濟" 衡陽師範學院 4 : 2003

      20 "帝王世紀"

      21 "山海經"

      22 張光直, "夏商周三代都制與三代文化異同" 55 : 1984

      23 "國語"

      24 "周書"

      25 "呂氏春秋"

      26 "史記"

      27 "博古圖"

      28 兪偉超, "先楚與三苗文化的考古學推測--爲中國考古學會第二次年會而作" 10 : 1980

      29 芮傳明, "中西紋飾比較" 上海古籍出版社 1995

      30 郭沫若, "中國史稿 第一冊" 人民出版社 1976

      31 徐旭生, "中國古史的傳說時代, 增訂本" 文物出版社 1985

      32 徐旭生, "中國古史的傳說時代" 中國出版社 194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