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세 부산의 역사와 “만덕동 사지” = The History of Medieval Busan and “the Mandeok-dong Temple Si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9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rough a place of the Mandeok-dong temple site and excavated objects,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rom the Gorye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Mandeok-dong temple site was within the extent of Dongpyeong-hyeon(...

      This paper examines through a place of the Mandeok-dong temple site and excavated objects,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rom the Gorye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Mandeok-dong temple site was within the extent of Dongpyeong-hyeon(東平縣) where was Dongrae-hyeon․gun(東萊縣․郡) and Yangju·Yangsan-gun`s Sokhyeon(屬縣). In the Dongpyeong-hyeon, according to Seonaksa-Jongmyeong(鐘銘), there were Hyang-Ri(鄕吏) group -Hojang(戶長), Jejangri(諸長吏) and others-, it was governed under them. And also an indigenous family name of Dongpyeong Lee Clan existed, this power would have accumulated economic wealth stand on the basis of Nakdonggang River. Based on this economic wealth, Dongpyeong-hyeon`s ruling power not only built the Deokcheon-dong Ancient Tombs but also existed as the Mandeok-dong temple site and Seonaksa temple`s major Danwol(檀越).
      Secondly, contemplating that Gukjangsaeng(長生標), Danggangiju(幢竿支柱), Geumdang(金堂)(was revealed in three-time excavation), an area of scattered antiquities around temple site, the Mandeok-dong temple site had a considerable range of temple domain, Considering that the name of the temple site in Mandeok-dong coincides with the inscriptions of the roof tiles of ‘Gibisa’, the Geumsansahyangwanmyeong, and the inscriptions and documents of the recently excavated temple site in Busan and Gyeongnam, it can be seen that the temple`s name is ‘Gibisa’.
      Thirdly, the scale of the Geumdang site was found in the three-time excavation of the Mandeok-dong temple site, and also important relics such as high-quality inlaid celadon porcelain, Chimi(鴟尾), Jabsang(雜像). Considering that, it would have maintained the supreme influence in the period around the 12th and 13th centuries of the Goryeo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만덕동 사지의 공간적 장소와 출토 유물 등을 통해 검토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덕동 사지는 고려에서 조선초기까지 東萊縣․郡과 梁州ㆍ梁山郡의 속현이었...

      본고는 만덕동 사지의 공간적 장소와 출토 유물 등을 통해 검토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덕동 사지는 고려에서 조선초기까지 東萊縣․郡과 梁州ㆍ梁山郡의 속현이었던 東平縣의 공간적 범위 내에 있었다. 동평현은 仙岳寺鐘銘을 통해 戶長과 諸長吏 등의 향리세력이 존재하였고, 이들의 지배를 받았다. 동평현에는 동평이씨 등의 土姓이 존재하였고, 이들 세력은 낙동강을 기반으로 경제적 부를 축적하였을 것이다. 동평현의 지배세력은 경제적 부를 바탕으로 덕천동 고분군을 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만덕동 사지와 선악사 등의 주요 단월로 존재하였다.
      둘째, 만덕동 사지는 국장생, 당간지주, 3차의 발굴에서 드러난 금당, 사지 주위의 유물 산포지 등을 고려할 때 상당한 범위의 사역을 가지고 있었다. 만덕동 사지의 사명은 ‘祇毗寺’의 기와 명문과 <金山寺香完銘>에 ‘祇毗寺’의 기록 , 그리고 부산ㆍ경남지역에서 최근 발굴된 사지의 명문과 문헌에 기록된 사명이 일치하는 사례 등을 고려할 때 ‘기비사’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만덕동 사지는 3차에 걸친 발굴에서 금당지의 규모, 그리고 고급의 상감청자, 치미, 잡상 등의 중요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이를 고려할 때 高麗 12ㆍ13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최고의 사세를 유지하였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요근, "후삼국시기 고려의 ‘주(州)’·‘부(府)’ 분포와 그 설치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73) : 159-200, 2009

      2 민현구, "한우근박사정년기념논총" 1981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황수영, "한국금석유문" 일지사 1985

      5 노명호,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1)" 서울대 출판부 2000

      6 "태종실록"

      7 이근열,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 부산지명 연구" 우리말학회 (41) : 125-178, 2015

      8 김당택, "원간섭하의 고려정치사" 일조각 1998

      9 "여지도서(동래부지)"

      10 정용숙, "신라ㆍ고려시대 지방제도의 정비와 기장" 8 : 1996

      1 정요근, "후삼국시기 고려의 ‘주(州)’·‘부(府)’ 분포와 그 설치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73) : 159-200, 2009

      2 민현구, "한우근박사정년기념논총" 1981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황수영, "한국금석유문" 일지사 1985

      5 노명호,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1)" 서울대 출판부 2000

      6 "태종실록"

      7 이근열,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 부산지명 연구" 우리말학회 (41) : 125-178, 2015

      8 김당택, "원간섭하의 고려정치사" 일조각 1998

      9 "여지도서(동래부지)"

      10 정용숙, "신라ㆍ고려시대 지방제도의 정비와 기장" 8 : 1996

      11 "세종실록"

      12 김동철, "상업과 화폐" 14 : 1993

      13 "삼국유사"

      14 "삼국사기"

      15 통도사 법보원, "불교사전" 1961

      16 부산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지(하)" 1974

      17 부산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Ⅰ)" 1989

      18 부산광역시 북구, "부산북구향토지" 2014

      19 부산박물관, "부산만덕사지(유적조사보고서 제7책)" 1993

      20 복천박물관, "부산만덕사지 Ⅲ" 2007

      21 부산박물관, "부산만덕사지 Ⅱ" 1998

      22 부산박물관, "부산덕천동고분군" 1983

      23 최정혜, "부산 송선사지와 출토 유물" 15 : 2009

      24 동의대학교 박물관, "부산 망미동 동래 고읍성" 2006

      25 최정혜, "부산 만덕동사지 사명 고찰" 11 : 2004

      26 이근열, "부산 기비현(其比峴) 말밑 연구" 한국지명학회 13 : 201-233, 2007

      27 경남문화재연구원, "부산 금곡동 동원지" 2006

      28 합천박물관, "백암리절터, 마음 비추는 법등만 남아 있다" 2020

      29 정용숙, "동래구지" 동래구지" 1995

      30 경남문화재연구원, "동래고읍성지" 2007

      31 "동국여지승람"

      32 부산박물관, "당감동성지Ⅰ" 1995

      33 부산박물관, "당감동성지 Ⅱ" 1998

      34 구산우, "나말여초의 울산지역과 박윤웅-藿所의 기원과 관련하여-" 5 : 1992

      35 이종봉, "나말여초 양주의 동향과 김인훈" 부경역사연구소 (13) : 87-112, 2003

      36 경남문화재연구원, "김해 덕산리사지" 2006

      37 김기섭, "기장군의 역사와 문화유산" 8 : 1996

      38 동아대학교 박물관, "구포덕천동유적" 2006

      39 신은제, "공민왕 즉위초 정국의 동향과 전민변정" 한국중세사학회 (29) : 371-400, 2010

      40 구산우, "고려향촌지배체제연구" 혜안 2003

      41 채상식, "고려중기의 정치정세와 동래정씨" 28-29 : 2005

      42 채상식, "고려시대의 부산-인물과 문화"

      43 구산우, "고려시대 부산지역의 지방행정구조" 20 : 2004

      44 이종봉, "고려시대 부산지역의 대외교류" 20 : 2004

      45 이종봉, "고려시대 경남 사람들(내손안의 경남 11)" 선인 2019

      46 조원창, "고려시기 잡상 연구" 역사문화학회 16 (16): 7-40, 2013

      47 박종진, "고려시기 ‘수취단위’의 의미와 속현의 지위" 32 : 1999

      48 "고려사절요"

      49 "고려사"

      50 홍영의, "고려말 정치사 연구" 헤안 2005

      51 최정환, "고려ㆍ조선시대 녹봉제 연구" 경북대출판부 1991

      52 박종기, "고려 태조 23년의 군현개편에 관한 연구" 19 : 1988

      53 배상현, "고고학적 조사 성과로 본 고려시대 경남지역의 불교 사원 -유적의 현황과 공간으로의 접근-" 한국중세사학회 (38) : 405-448, 2014

      54 복천박물관, "고고학으로 본 부산의 역사" 2005

      55 이광린, "경주인 연구" 7 : 1962

      56 "경상도지리지"

      57 "경상도속찬지리지"

      58 염영하, "韓國의 鐘" 서울대 출판부 1998

      59 부산박물관, "釜山기와-지붕의 품격을 더하다-" 2015

      60 송계현, "萬德寺址 發掘調査槪報"

      61 坪井良平, "朝鮮鐘の補遺資料" 16 : 1960

      62 강정미, "慶南地域 寺址 출토 高麗靑磁의 편년과 특징" 동아시아문물연구소 13 (13): 3-70, 2008

      63 "『세종실록』지리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1.44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