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7세기 서양 과학기술의 중국 전래와 기술도에 대한 연구:『기기도설』(奇器圖說)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19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에 유럽의 과학이 처음 전해진 16세기말부터 거의 두 세기 동안 중국에 유럽의 과학을 소개하고 도입하는 거의 유일한 통로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것은 이 시기에 중국에 온 예수회 ...

      중국에 유럽의 과학이 처음 전해진 16세기말부터 거의 두 세기 동안 중국에 유럽의 과학을 소개하고 도입하는 거의 유일한 통로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것은 이 시기에 중국에 온 예수회 소속의 선교사들이었다. 선교사들과 중국인 사대부들이 공동으로 작업한 대규모의 서양과학서의 번역작업과 저술사업이 벌어졌으며 이렇게 진행된 서양과학의 유입은 전통 중국 지식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서양과학 중에서도 제일 큰 관심의 대상은 역법 천문학이었지만 농업기술과 같은 실용적인 과학기술 역시 지식인들은 물론 궁정의 깊은 관심을 끈 분야이었다. 이러한 실용적인 기술에 대한 중국사회의 관심을 겨냥한 책이 바로 슈렉(Johann Schreck, 중국명 鄧玉函, 1576-1630)과 왕징(王徵, 1571-1644)이 공동으로 제작하여 1625년에 간행한『기기도설』이다.
      『기기도설』의 제 1, 2권은 力學에 대한 이론적 해설과 이를 도해한 기하학적 도면을 담고 있으며 제 3권은 역학의 원리를 응용하여 제작한 각종 기계를 그림으로 도해한 기술도가 실려 있다. 또한『기기도설』은 『농정전서』『천공개물』과 같은 농업 혹은 종합적인 기술서적의 간행으로 이어지면서 전통기술도가 변화하는데 있어 중요한 모델이 되었다.
      서양과학 저술사업의 비교적 초기에 간행된 『기기도설』은 서양의 문자(西字)와 서양의 부호를 사용해서 서양의 역학에 대해 소개한 첫 번째 책자이기도 하면서 그 원리를 해설하는 데 있어 전통적인 중국자연철학의 개념들도 사용하고 있어 17세기 중국 지식인들이 서양의 과학기술, 특히 기계와 역학에 대에 지녔던 관념을 보여 주고 있다. 이 협동연구의 첫 번째 세부과제는 이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기술의 개념과 성격이 서양화함에 따라 기술도에 있어서도 서양화 양식이 도입되었는데 기술도의 서양화는 단순히 원근법이나 명암법의 도입이 아니라 척도단위의 변화, 이에 따른 비례개념의 변화, 시점의 변화 등 복합적인 것이어서 이를 통하여 현재까지 논의되어온 동양회화에 미친 서양회화의 영향에 대한 연구와는 달리 새로운 측면에서 그 서양화 과정을 검토할 수 있다. 이 협동연구의 두 번째 세부과제가 이를 대상으로 했다.
      17세기 서양과학의 도입과 그 영향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주로 서양 과학지식이나 자연철학, 우주론 등에 치우쳤다. 이 연구는 서양의 기계와 역학에 대한 중국 지식인의 이해와 태도를 밝힘으로써 이를 보완했다. 특히 왕징이라는 한 지식인이 기계에 대한 지식을 다루는 분야가 하나의 學으로서의 지위를 지님을 확고히 하려고 했음을 보았다. 한편 서양미술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산수화에서의 원근법 도입 내지는 인물화에 있어서 음영법의 도입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양식사적 접근방법이 취해져 온 까닭에 산수화, 인물화 등의 감상화 외에 지도, 천문지리, 의술서, 종교서, 농서, 기기도설 등 실용서를 圖解하는 회화가 다수 등장하고 새로운 기술 및 機器의 도입으로 회화기법에서도 많은 변화가 이루어진 상황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 이 연구는 이들 기술도와 삽화를 중심으로 기술적 내용과 동시에 양식적 특성을 서양기술도와 전통기술도를 비교하여 가며 분석함으로써 이를 보완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결과보고서 1의 전체페이지수는 20, 결과보고서 2의 전체페이지수는 19임.

      결과보고서 1의 전체페이지수는 20, 결과보고서 2의 전체페이지수는 19임.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결과보고서 1 - 17세기 중국의 기계와 역학에 대한 관념: 왕징의 <기기도설>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역예지학(力藝之學)과 그 문제들" 3. "역예지학"의 학문적 정당화 4. ...

      결과보고서 1 - 17세기 중국의 기계와 역학에 대한 관념: 왕징의 <기기도설>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역예지학(力藝之學)과 그 문제들"
      3. "역예지학"의 학문적 정당화
      4. 왕징의 역예지학과 15, 16세기 유럽의 기계적 기술
      5. 맺는 말

      결과보고서 2 - <기기도설>의 기술도 분석
      1. 서론
      2. <기기도설>의 제 1, 2권
      3. <신제기기도설(新製奇器圖說)>
      4. 기기도설의 기술도
      5. 맺음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