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 독립 학문으로 성립·발전 과정 = A history of communications studies and educ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459369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31.6 판사항(6)

      • DDC

        302.2 판사항(23)

      • ISBN

        9788952118363 93300: ₩36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 A history of communications studies and education in Korea : 독립 학문으로 성립·발전 과정 / 차배근 지음

      • 기타서명

        History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education in Korea

      • 형태사항

        501 p. ; 24 cm

      • 일반주기명

        2018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참고문헌(p. 470-492)과 색인(p. 493-500)수록

      • 소장기관
        • 가야대학교 분성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강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삼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운대학교 벽강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경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인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광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보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나사렛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대구한의대학교 향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전문대학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목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배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외국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농학도서관 Deep Link
        • 서울대학교 법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도서관 Deep Link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결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성공회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안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이공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영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오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육군사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도서관(여수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청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당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총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평택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술문화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관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성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체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장공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협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머리말 = 5
      • 제1장 서론 :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성립ㆍ발전
      •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수사학의 생성ㆍ발달 = 15
      • 1. 설득에 관한 관심과 수사학의 탄생 = 15
      • 목차
      • 머리말 = 5
      • 제1장 서론 :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성립ㆍ발전
      •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수사학의 생성ㆍ발달 = 15
      • 1. 설득에 관한 관심과 수사학의 탄생 = 15
      • 2. 로마 시대와 중세기에서 수사학의 발달과 쇠퇴 = 29
      • 3. 문예부흥 시대의 도래와 수사학의 부흥ㆍ발달 = 32
      • 4. 미국에서도 수사학 연구ㆍ교육과 스피치학으로 발전 = 37
      • 신문ㆍ잡지에 관한 연구ㆍ교육의 시작과 신문학의 성립 = 41
      • 1. 서양에서 신문의 기원과 초기의 각종 신문들 = 41
      • 2. 주요 국가들에서 신문ㆍ잡지 등에 관한 연구 시작 = 58
      • 3. 미국에서 저널리즘학의 성립과 발전 = 81
      • 신문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ㆍ발전 = 104
      • 1. 다른 학문분야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 104
      • 2. 저널리즘학계의 반성과 매스컴학으로의 확대ㆍ발전 = 131
      • 3. 스피치학도 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으로 재정립 = 138
      • 4. 컴학으로 매스컴학과 스피치컴학 통합ㆍ발전 = 142
      • 5.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실태와 현황 = 147
      • 제2장 한국에서 신문에 관한 학문적 관심과 연구의 시작
      • 근대신문의 출현과 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의 대두 = 163
      • 1. 근대신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의 시작 = 163
      • 2. 유길준의 "신문에 관한 해설문" = 170
      • 3.「한성순보」의 출현과 그 영향 = 177
      • 4. 유길준,『서유견문』에서 또 신문론 전개 = 184
      • 5.「한성순보」정간 후 다시「한성주보」발간 = 195
      • 최초의 민간지「독립신문」과 신문에 대한 인식의 제고 = 202
      • 1. 창간사에서 밝힌「독립신문」의 기본방침 = 202
      • 2. 논설을 통해 신문의 주요 기능 설명 = 206
      • 3. 신문에 대한 백성들의 인식에 미친 효능 = 208
      • 4.「독립신문」에 대한 정부의 탄압과 폐간 = 210
      • 민간신문 시대의 개막과 신문에 관한 연구의 발전 = 213
      • 1.「독립신문」창간 이후 민간신문 속출 = 213
      • 2. 민간신문들의 계속 출현과 백가쟁명 = 216
      • 3. 언론단체의 등장과 신문에 관한 토론 = 218
      • 제3장 일제강점기 신문학에 관한 연구ㆍ교육 실태
      • 1905-1919년 : 민족지의 소멸과 신문학 연구의 침체 = 223
      • 1920-1929년 : 민족지의 소생과 함께 신문학 연구도 부활 = 224
      • 1. 일제 통치 아래서도 언론 연구 꽃피워 = 224
      • 2. 한국 최초 신문학 저서『신문학』간행 = 227
      • 3. 신문학 박사 김현준의 독일신문학 소개 = 240
      • 4. 전문학교에 최초로 신문학 관계 과목 개설 = 249
      • 1930-1945년 : 신문학 연구의 계속적 활기와 된서리 = 258
      • 1. 각종 언론전문지의 발행과 논문 발표 = 258
      • 2. 종합지에도 신문학 관계 학술논문 다수 발표 = 268
      • 3. 1930년대에도 신문학 관계 저서 잇달아 출간 = 270
      • 4. 신문학과 설치의 제안과 좌절 = 274
      • 5. 1940년대 전반 일제 말기 신문학 연구의 고사 = 281
      • 제4장 광복 후 신문학의 발전과 매스컴학으로의 확대
      • 1945-1949년 : 광복과 신문학 교육ㆍ연구의 재개 = 285
      • 1. '신문과학연구소'부터 설립 = 285
      • 2. 기자양성기관 조선신문학원의 설립 = 291
      • 3.「신문평론」의 창간과 신문학 연구 촉진 = 302
      • 1950년대 : 대학에서 신문학 교육과 연구의 시작 = 308
      • 1. 대학에 신문학 강좌와 신문학과 개설 = 308
      • 2. 서울신문학원(조선신문학원)도 기자양성교육 계속 = 316
      • 3. 신문학 학술단체 '한국신문학회'의 창립 = 318
      • 4. 신문학 관계 저서들에 나타난 주요 내용 = 321
      • 5. 신문학 관계 논문들에 나타난 주요 동향 = 332
      • 1960년대 : 매스컴학으로 신문학의 확대ㆍ발전 = 336
      • 1. 대학들이 다투어 신문학 관련 학과 설치 = 336
      • 2. 기존의 신문학과와 서울신문학원의 사정 = 343
      • 3. 대학원에서도 신문학 전공 석사과정 교육 시작 = 347
      • 4. 신문학 관련 연구소의 설립과 연구활동 = 351
      • 5. 한국신문학회의 사정과 각종 학술활동 = 360
      • 6. 신문학 내지 매스컴학 교육ㆍ연구의 주요 동향 = 368
      • 제5장 매스컴학에서 다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ㆍ발전
      • 1970년대 : 매스컴학의 발전과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 = 387
      •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의 계속된 증가 = 387
      • 2. 외국 석ㆍ박사 젊은 학자들의 대거 참여 = 393
      • 3. 한국신문학회에서 각종 학술활동의 활발한 전개 = 402
      • 4. 197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ㆍ교육의 주요 동향 = 408
      • 1980년대 : 정보화 사회의 대두와 커뮤니케이션학의 부상 = 427
      •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와 교수진의 급증 = 427
      • 2. 한국신문학회는 '한국언론학회'로 변모ㆍ발전 = 435
      • 3. 198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ㆍ교육의 주요 동향 = 442
      • 1990년대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ㆍ교육의 다양ㆍ다원화 = 446
      •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의 기하급수적 증가 = 446
      • 2. 단일 학회 시대에서 여러 학회 시대로 변모ㆍ발전 = 457
      • 3. 199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ㆍ교육의 주요 동향 = 465
      • 참고문헌 = 470
      • 찾아보기 = 493
      • Abstract = 501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알라딘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판매중 36,000원 36,000원 (0%)

      종이책 구매

      1,800포인트 전자책 구매
      예스24.com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판매중 36,000원 36,000원 (0%)

      종이책 구매

      1,080포인트 (3%) 전자책 구매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한국 커뮤니케이션학사 (독립 학문으로 성립 발전 과정)

      한국 커뮤니케이션학의 성립과 발전 과정 등에 관한 연구,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學史) ‘커뮤니케이션학사’는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세기 초반부터 서양의 신문학,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커뮤니케이션학 등을 차례로 수용해서 신문학ㆍ신문방송학ㆍ언론학ㆍ언론정보학ㆍ미디어학ㆍ언론정보영상학ㆍ광고홍보학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연구·교육해 왔다. 이 책 제1장에서는 서양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와 교육의 역사부터 간단히 살펴본 뒤에, 제2장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커뮤니케이션학이 언제부터 어떻게 연구ㆍ교육되기 시작하여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 역사를 4개 장(章)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more

      저자소개

      자료제공 : YES24.COM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