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GIS 기반의 도심지 지반침하지도 작성 사례 = GIS-based Subsidence Hazard Map in Urba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023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연사면의 붕괴를 예측하기 위한 위험지도는 지형학적, 수문학적 및 지질학적 요소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지형적인 요소는 수치고도모형(DEM)으로부터 추출하여 작성된 방위도, 경사도, 곡...

      자연사면의 붕괴를 예측하기 위한 위험지도는 지형학적, 수문학적 및 지질학적 요소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지형적인 요소는 수치고도모형(DEM)으로부터 추출하여 작성된 방위도, 경사도, 곡률, 지형지수를 포함하며, 풍화대의 심도를 반영하고 있다. 수문학적 요소는 토양배수(soil drainage), 습윤지수가 불안정성을 판단하는 주요 요소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시 지역은 평야(저지대)에 위치하므로 지형요소와 수문요소만으로 위험지도를 작성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와 같은 평탄한 저경사 지역의 붕괴 위험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수계, 토양심도(풍화토심도)와 지하수 수위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해석 요소로 사용하였으며, 위험지도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강남구와 여의도 지역에서 과거 발생한 재해 기록과 비교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기존에 작성된 재난안전연구원의 재해위험도는 지형적인 요소만이 반영되었으므로 도심지는 대체로 안정된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고, 과거 붕괴 이력이 반영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붕괴위험도는 풍화대 심도, 토양 배수조건, 지하수 조건, 고수계 등을 입력자료로 추가하였다. 그 결과 실제 붕괴가 발생한 지점에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실제 붕괴이력과 지반침하지도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존 방식에 의한 붕괴위험 지도에서는 3등급은 12%, 4등급은 88%로 분석되었으나, 도심지 특성을 고려한 지반침하지도에서는 2등급 2%, 3등급 29%, 4등급 66%, 5등급 2%으로 재해취약성의 변화가 잘 나타났으며, 실제 붕괴가 발생한 지점에서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상당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azard maps for predicting collapse on natural slopes consist of a combination of topographic, hydrological, and geological factors. Topographic factors are extracted from DEM, including aspect, slope, curvature, and topographic index. Hydrologica...

      The hazard maps for predicting collapse on natural slopes consist of a combination of topographic, hydrological, and geological factors. Topographic factors are extracted from DEM, including aspect, slope, curvature, and topographic index. Hydrological factors, such as soil drainage, stream-power index, and wetness index ar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lope instability. However, most of the urban areas are located on the plain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hazard map using the topography and hydrological factors. In order to evaluate the risk of subsidence of flat and low slope areas, soil depth and groundwater level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as a factor for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hazard map was compared with the disaster history of the study area (Gangnam-gu and Yeouido district). In the disaster map of the disaster prevention agency, the urban area was mostly classified as the stable area and did not reflect the collapse history. Soil depth, drainage conditions and groundwater level obtained from boreholes were added as input data of hazard map, and disaster vulnerability increased at the location where the actual subsidence points. In the study area where damage occurred, the moderate and low grades of the vulnerability of previous hazard map were 12% and 88%, respectively. While, the improved map showed 2% high grade, moderate grade 29%, low grade 66% and very low grade 2%.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actual dama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병곤, "토석류 산사태 예측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형 개발" 대한지질공학회 14 (14): 211-222, 2004

      2 최은경, "지형 요소를 고려한 백두산 지역의 위험도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4 (34): 605-614, 2013

      3 Wilson, J. P., "Terrain Analysis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Inc 479-, 2007

      4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NDMI), "Study on the Steep Slope Information Compilation and Establishment of an Analysis System" NDMI 270-, 2008

      5 Korea Disaster Prevention Association, "Special issue : Urban disaster for preemptive response to abnormal climate" 13 (13): 312-, 2011

      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KICT), "Planning Study: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kife Detection and Rapid Rescue in Disaster Area of Urban Underground Collapse" KICT Internal 130-, 2014

      8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National assessment on sea level rise impact of Korean coast in the socioeconomic context.1" KEI 344-, 2011

      9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10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1 채병곤, "토석류 산사태 예측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형 개발" 대한지질공학회 14 (14): 211-222, 2004

      2 최은경, "지형 요소를 고려한 백두산 지역의 위험도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4 (34): 605-614, 2013

      3 Wilson, J. P., "Terrain Analysis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Inc 479-, 2007

      4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NDMI), "Study on the Steep Slope Information Compilation and Establishment of an Analysis System" NDMI 270-, 2008

      5 Korea Disaster Prevention Association, "Special issue : Urban disaster for preemptive response to abnormal climate" 13 (13): 312-, 2011

      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KICT), "Planning Study: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kife Detection and Rapid Rescue in Disaster Area of Urban Underground Collapse" KICT Internal 130-, 2014

      8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National assessment on sea level rise impact of Korean coast in the socioeconomic context.1" KEI 344-, 2011

      9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10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11 "KBS"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eotechnical Information DB system"

      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Geotechnical Information DB System"

      14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Seoul sheet (1982), Ddug seom sheet (1981), Anyang sheet (1975), Dunjeon sheet (1982)"

      15 Costa-Cabral, M., "Digital elevation model networks (DEMON): A model of flow over hillslopes for computation of contributing and dispersal areas" 30 : 1681-1692, 1994

      16 Kim, Y. J., "Analysis of Regional Geologic Hazards using GIS" 1 (1): 84-94, 1993

      17 Yang, I. T., "Analysis of Landslide Factors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19 (19): 273-281, 2001

      18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NDMI), "A study on the failure characteristics and safety factors of steep slopes based on the rainfall infiltration analysis - unsaturated characteristics and steep-slope risk evaluation of weathered metamorphic soil test-beds" NDMI 308-, 2013

      19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MPSS), "2015 statistics annual report" 426-,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8 0.56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