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옹기 생산자 중심의 민속분류체계와 문화지도 = Folk Classification System and Ethnocartography Centered on Pottery Produc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68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경상북도 지역의 옹기를 제작하는 장인들이 인식하는 옹기민속분류체계를 현지조사를 통해 파악하며 그것들이 갖는 지역별 시대별 특징들을 문화지도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 것...

      이 연구는 경상북도 지역의 옹기를 제작하는 장인들이 인식하는 옹기민속분류체계를 현지조사를 통해 파악하며 그것들이 갖는 지역별 시대별 특징들을 문화지도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옹기 장인들은 용도를 완전히 무시하지는 않지만 생산 활동과 관련한 고유한 옹기 분류체계를 갖고 있다. 생산자들의 옹기 분류에서 공통으로 드러나는 특징은 ‘자리’를 중심으로 한다는 점이다. ‘자리’는 단순히 옹기의 용적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지만 생산에서 유통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옹기문화를 이해하는 핵심적인 개념에 해당하는 민속어휘이다. 그리고 재래식의 대포가마일수록 ‘가마재우기’와 관련하여 분류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옹기장인들의 옹기에 대한 민속분류체계에는 ‘가마재우기’와 ‘자리’ 그리고 용도가 중요한 기준이 된다.
      둘째, 옹기 소비자들과는 달리 옹기를 제작하는 장인들의 옹기 분류체계에는 ‘자리’와 ‘가마재우기’가 보다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 재래식 대포가마형태일수록 ‘가마재우기’가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재래식의 대포가마는 가마의 구조가 일자형의 1칸으로서 개량식의 칸가마보다는 ‘가마재우기’에 더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옹기를 제작하는 사람들은 옹기의 생산이 최종적인 목표이기 때문에 옹기제작의 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소성과정이 중요하게 작용한 것이라 하겠다.
      셋째, 옹기 장인들의 옹기 분류체계는 용도에 따라서는 크게 독류/단지류/버지기류/뚜껑류/기타로 구분되며, 지역에 따라 독과 단지가 하나의 범주를 이루기도 하고, 버지기류가 동이와 버지기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이들 범주들은 최근에 가까울수록 단순화되어 독류나 버지기류는 사라지고 단지류와 뚜껑류로 단순화되는 경향이 있다. 큰 독이나 버지기, 그리고 술두루미나 똥장군 등의 사회적인 수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넷째, 옹기 장인들의 민속분류체계는 옹기의 분류 기준, 분류의 세분화 정도, 자리 개념의 변화정도, 특정 분류항목에 대한 명명법, 특정 옹기의 유무, 제작자의 이동경로 등에서 권역별 차이를 보인다. 분류 기준이 ‘자리수’인가 아니면 ‘가마재우기’인가에 따라서 개량식 칸가마 권역과 재래식 대포가마 권역으로 구분되며, 자리 개념도 1자리가 1말에 가까운 권역과 1자리가 2말 내지 3말 정도로 커진 지역들이 있다. 그리고 4자리 정도 크기의 버지기를 일컫는 용어에서도 지역별 차이가 두드러지며, 뚜껑류를 지칭하는 용어에도 지역별 차이가 있다. 또한 ‘큰 대정’의 유무에 따라 술독을 생산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구분이 있기도 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olk classification system pottery producers use in Gyeongsangbuk-do area and to present the regional,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is system as it is presented through the ethnocartography. The following ...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olk classification system pottery producers use in Gyeongsangbuk-do area and to present the regional,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is system as it is presented through the ethnocartography.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Firstly, pottery producers have their own pottery classification system that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roduction methods even though it is not that they ignore the usages of the pottery. One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ir system is they focus on ‘jari’. ‘Jari’ is a folk-term which not only refers to the capacity of pottery, but also a key concept of pottery culture that covers the whole process from the pottery production to its distribution. Traditional daepo gama(cannon shape kiln) users tend to classify based on gama jaeugi(piling up method of pottery). In brief, the folk classification system of pottery producers focuses on these standards: gama jaeugi, jari, and its usages.

      Secondl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pottery producers puts emphasis on ‘jari’ and gama jaeugi unlike the pottery consumers. Traditional daepo gama users puts more significance on gama jaeugi because the users of traditional daepo gama which is one-compartment-flat structured should put more energy on gama jaeugi than the case of kan gama(compartmented kiln), an improved kiln. Pottery producers put more significance on the calcifying process, which is the last step of producing pottery because the pottery itself is the final end of their work.

      Thirdly, pottery producers categorize the pottery into dok, danji, beojigi, lids, and others according to their usages. Dok and danji can be combined into one category and beojigir can be categorzed into dongi and beojigi. These categories are becoming simplified into danji and lids, leaving behind the relatively complicated dokr and beojigi. Social changes have lessened the demand for big dok, beojigi, suldurumi, or ddongjanggun, etc.

      Fourthl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pottery producers regionally differentiate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pottery classification, the degree of detailed classification, changes of ‘jari’ concept, nomenclature of a certain category, the presence of a certain pottery, and the moving path of producers, etc. The regions are categorized into improved kan gama region and traditional daepo gam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whether it is either jarisu(the number of jari) or gama jaeugi. Some regions consider one jari as one mal(20ℓ), whereas others consider it as two or three mal. Regional difference is distinct in referring to a beojigi whose size is 4 jari. The presence of big daejeong(pottery master) is also a factor of categorizing reg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왕한석, "한국 친족호칭체계의 의미기술" 24 : 1992

      2 조숙정, "콩에서 발견한 전북의 음식문화" 전라북도․국립민속박물관 2008

      3 왕한석, "제주 사회에서의 조 및 관련 명칭에 대한 일 연구" 29 (29): 1996

      4 유승훈, "전북 부안 연동 마을의 옹기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5 민경은, "옹기점 운영의 생산·분배적 조건과 신앙풍속" 국립민속박물관 (23) : 137-164, 2008

      6 안귀남, "옹기의 형태별 명칭에 따른 문화지도" 한국문화인류학회 2009

      7 배영동, "옹기의 제작기술과 판매방식" 한국역사민속학회 (6) : 1997

      8 안혜경, "옹기의 사용과 여성의 가사활동에 관한 연구—예천 금당실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3

      9 정병락, "옹기와의 대화" 옹기민속박물관 1997

      10 안귀남, "옹기명칭의 인지적 분류체계" 역사문화학회 12 (12): 81-116, 2009

      1 왕한석, "한국 친족호칭체계의 의미기술" 24 : 1992

      2 조숙정, "콩에서 발견한 전북의 음식문화" 전라북도․국립민속박물관 2008

      3 왕한석, "제주 사회에서의 조 및 관련 명칭에 대한 일 연구" 29 (29): 1996

      4 유승훈, "전북 부안 연동 마을의 옹기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5 민경은, "옹기점 운영의 생산·분배적 조건과 신앙풍속" 국립민속박물관 (23) : 137-164, 2008

      6 안귀남, "옹기의 형태별 명칭에 따른 문화지도" 한국문화인류학회 2009

      7 배영동, "옹기의 제작기술과 판매방식" 한국역사민속학회 (6) : 1997

      8 안혜경, "옹기의 사용과 여성의 가사활동에 관한 연구—예천 금당실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3

      9 정병락, "옹기와의 대화" 옹기민속박물관 1997

      10 안귀남, "옹기명칭의 인지적 분류체계" 역사문화학회 12 (12): 81-116, 2009

      11 김종달, "예천 지방 옹기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7

      12 권이구, "언어와 문화"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연구회 1 : 1980

      13 왕한석, "언어․사회․문화:언어인류학의 주요 조류" 4 (4): 1996

      14 이남식, "색채와 방위신의 민속지 in : 한국민속과 문화연구" 형설출판사 1990

      15 김재호, "산골사람들의 물 이용과 민속적 분류체계—예천군 선동마을의 사례—" 안동대학교 2007

      16 박선미, "산골마을 사람들의 산나물 분류체계 연구" 한국민속학술단체연합회․전라북도․국립민속박물관 2008

      17 박성용, "사라진 옹기형태별 문화경계" 민족문화연구소 (40) : 181-212, 2008

      18 이창언, "동해안지역 옹기점의 분포와 변화 -영덕지역과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40) : 213-246, 2008

      19 조숙정, "김치와 문화적 지식: 전라도 김치의 명칭과 구분법에 대한 인지인류학적 접근" 한국문화인류학회 40 (40): 83-127, 2007

      20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옹기문화지도제작팀, "경북지역 옹기 문화지도 제작 1차년도 종합자료집 1‧2‧3" 2008

      21 정병호, "甕器" 문화재관리국 1987

      22 光州直轄市立民俗博物館, "光州 三所洞 新興마을 甕器" 1992

      23 김재호, "‘꺼매기’옹기의 생산·소비방식과 문화사적 의의" 민족문화연구소 (39) : 261-286, 2008

      24 Sayers, Robert, "The Korean Onggi Potter"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987

      25 김재호, "1970-80년대 옹기상인의 거래 장부 분석을 통한 옹기문화지도" 역사문화학회 12 (12): 151-18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