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국내 항암약침의 최신연구경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97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is systematic review summarizes the existing evidence on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in South Korea. Methods : Literature searches were conducted in four databases. All studies of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which has been published...

      Objectives : This systematic review summarizes the existing evidence on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in South Korea. Methods : Literature searches were conducted in four databases. All studies of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which has been published in South Korea until May, 2006 were included. Data were extracted according to pre-defined criteria by two independent reviewers. Results : We found 73 papers related to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in South Korea. Seventy of seventy-three papers are trial research and only three papers are clinical research. Herb materials which were used in those papers are Bee-venom, Wild-ginseng, Ginseng, Houttuynia cordata Thunb, Lonicerae Flos, Carthami Tinctorii Juglans sinensis, Euphorbiae Radix, Ecliptae Herba, Crotonis Semen, Juglans sinensis, Armeniaceae Amarum, so on. From those papers, Anti-tumor herbal acupunctures are effective to tumor cell line and tumor in vivo. Clinical research papers reported that Anti-tumor herbal acupunctures are useful to improve cancer related symptoms and quality of life(QOL) of cancer patients.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ke sure of that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is useful therapeutics for cancer patients. If we conceive complex-herb materials and carry out more advanced research,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is one of those major therapeutics to improve clinic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QOL) of cancer pati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백약침액의 인간경부암세포 SNU-17의 세포자살 유도에 미치는 영향" 22 (22): 103-110, 2005

      2 "황기약침액이 발암과정의 개시와 진행에 미치는 영향" 2001

      3 "홍화자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5 (5): 7-26, 2002

      4 "홍화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2003

      5 "호도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5 (5): 43-52, 2002

      6 "현대 중국의 암 치료현황에 관한 연구" 4 (4): 8-18, 1995

      7 "행인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5 (5): 61-79, 2002

      8 "항암 및 면역효과에 복분자약침이 미치는 영향" 2000

      9 "포공영약침액의 암예방 효과" 2001

      10 "파두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5 (5): 27-42, 2002

      1 "황백약침액의 인간경부암세포 SNU-17의 세포자살 유도에 미치는 영향" 22 (22): 103-110, 2005

      2 "황기약침액이 발암과정의 개시와 진행에 미치는 영향" 2001

      3 "홍화자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5 (5): 7-26, 2002

      4 "홍화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2003

      5 "호도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5 (5): 43-52, 2002

      6 "현대 중국의 암 치료현황에 관한 연구" 4 (4): 8-18, 1995

      7 "행인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5 (5): 61-79, 2002

      8 "항암 및 면역효과에 복분자약침이 미치는 영향" 2000

      9 "포공영약침액의 암예방 효과" 2001

      10 "파두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5 (5): 27-42, 2002

      11 "토사자약침의 항암작용 및 면역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18 (18): 94-104, 2001

      12 "창이자약침액의 암예방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2001

      13 "중완에 시술한 홍화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21 (21): 205-218, 2004

      14 "중완 및 관원에 시술한 천문동약침이 항암 및 면역작용에 미치는 영향" 20 (20): 159-171, 2003;

      15 "중완 목향약침이 항암 및 면역증강에 미치는 영향" 2004

      16 "족삼리에 시술한 한련초 약침의 면역증진과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 20 (20): 141-153, 2003

      17 "족삼리 및 중완에 시술한 자하거약침이 항암 및 면역효과에 미치는 영향" 2002

      18 "족삼리 및 중완에 시술한 석창포약침이 항암 및 면역효과에 미치는 영향" 2002

      19 "족삼리 목향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3

      20 "제조약침의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 14 (14): 132-143, 2000

      21 "정맥주입용 산양산삼 증류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6 (6): 7-27, 2003

      22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봉약침액 및 Melittin 약침액의 항암 기전 연구" 22 (22): 37-50, 2005

      23 "전갈약침액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17 (17): 151-167, 2000

      24 "저령약침이 S-180에 대한 항종양 효과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1995

      25 "인삼약침과 Lidocaine을 첨가한 인삼약침이 종양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20 (20): 21-39, 1995

      26 "인삼수침 전처치가 발암예방에 미치는 영향" 1988

      27 "익지인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18 (18): 79-93, 2001

      28 "의이인수침이 종양에 미치는 영향" 1994

      29 "육종용약침의 항암작용 및 면역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2000

      30 "와송약침의 항암작용 및 면역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1999

      31 "오수유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2003

      32 "어성초수침의 항종양효과에 관한 연구" 467-83, 1989;12

      33 "어성초 약침이 B16 흑색종 암모델에 대한 항종양효과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18 (18): 186-201, 2001

      34 "약침치료를 이용한 각종 암환자의 임상사례" 7 (7): 27-36, 2004

      35 "약침용 봉독이 흑색종 세포에 미치는 항암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17 (17): 169-185, 2000

      36 "약침용 봉독성분 중 Apamin의 항암효과와 MAP-Kinase 신호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18 (18): 101-115, 2001

      37 "약침용 봉독성분 중 Apamin, Melittin의 항암작용" 18 (18): 129-145, 2001

      38 "약침용 봉독성분 melittin의 영향에 의한 인체 폐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20 (20): 93-106, 2003

      39 "애엽약침액의 암예방 효과에 미치는 영향" 2000

      40 "소염약침의 통증을 동반한 암환자에 대한 효과" 6 (6): 20-27, 2003

      41 "서구대체의학의 암 치료에 관한 연구" 6 (6): 125-148, 2000

      42 "산양산삼약침으로 치료한 다발성 전이를 동반한간세포암 환자에 대한 임상적 관찰" 22 (22): 211-217, 2005

      43 "산삼약침이 Colon26-L5 암세포주를 이용한 간전이 모델의 항암 및 면역증진에 미치는 영향" 23 (23): 121-134, 2006

      44 "봉독약침자극이 3-MCA 유발 상피종에 대한 항암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14 (14): 157-172, 1997

      45 "봉독약침이 C57BL mouse의 흑색종에 미치는 영향" 19 (19): 78-91, 2002

      46 "봉독약침의 항암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3 (3): 1-19, 2000

      47 "봉독약침액에 의한 인체유방암세포의 성장억제 및 세포사에 관한 연구" 20 (20): 45-62, 2003

      48 "백화사설초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2003

      49 "백서의 중완에 시술한 청풍등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21 (21): 85-102, 2004

      50 "백서의 중완에 시술한 백화사설초약침이 항암 및 면역증강에 미치는 영향" 2004

      51 "백서의 족삼리에 시술한 청풍등약침이 항암 및 면역증강에 미치는 영향" 2004

      52 "백서의 B16-F10 melanoma에 대한 황련약침의 항암 및 면역증강효과" 2004

      53 "백서의 B16-F10 Melanoma에 대한 한련초약침의 항암 및 면역증강효과" 2004

      54 "백굴채분획약침이 항암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1997

      55 "발암과정 생화학적 표식자를 이용한 하고초 약침액의 암예방 활성 측정" 32 (32): 163-167, 2001

      56 "대극약침이 항암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1997

      57 "대극 분획 약침이 S-180에 대한 항종양효과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1998

      58 "당귀약침액의 암예방효과" 44 (44): 283-292, 2000

      59 "다양한 발암병태모형에 따른 제조 약침의 항암 및 면역증강에 관한 연구" 4 (4): 5-29, 2001

      60 "농도별 산양산삼 증류약침의 apoptosis에 관한 실험적 연구" 7 (7): 1-15, 2004

      61 "금은화약침의 항종양 작용 및 생체장기에 대한 영향" 16 (16): 255-267, 1999

      62 "금은화약침액의 암예방효과" 30 (30): 261-268, 1999

      63 "금은화 약침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22 (22): 91-97, 2005

      64 "구기자 및 지골피약침이 종양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1998

      65 "구기엽약침이 S-180에 대한 항종양 효과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1996

      66 "관원 및 중완에 시술한 보골지약침이 항암 및 면역작용에 미치는 영향" 2002

      67 "고삼약침이 항종양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1994

      68 "감초약침액의 항암 및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31 (31): 7-15, 2000

      69 "감두약침액의 암예방효과" 9 (9): 684-691, 1999

      70 "腫瘤病證治精要" 科學技術文獻出版社 24 : 1999

      71 "中國腫瘤秘方全書" 科學技術文獻出版社 2001

      72 "pH 및 전해질 조절 산양산삼 증류약침의 apoptosis에 관한 실험적 연구" 21 (21): 1-17, 2004

      73 "Study on the anti-metastasis and immune activity of HangAmDan" Graduate school of Daejeon university 1999

      74 "Republic of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4

      75 "Prevalenc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cancer patients." 15 (15): 1267-1272, 2001

      76 "Oligonucleotide chip을 이용한 홍화자약침액이 간암세포주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22 (22): 215-225, 2005

      77 "K-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6 (6): 76-95, 2003

      78 "H-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5 (5): 120-137, 2002

      79 "Crude bee venom 및 Apamin 약침액이 신경아세포종의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 경산대학교 2002

      80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by patients with cancer in Wales: a cross sectional survey" 11 (11): 249-253, 2003

      81 "Clinical study in 320 cases for cancer patients on the effect of Hangamdan Graduate school of Daejeon university" 1999

      82 "Cancer facts & figures-1996" 96-300, 1996

      83 "Bee Venom 및 Melittin 약침액이 신경아세포종의 세포사에 미치는 영향" 20 (20): 98-111, 2003

      84 "Bax의 발현증가 및 Caspase의 활성을 통한 봉독약침액 Melittin의 인체폐암세포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21 (21): 41-55, 2004

      85 "B16F10세포를 이식한 C57BL/6 생쥐에서 산삼약침의 항암효과 및 Doxorubicin에 의한 생식독성 완화효과" 23 (23): 105-120, 2006

      86 "A549 폐암세포와 Sarcoma-180 복강암에 대한 홍삼 증류약침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2004

      87 "A549 폐암세포와 Sarcoma-180 복강암에 대한 인삼 증류약침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2004

      88 "A-549 폐암세포와 Sarcoma-180 복강암에 대한 수삼 증류약침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2004

      89 "80년대 이후 중국의 약침연구 동향" 1 (1): 138-151, 1998

      90 "3-methycholanthrene 피부암에 미치는 자초약침의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3-08-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약침학회지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Herbal Acupuncture ->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9 0.42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