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 강점기 시의 교육 쟁점과 방법 = On the Issues and Methods of Teaching Korean Poems in the Colonialism Perio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now, the poems and the history of those in the colonialism period have kept the major status in teaching poetry curriculum. Especially, the concepts of modern poetry are induced from those and the example works selected from among those. This cu...

      Until now, the poems and the history of those in the colonialism period have kept the major status in teaching poetry curriculum. Especially, the concepts of modern poetry are induced from those and the example works selected from among those. This current educational systems are constructed for crucial aims and reasons. Say, it is taken for granted that the aim of teaching korean poetry is to render citizens with korean nationality. And because those poems, actually the traditional folky lyrics and the resistant poems seem to be representative of 'modern and national' consciousness, those poems may well being more prefered to others. Of course, this system has many merits and has devoted to teaching poetry. This system, however, needs to be reshaped and complemented by more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methods.
      First, we pay more attention to continuity-discontinuity between those and comtemporary ones. Actually, contemporary poems are different from those and explained by differnt paradigms. In this situations,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contemporary poems based on the concepts only from among those. So, we are to teach the nature of poetry through the inclusive concepts.
      Secondly, the historical knowledges of poetry in the colonialism period are unconsistent among literary textbooks for students, especially about the division of period during those times. On the behalves of students, these contradictions are unefficient and confused. And most have unbalanced and biased contents speciall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le and female poems,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poems, between purism and politic awareness in poetry, between adult and adolescent poems. Moreover, most of literary textbooks don't pay proper attention to poetic achivements in the late 1930, but those achivements are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Therefore, we need to reshap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knowledge.
      Finally, the current methods of teaching poetry during the colonialism period are unfruitful in motivating student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historical knowledge for understanding those poems. So we need to develop the activating methods that permit student to write the history of poetry in colonialism period through their own's perspective and for their own's interests. This pedagogy are focused on the spontaneousness of students and the freely participant opportunitis for students. And this method is organized from basic works of co-reading the famous and unknown poems to write the his own's poetry history. This system is more efficient for activating student and evolving their interests in po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시교육 현상의 진단과 문제제기
      • 2. 일제 강점기 시의 교육 쟁점과 내용
      • 3. 일제 강점기 시의 교육 방법
      • 4. 일제 강점기 시의 교육 전망
      • 참고문헌
      • 1. 시교육 현상의 진단과 문제제기
      • 2. 일제 강점기 시의 교육 쟁점과 내용
      • 3. 일제 강점기 시의 교육 방법
      • 4. 일제 강점기 시의 교육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문학의 두 가지 지향성의 변증법」" 1974

      2 "「한국문학의 근대와 반근대 -- 1930년대 후반기 문학의 전통주의 연구」" 1992

      3 "「조선문학에의 반성-현대조선문학의 한 과제」" 38-46, 1940

      4 "「여러 문제와 교육자의 가질 태도」" (94) : 1946

      5 "「문학사 교육 방법론 연구」" 1992

      6 "「근대시·현대시의 개념과 기점」 ꡔ한국현대시사의 쟁점ꡕ" 1991

      7 "「국문학 연구 30년의 자취」 ꡔ우리 문학과의 만남ꡕ" 1978

      8 "「1930년대 후반의 시적 상황」 ꡔ한국현대시사의 쟁점ꡕ" 1991

      9 "「1930년대 후반 한국시의 고향의식 연구」" 1998

      10 "현대시교육의 지배적 담론에 관한 연구" 1996

      1 "「한국문학의 두 가지 지향성의 변증법」" 1974

      2 "「한국문학의 근대와 반근대 -- 1930년대 후반기 문학의 전통주의 연구」" 1992

      3 "「조선문학에의 반성-현대조선문학의 한 과제」" 38-46, 1940

      4 "「여러 문제와 교육자의 가질 태도」" (94) : 1946

      5 "「문학사 교육 방법론 연구」" 1992

      6 "「근대시·현대시의 개념과 기점」 ꡔ한국현대시사의 쟁점ꡕ" 1991

      7 "「국문학 연구 30년의 자취」 ꡔ우리 문학과의 만남ꡕ" 1978

      8 "「1930년대 후반의 시적 상황」 ꡔ한국현대시사의 쟁점ꡕ" 1991

      9 "「1930년대 후반 한국시의 고향의식 연구」" 1998

      10 "현대시교육의 지배적 담론에 관한 연구" 1996

      11 "현대시교육과 성장시」" 제16집 : 2003

      12 "탈근대 인식론과 생태학적 상상력" 한신문화사 9-14, 1997

      13 "여성시의 문학교육적 의미 연구" (11) : 2003

      14 "식민지시대의 민족·계급문제와 여성성: 한국여성문학의 이해" 예림기획 114-115, 2003

      15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개정판)" 45-63, 2002

      16 "비평 활동 교육의 내용 연구" 2004

      17 "문학교육에서 정전과 학습자의 정서체험이 갖는 위계적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5) : 66-70, 2000

      18 "개화기 시가 지도의 쟁점: 현대시교육론" 시와시학사 339-340, 1996

      19 "ꡔ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ꡕ" 1976

      20 "ꡔ예술의 사회적 생산ꡕ" 19811986

      21 "ꡔ국어교육의 당면한 문제ꡕ" 1-16, 1947

      22 "ꡔ교육의 과정ꡕ" 박영사 19601973

      23 "21세기 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시교육 방법론" (9) : 216-217,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1 1.36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