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식민지 시대 주요 한국문학 작품의 정본화를 위한 기초자료 조사 및 원본비평 연구 연차보고서(3년차)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식민지 시대의 주요 한국 문학 작품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와 판본의 대조, 어휘 조사 및 정리, 개작 과정 연구 등 원본비평(textual criticism)을 통해 정본(定本)을 확정하는 것을 과제...

      본 연구는 식민지 시대의 주요 한국 문학 작품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와 판본의 대조, 어휘 조사 및 정리, 개작 과정 연구 등 원본비평(textual criticism)을 통해 정본(定本)을 확정하는 것을 과제로 설정하였다. 지난 3년간 다음과 같은 작품들에 대해 원본비평 및 정본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시집
      주요한『아름다운 새벽』
      김억『해파리의 노래』
      한용운『님의 침묵』
      정지용『정지용 시집』, 『백록담』 외 미수록본
      김기림『기상도』,『태양의 풍속』, 『바다와 나비』일부
      임화『현해탄』
      김영랑『영랑시집』
      신석정『촛불』『슬픈 목가』
      오장환『성벽』『헌사』
      백석『사슴』
      김광균『와사등』
      이용악『분수령』『낡은 집』
      서정주『화사집』
      유치환 『청마시초』,『생명의 서』
      노천명 『산호림』,『창변』

      소설
      이광수 『개척자』
      김동인 『광염소나타』 『광화사』
      이기영 『서화』 등 주요 단편
      김남천 『소년행』등 주요 단편
      염상섭 『삼대』,『만세전』
      한설야 『황혼』
      조명희 『낙동강』등 주요 단편
      이태준 『사상의 월야』, 『달밤』 등 주요 단편
      박태원 『천변풍경』
      심훈 『상록수』
      채만식 『탁류』
      강경애 『인간문제』
      김동리 『무녀도』 등 주요 단편

      책임연구자를 비롯, 전임연구원 및 공동연구원 뿐만 아니라 연구보조원들까지 가세하여 3년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각자 작품을 분담하여 개별적인 연구를 진행한 뒤 공동으로 재검토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각자 맡은 시집 내지 소설에 대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①가능한 모든 기초 자료의 조사 및 수집, ②판본대조(collation) 대상의 선정 및 기준판본(basic edition)의 확정, ③판본대조 작업, ④어휘 조사 및 정리 작업, ⑤개작 과정에 대한 연구(작가의 개작이 유의미성을 내포할 경우에만 한정), ⑥정본의 확정, ⑦연구결과물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홈페이지 구축(이 자료들은 인하대학교 정석학술정보관 홈페이지 내에 DB화되어 있다. http://165.246.66.34:8000 참조). 아울러 언어팀을 별도로 구성하여 각자의 연구과정이 일차적으로 완료되면, 언어팀의 검토를 거쳐 더욱더 완벽을 기하도록 했다. 언어팀에서는 그에 앞서 정본화의 지침 초안을 작성하여, 어쩔 수 없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각자 연구에 통일성을 기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과정이 형식적으로는 7개의 단계로 나뉘지만, 그 중 ③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다. 왜냐하면 ⑥은 ③의 작업과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연구대상에 대한 다양한 판본들 중 의미 있는 것들을 추린 다음(대체로 5개~7개 정도의 판본을 추렸다), 각 판본들의 구절구절을 일일이 다 비교ㆍ대조하였으며, 특히 당시 신문ㆍ잡지 등에 실렸던 원 발표문이 있는 경우 그것까지 감안하여 최적의 정본을 추출해 내는 과정을 거쳤다. 그 과정에서 판본들 상의 수많은 오류들을 적출하였으며, 어휘라든가 행 및 연 구분 등 시의 형태 면에서 훼손된 텍스트들을 바로잡고 나아가 표기를 현대화하여 원작에 가장 충실하면서도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도 더욱 쉽게 읽힐 수 있는 정본의 완성에 다가갔다. 소설 분야의 경우도 비슷한 연구과정을 통해 정본 확정 작업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소설은 작품 자체의 분량을 고려할 때 시의 경우처럼 한 행마다 일일이 판본을 대조하는 일이 불가능하므로, 어휘별로 혹은 문장별로 대조하여 각주로 처리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 과정에서도 판본들 간의 상이점을 상당수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해방과 전쟁 이후 북한에서 활동하였거나 높이 평가되고 있는 작가의 경우 텍스트의 개작이라든가 이념적인 사유로 인한 텍스트 상의 소소한 변형들이 심심찮게 발견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토대연구에 속하는 만큼 정본화 작업의 결과물(단행본)로 제출하도록 되어 있지, 개별적인 연구논문 제출의 의무는 없다. 그러나 우리는 정본화 작업 과정에서 도출된 의미있는 결과나 작품의 개작 같은 문제들을 적절히 정리하여 개별논문의 형태로도 올해 내로 발표할 예정이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차보고 연구요약문 I. 당초 연구 개요(총괄) 1. 연구 목적 및 배경 2. 연구 내용ㆍ범위 및 방법 II.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 내용 1. 문학 작품 정본화 지침 초안 ...

      연차보고 연구요약문
      I. 당초 연구 개요(총괄)
      1. 연구 목적 및 배경
      2. 연구 내용ㆍ범위 및 방법
      II.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 내용
      1. 문학 작품 정본화 지침 초안
      2. 김광균의 와사등 , 기항지 원본비평 및 정본화 연구에 대한 보고
      3. 김 억, 해파리의 노래 外 원본비평 및 정본화 연구에 대한 보고
      4. 백 석, 사슴 원본비평 및 정본화 연구에 대한 보고
      5. 서정주의 화사집 원본비평 및 정본화 연구에 대한 보고
      6. 신석정, 촛불 슬픈 목가 원본비평 및 정본화 연구에 대한 보고
      7. 심 훈 의 상록수 원본비평 및 정본화 연구에 대한 보고
      8. 염상섭의 만세전 원본비평 및 정본화 연구에 대한 보고
      9. 염상섭의 삼대 원본비평 및 정본화 연구에 대한 보고
      10.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 및 단편소설 원본비평 및 정본화 연구에 대한 보고
      III. 3차년도 연구 계획
      1. 연구 목적
      2. 연구의 내용, 범위 및 방법
      3. 학문·사회발전에의 기여 및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
      4. 참고문헌
      Ⅳ.연구비 신청
      *첨부 : 각 작품별 판본대조 및 정본화 연구 결과는 별도 파일로 첨부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