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集安高句麗碑』의 발견과 내용에 대한 考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102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구려 왕릉을 수묘하기 위해 세워진 고구려비가 중국 집안에서 발견되었다. 집안은 고구려의 왕성, 왕릉이 소재했던 곳이다. 이 발견은 4~5세기 고구려사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

      고구려 왕릉을 수묘하기 위해 세워진 고구려비가 중국 집안에서 발견되었다. 집안은 고구려의 왕성, 왕릉이 소재했던 곳이다. 이 발견은 4~5세기 고구려사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이 비석의 발견으로 인하여 고구려의 수묘제와 관련하여 『광개토왕릉비』에 기록된 내용들이 모두 사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내용은 선대왕의 무덤에 비석을 세운 사실, 수묘인의 매매 및 전매금지령의 시행과 처벌규정을 제정한 사실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광개토왕릉비』에는 보이지 않는 용어들이 있어 당시 수묘제의 실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
      분석 결과, 이 비석은 광개토왕 시기에 건립된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비석은 광개토왕이 祖先王陵에 건립한 비석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이 비석의 건립목적은 왕릉수묘의 원활한 유지와 운영을 위한 수묘비로서 파악하였다. 나아가 이 비석의 주인공을 비석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 천추묘로 비정해 보았다.
      『집안고구려비』에는 독자적인 기록이 보인다. 이들 기록을 분석하여 몇 가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四時祭祀’용어를 통해서 『광개토왕릉비』 건립 이전 시기에 국가제사, 수묘제의 개편이 시행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烟戶頭 ?人名’용어를 통하여 고구려왕릉에 20家의 수묘인이 배치된 사실을 알게 되었다. ‘自戊□定律敎□發令’ 용어를 통하여 수묘관련 율령의 제정 시기를 추정할 수 있었고, 『광개토왕릉비』에 기록된 율령관련 기록과 상호비교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 분석을 통해서 『집안고구려비』가 『광개토왕릉비』보다 이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집안고구려비』는 현존하는 最古의 고구려시대 비석이라는 의미를 갖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a new Koguryo stele monument was unearthed in Jian, China. Jian is the location of the ancient capital of Koguryo and its royal tomb complexh. iTs fresh founding is currently known to provide certain clues to understand 4-5th century Koguryo...

      Recently, a new Koguryo stele monument was unearthed in Jian, China. Jian is the location of the ancient capital of Koguryo and its royal tomb complexh. iTs fresh founding is currently known to provide certain clues to understand 4-5th century Koguryo history from a rather different perspective.
      The discovery eventually confirms the fact that the tomb-guarding system inscribed on the great stele of king Gwanggaeto is indeed authentic. The tobm-guarding system illustrates that the monument was erected at the tombs of former kings, execution of laws forbidding buying and selling of tomb guardians, and formulation of punimshent of legal violations.
      However, the latest monument also reveals several new terminologies which were previously not identified on the Gwanggaeto stele, which then helps to crystallize the realities of tomb-guarding structure of the contemporary period.
      The study results of the new monument are as follows. This stele was fou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geto. The monument was probably one of the steles arranged for the tombs of predecessors by Gwanggaeto the Great. The motive seems to be a kind of landmark for the amicabl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royal tombs. In this research, it is speculated that this stele belongs to the Cheonchu tomb, which is the closest to the stone. Also, additional terminologies and phrases from the new stele were analyzed, which generated colorful interpretations of the Koguryo tombsn ad ancestral ritual syst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集安高句麗碑』의 現狀
      • Ⅲ.『集安高句麗碑』의 건립 시기와 주인공
      • Ⅳ.『集安高句麗碑』의 내용에 대한 고찰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集安高句麗碑』의 現狀
      • Ⅲ.『集安高句麗碑』의 건립 시기와 주인공
      • Ⅳ.『集安高句麗碑』의 내용에 대한 고찰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기환, "집안의 장지명 왕호와 집안의 왕릉 비정, In 고구려왕릉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2 박승법, "집안 고구려왕릉의 제단" 19 : 2005

      3 楊寬著, "중국 역대 陵寢연구" 서경 2005

      4 김택민, "중국 고대의 수릉제도와 율령, In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12

      5 김현숙, "광개토왕비의 성격과 건립목적, In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12

      6 起.煥, "광개토왕비의 국연(國煙)과 간연(看煙)" 13 : 1994

      7 李成市, "광개토왕비의 건립목적기경량" 인하대대학원 2010

      8 이도학, "광개토왕릉비문의 국연과 간연의 성격에 관한 검토" 28 : 2002

      9 손영종, "광개토왕릉비문연구" 도서출판 중심 2001

      10 박시형, "광개토왕릉비"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1 임기환, "집안의 장지명 왕호와 집안의 왕릉 비정, In 고구려왕릉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2 박승법, "집안 고구려왕릉의 제단" 19 : 2005

      3 楊寬著, "중국 역대 陵寢연구" 서경 2005

      4 김택민, "중국 고대의 수릉제도와 율령, In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12

      5 김현숙, "광개토왕비의 성격과 건립목적, In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12

      6 起.煥, "광개토왕비의 국연(國煙)과 간연(看煙)" 13 : 1994

      7 李成市, "광개토왕비의 건립목적기경량" 인하대대학원 2010

      8 이도학, "광개토왕릉비문의 국연과 간연의 성격에 관한 검토" 28 : 2002

      9 손영종, "광개토왕릉비문연구" 도서출판 중심 2001

      10 박시형, "광개토왕릉비"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11 조법종, "고조선고구려사연구" 신서원 2006

      12 이인철, "고구려의 대외정복연구" 백산자료원 2000

      13 桃崎祐輔, "고구려왕릉 출토 기와.부장품으로 본 편년과 연대, In 고구려왕릉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14 이도학, "고구려 광개토왕릉비문 연구" 서경문화사 2006

      15 정호섭,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 서경문화사 2011

      16 張福有, "高句麗王陵通考要報" 2007 (2007): 2007

      17 東潮, "高句麗王陵と陵園制-國內城~平壤城時代-, In 고구려왕릉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18 이도학, "高句麗 王號와 葬地에 관한 檢證" 경주사학회 34 (34): 1-32, 2011

      19 강진원, "高句麗 始祖廟祭祀硏究" 54 : 2008

      20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集安高句麗王陵" 文物出版社 2004

      21 魏存成, "集安高句麗大形積石墓王陵硏究" 2007 (2007): 2007

      22 孫仁杰, "集安高句麗墓葬" 香港亞洲出版社 2007

      23 여호규, "集安地域 고구려 超大型積石墓의 전개과정과 被葬者 문제" 한국고대사학회 (41) : 85-134, 2006

      24 蘇輿撰, "春秋繁露義證 卷15 , In 四祭" 中華書局 1992

      25 정호섭, "廣開土王碑의 성격과 5세기 高句麗의 守墓制 改編" 한국고대학회 (37) : 131-158, 2012

      26 김태식, "廣開土王碑, 父王의 運柩 앞에서 靑年王이 보낸 경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0) : 5-33, 2012

      27 濱田耕策, "好太王碑文の一二の問題" 4 : 1982

      28 盧紅, "吉林集安發現高句麗時期記事碑"

      29 集安文物局, "吉林集安新見高句麗石碑"

      30 "『신발견 『고구려비』 검토 회의』 발표문"

      31 공석구, "『광개토왕릉비』에 나타난 광개토왕의 왕릉관리" 고구려발해학회 39 : 47-72, 2011

      32 조우연, "4∼5세기 고구려 국가제사와 불교신앙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