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도 카테터 삽입술에서 리도카인 윤활제의 통증 감소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53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요도 카테터 삽입술에서의 리도카인 윤활제의 통증 감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연구이다. 문헌검색은 PRISMA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데이터베...

      본 연구는 요도 카테터 삽입술에서의 리도카인 윤활제의 통증 감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연구이다. 문헌검색은 PRISMA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데이터베이스 7개(MEDLINE, Cochrane Central, CINAHL, RISS, Koreamed, KISS, NDSL)와 회색문헌을 통해 수행되었다. 비뚤림 위험은 Risk of Bias(RoB) 도구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자료의 분석은 RevMan 5.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문헌의 선택배제기준에 따라 합계 성인 대상자 1904명이 포함된 16편의 문헌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funnel plot에서 비뚤림 위험이 관찰되지 않았다. 리도카인 윤활제의 통증 점수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표준화된 평균차이가 SMD -0.96(95% CI: -1.43, -0.49)로, 전반적으로 유의한 통증 감소효과를 보였다(p<.001). 이질성((I2=95%, p<.001)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 카테터 종류(도뇨카테터, 경성 및 연성방광경 카테터)에 따라 하위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표준화된 평균차이가 각각 SMD -0.88(95% CI:-1.51, -0.26), -0.31(95% CI:-0.63, 0.01), -1.93(95% CI:-2.88, -0.97)이었다. 도뇨카테터 삽입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통증 감소 효과가 있었으나 경성방광경 카테터에서는 남성에서만 유의한 통증 감소 효과가 있었다. 용량에 있어 경성 방광경 카테터에서는 리도카인 윤활제를 10-11ml 이상을 사용한 경우 통증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다. 도뇨카테터에서는 리도카인 윤활제를 도포하는 방법만으로도 시간에 관계없이 유의한 통증 감소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리도카인 젤은 남성의 요도 내로 경성방광경 카테터를 삽입하는 경우, 남녀 모두에게 도뇨카테터 삽입을 하는 경우에 유용한 통증 감소용 윤활제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at evaluated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pain reduction effects of lidocaine gel for urethral catheterization in adult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seven electronic databases, gray...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at evaluated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pain reduction effects of lidocaine gel for urethral catheterization in adult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seven electronic databases, gray literature and other resources based on the guidelines of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ISMA). A Risk of Bias (RoB) tool was applied to assess the quality of selected studie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vMan 5.3.-program. Sixte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volving 1904 adults were included. RoB was not observed in the funnel plot. Overall, lidocaine gel was effective for pain reduction during urethral catheterization (Standard Mean Difference[SMD] -0.96;95% CI: -1.43, -0.49). To explore the cause of heterogeneity (I2=95%, p<.001),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ree catheter types (urinary catheter, flexible cystoscopy, and rigid cystoscopy) and the SMDs were -0.88 (95% CI:-1.51, -0.26), -0.31 (95% CI:-0.63, 0.01), and -1.93 (95% CI:-2.88, -0.97), respectively. A significant pain reduction effect was observed regardless of gender in urinary catheterization. However, in rigid cystoscopy, a significant pain reduction effect was observed only in male subjects. Pain reduction effects were observed when 10∼11ml lidocaine gel was used during rigid cystoscopy and when lubrication was used during urinary catheterization, irrespective of application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idocaine gel is a useful anesthetic lubricant for urinary catheterization and rigid cystoscopy in male ad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 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 결과
      • 4. 논의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