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19구급대 1급 응급구조사의 전문기도유지술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419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19 구급대의 1급 응급구조사에 의한 심장 마비 환자에 대한 전문기도유지술 실시횟수의 관련 요 인을 파악하였다. 광주소방 본부의 1급 응급구조사 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

      본 연구는 119 구급대의 1급 응급구조사에 의한 심장 마비 환자에 대한 전문기도유지술 실시횟수의 관련 요 인을 파악하였다. 광주소방 본부의 1급 응급구조사 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직업 관련 특성, 자기효능감, 전문기도유지술을 시행하는데 저해요인을 조사하였고, 2010년 1월 1일부터 2011년 6월 30일 까지 전문기도유지술 실시한 자료는 광주 소방본부에서 제공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전문기도유지술 관련 특성과 실시횟수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필요를 느낀 횟수(r=0.397, p<0.01)와 자기효능감(r=0.419, p<0.01)이 상관관계를 보였고, 저해요인과 실시횟수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신감(r=-0.036, p<0.01)과 경험문제(r=-0.405, p<0.01)가 상 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전문기도유지술의 필요성을 제대로 인식하도록 하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현장위주의 교육 프로그램과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advanced airway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by the Level 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95 level-1 medical technicians belonging to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advanced airway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by the Level 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95 level-1 medical technicians belonging to Gwangju Fire Service Headquarter were survey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composed of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barrier factors to performing the advanced airway for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From January 1, 2010 to June 30, 2011, data obtained from the Gwangju Fire Service Headquarter by performance of advanced airway. Self-efficacy toward the necessity of advanced airway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nfidence. The barrier factor to advanced airway performanc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advanced airway performance was necessity and self-efficac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field-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and to improve self-effica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주영,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VSI(Video Self-Instruction)심폐소생술과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비교"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0 (10): 1-15, 2009

      2 정상길, "일부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내용과 관련 요인"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4 (34): 346-358, 2009

      3 김재혁, "병원전단계에서의 응급구조사에 의한 기도유지 및 호흡처치에 대한 시행 현황에 관한 조사" 대한응급의학회 22 (22): 129-141, 2011

      4 김유라, "마네킹을 이용한 병원 전 기도유지도구에 대한 비교 연구 - LMA ClassicTM, Cobra PLATM 및 King LTTM 비교" 대한응급의학회 21 (21): 776-782, 2010

      5 M. J. Yu,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dex, body imag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Daegu University 2010

      6 "Statistics Report System"

      7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8 S. G. Roh, "Proposal for the improved emergency care system of 119 rescue" Yonsei University 2004

      9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Emergency patient survival rates improve plans" 2004

      10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 and Family,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Airway management and Breathing treatment'"

      1 안주영,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VSI(Video Self-Instruction)심폐소생술과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비교"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0 (10): 1-15, 2009

      2 정상길, "일부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내용과 관련 요인"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4 (34): 346-358, 2009

      3 김재혁, "병원전단계에서의 응급구조사에 의한 기도유지 및 호흡처치에 대한 시행 현황에 관한 조사" 대한응급의학회 22 (22): 129-141, 2011

      4 김유라, "마네킹을 이용한 병원 전 기도유지도구에 대한 비교 연구 - LMA ClassicTM, Cobra PLATM 및 King LTTM 비교" 대한응급의학회 21 (21): 776-782, 2010

      5 M. J. Yu,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dex, body imag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Daegu University 2010

      6 "Statistics Report System"

      7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8 S. G. Roh, "Proposal for the improved emergency care system of 119 rescue" Yonsei University 2004

      9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Emergency patient survival rates improve plans" 2004

      10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 and Family,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Airway management and Breathing treatment'"

      11 D. J. Sung, "Current status of CPR in Korea" 73 (73): 4-10, 2007

      12 A. Y. Kim,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39 (39): 96-123, 2001

      13 J. S. Schlessel, "CPR knowledge, self-efficacy, and anticipated as functions of infant/child CPR trainig" 25 (25): 618-623, 1995

      14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 and Family, "Analysis of Appropriateness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RescueㆍTransport stage" 2009

      15 J. Kramer-Johanse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before and after tracheal intubationdirect measurements of quality" 68 (68): 61-69, 2006

      16 M. G. Kim, "A study on the degree of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public health nurs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8

      17 Y. Kim, "A Basic Plan of Emergency Medical Care and Operation Evaluation" 2005

      18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11 Korea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lines"

      19 윤형완, "119구급대의 어려운 기관내삽관 교육 전․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54-265, 2011

      20 한송이, "119 구급대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사단법인 한국응급구조학회 14 (14): 47-64, 2010

      21 G. H. Kang,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elf-efficacy-based life support program for high-risk patients' family caregiv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22 M. A.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Hanyang University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