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연구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renting Program for increasing Family Resil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404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복지실천의 핵심 관점인 강점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가족에 대한 지원책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복지실천의 핵심 관점인 강점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가족에 대한 지원책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부모가 가족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효과적인 방식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과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 가족 전체의 탄력성을 높임으로써 가족이 다양한 삶의 위기와 역경을 잘 극복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주요 부모역할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과 비교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프로그램 내용구성을 위해서는 Walsh(1998)가 제시한 가족탄력성 구성요소인 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을 프로그램의 중심축으로 사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첫째, 신념체계에 대한 개입에는 ①가족역사를 통한 가족강점 찾기, ②긍정적 시각, ③자녀의 발달단계 이해와 행동에 대한 해석이 둘째, 조직유형에 대한 개입에는 ①가족규칙 및 역할 탐색, ②가족관계의 향상, ③부모의 리더쉽 강화, ④부모자신 돌보기 및 확대가족과 사회적 지지의 활용이, 그리고 셋째, 의사소통과정에 대한 개입에는 ①명확한 의사소통하기, ②개방적인 대화하기, ③상호 협력적 문제해결하기가 포함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부모의 역할능력과 가족탄력성을 증진함으로써 아동 및 청소년의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예방하고 건강한 가족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후속연구로서는 지역사회내의 복지관이나 가족 및 아동상담센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직접 실시하곡 결과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좌 유용성에 대한 실증적 검증이 이루어져야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Parenting Program for increasing Family Resilience based on the strength perspective which has been a key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and family resilience approach. To develop the program, previous paren...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Parenting Program for increasing Family Resilience based on the strength perspective which has been a key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and family resilience approach. To develop the program, previous parenting program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nd the concept of family resilience was studied in order to make the framework of the program. Walsh(1998)'s family resilience model played a significant role. The perspectives and goals of the program were selected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developed. The intervention for belief system consists of three components:① searching for the strength of a family through a family history, Q positive outlook, and ③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and interpretation of behaviors. The intervention for organizational pattern consists of four components: ① exploring family rules and roles, Q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hip, ③ strengthening leadership of parents, and ④ caring for oneself as a parent and gaining social support from extended family and community. The intervention for communication process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① communicating clearly, Q opening emotional expression, and ③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aim of the Parenting Program is to help parents maximize family strength on their own, guide their children in more efficient way, and as a result, raise parental competence and family resilience. This will surely play a vital role as a useful method of social work practice in preventing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hood and adolescent in terms of strengthening healthy family functioning. Furthermore, this program can have benefits from solving the problems of previous parenting programs with deficit perspective which is opposite to strength perspective and have advantage of cultural sensitiveness to apply to Korea because it utilizes each family s strength and resource in it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과정
      • Ⅲ. 부모역할 프로그램 고찰
      • 1. 부모역할 프로그램이란?
      • 2. 기존 부모역할 프로그램 고찰
      • Ⅰ. 서론
      • Ⅱ. 연구과정
      • Ⅲ. 부모역할 프로그램 고찰
      • 1. 부모역할 프로그램이란?
      • 2. 기존 부모역할 프로그램 고찰
      • Ⅳ. 가족탄력성의 개념과 구성요인
      • 1.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 개념
      • 2. 가족탄력성의 구성요소
      • Ⅴ.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
      • 1. 프로그램의 기본 관점
      • 2. 프로그램 목표
      • 3.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4. 프로그램 운영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