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이미지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 = The Study on How to Prompt Networking For Promoting Korea’s Im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7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South Korea and Korean people which Japanese-Korean get through visits to Korea and interchange experience with Korean people in transnationalism. And it is our wish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Korea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South Korea and Korean people which Japanese-Korean get through visits to Korea and interchange experience with Korean people in transnationalism. And it is our wish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Korean image-building and to seek ways of prompting competition on the network.
      The study on the image of Korea and Korean people that Japanese-Korean have was done by Fukuoka Yasunori and Kim Myoung-Soo in 1997 mainly about the sense of distance with Korea. Their study findings show that Japanese-Korean feel close to Korean physically, but not psychologically.
      Study's findings also show that the image of Korea is elevated when Korean-Japanese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interchange opportunities, and when they are treated kindly by Korean students, and etc.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factors that elevate the image of Korea are: providing of information, interchange opportunity, good image of Korean students, offering information on studying abroad, and etc.
      The result of study reveals that Korean-Japanese receive culture shocks more strongly from Korean's unkindnes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as there are a lot more contacts -either individual or public contacts or through the Internet -with Korean people although that the image of Korea and Korean people is reported to have improved since 1997.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rough information interchange and network activation, the image of Korea and Korean people can change from the negative image in the pa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재일한인들이 한국방문과 한국인과의 교류경험을 통해 인식하는 한국 및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가를 분석하여 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네트워크...

      이 연구의 목적은 재일한인들이 한국방문과 한국인과의 교류경험을 통해 인식하는 한국 및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가를 분석하여 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재일한인의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 관련 연구는 후쿠오카와 김명수가 1997년 모국과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한국방문으로 물리적으로는 가깝게 느끼고 있지만 심리적으로는 멀어지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이 연구결과는 그로부터 10년 이상 지난 현시점에서 재일한인들의 모국이미지가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보기 위해 2007년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조사결과를 보면, 먼저 한국이미지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호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유학생인상, 역량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 역동성이미지는 교류기회와 유학생인상 및 유학정보, 그리고 친밀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 유학생호감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국인이미지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호감이미지는 교류기회와 유학생인상, 역량이미지는 정보제공 및 유학생인상, 역동성이미지는 정보제공, 교류기회, 유학생인상, 유학정보, 그리고 친밀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사결과, 재일한인들에게 한국인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들은 정보제공, 교류기회 확대, 유학생인상, 유학생호감, 유학정보 등이었다. 조사결과 97년 조사에 비해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가 많이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한국에 있는 개인이나 단체와 접촉, 혹은 한국과의 인터넷이용이 많아질수록 재일한인들에 대한 한국인의 불친절, 재일동포에 대한 편견과 차별 등으로 인해 문화적 이질감을 더욱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가장 큰 발견은 정보교류와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과거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한 재일한인의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 제고에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희, "한국 관광지 이미지 측정도구의 개발" 20 (20): 1997

      2 이준엽, "국내 관광지 이미지에 대한 외래 관광객의 평가에 관한 연구" 10 (10): 2001

      3 박용구, "겨울연가 ‘쓰나미’와 일본인의 대한 이미지 변화" 일본연구소 (31) : 47-67, 2007

      4 東京韓国青年商工会, "青商ー豊かな同胞社会を目指して"

      5 福岡安則, "第3次在日韓国人青年意識調査中間報告書"

      6 金明秀."民族求心力の形成論ーLISRELを用いた因果構造分析, "年報人間科学15"

      7 福岡安則, "在日韓国人青年の生活と意識" 東京大学出版会 1997

      8 金明秀, "在日韓国人の学歴と職業"

      9 福岡安則ほか, "在日韓国・朝鮮人問題をめぐる社会学的研究ー「在日」若者世代の葛藤とアイデンティティの多様化" 1991

      10 福岡安則, "在日韓国・朝鮮人ー若い世代のアイデンティティ" 中央公論社 1993

      1 이태희, "한국 관광지 이미지 측정도구의 개발" 20 (20): 1997

      2 이준엽, "국내 관광지 이미지에 대한 외래 관광객의 평가에 관한 연구" 10 (10): 2001

      3 박용구, "겨울연가 ‘쓰나미’와 일본인의 대한 이미지 변화" 일본연구소 (31) : 47-67, 2007

      4 東京韓国青年商工会, "青商ー豊かな同胞社会を目指して"

      5 福岡安則, "第3次在日韓国人青年意識調査中間報告書"

      6 金明秀."民族求心力の形成論ーLISRELを用いた因果構造分析, "年報人間科学15"

      7 福岡安則, "在日韓国人青年の生活と意識" 東京大学出版会 1997

      8 金明秀, "在日韓国人の学歴と職業"

      9 福岡安則ほか, "在日韓国・朝鮮人問題をめぐる社会学的研究ー「在日」若者世代の葛藤とアイデンティティの多様化" 1991

      10 福岡安則, "在日韓国・朝鮮人ー若い世代のアイデンティティ" 中央公論社 1993

      11 金明秀, "エスニシティ形成論ー在日韓国人青年を事例として"

      12 辻本久夫ほか, "おやと子どもがみた在日韓国・朝鮮人白書ー在日韓国・朝鮮人と日本人の三つの 意識調査"

      13 Milman,A, "The impact of tourism on ethnic attitudes: The Israeli-Egyptian case" 22 (22): 1990

      14 Crompton,J.L, "Positioning: The example of the Lower Rio Grande Valley in the winter long stay destination market" 32 (32): 1992

      15 Chen, J. S, "A case study of Korean outbound travelers' destination images by using correspondence analysis" 22 : 2001

      16 谷富夫ほか, "1993年度社会学実習Ⅰ報告書生野の生活構造ー民族関係の視点から"

      17 Yu, L, "'Travel between politically divided China and Taiwa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