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왕퇴백서(馬王堆帛書) 『주역』을 통한 중국 고대역학(古代易學)의 재조명 = A Study on the Ancient Yixue(易學) through the Silk Manuscripts of Mawangdui Zhouy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7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마왕퇴백서 『주역』을 현행본 『주역』 및 기타 문헌자료들과 비교·고찰하여, 고대 역학의 한 측면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백서 『주역』에는 현행본과 다른 異文들이 많이 ...

      이 논문은 마왕퇴백서 『주역』을 현행본 『주역』 및 기타 문헌자료들과 비교·고찰하여, 고대 역학의 한 측면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백서 『주역』에는 현행본과 다른 異文들이 많이 있는데, 고대 『주역』 및 역학이론의 면모를 밝히기 위해서는 그 이문에 주목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백서 『육십사괘』 고괘(蠱卦)의 상구효와 몽괘(蒙卦)의 괘사, 백서 『역전』, 「이삼자문(二三子問)」편과 「요(要)」편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를 살펴본다.
      백서 『육십사괘』 고괘(蠱卦)의 상구효에는 현행본에는 없는 ‘흉(凶)’이라는 점단이 붙어 있다. 이를 『예기』, 「표기」 등의 자료와 비교, 분석하면 전한 초기까지 『주역』 텍스트는 안정되어 있지 않았으며, 유가사상가들이 『주역』을 자신의 경전으로 도입하면서 자신들의 사상에 적합하지 않은 ‘흉(凶)’자를 삭제한 것으로 추정된다.
      백서 『육십사괘』 몽괘(蒙卦) 괘사는 현행본의 ‘불고(不告)’를 모두 ‘불길(不吉)’로 쓰는데, 이렇게 쓰는 쪽이 점서로서의 『주역』의 성격과 더 잘 부합한다. 따라서 고대의『역』은‘불길(不吉)’로 쓰여 있었을 것이다. 백서『역전』, 「목화」와『예기』, 「표기」는 몽괘 괘사를 유교적으로 응용하고 있으며, 이 두 문헌을 비교고찰하면 ‘불길(不吉)’에서 ‘불고(不告)’로의 변화가 『주역』의 유교화과정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백서 『역전』, 「이삼자문」에는 『순자』, 「비상(非相)」편과 관련되는 문장이 보인다. 이를 통해 고대 『역』이 유교화되기 시작한 시점이 전국시대 말기의 순자가 활동하던 시대부터임을 알 수 있다. 순자는 『주역』에 큰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주역』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순자의 문인들이 활동하던 시기부터였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백서 『역전』, 「요」편에는 『주역』에 점술적 성격이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덕행과 인의의 책이라는 점이 더욱 중요하다는 내용이 있다. 이것은 백서 『역전』의 저자들이 점서와 경전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정합적으로 종합하려는 시도를 하였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eeks to explore an aspect of the ancient Yixue 易學 history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Yixue theories shown in the Silk Manuscripts of Mawangdui Zhouyi with the current version of it and other related texts. There are many variora in...

      This paper seeks to explore an aspect of the ancient Yixue 易學 history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Yixue theories shown in the Silk Manuscripts of Mawangdui Zhouyi with the current version of it and other related texts. There are many variora in the Silk Manuscripts of the Zhouyi 周易, which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reveal the aspects of ancient text Zhouyi and Yixue theories.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se variora shown in the Silk Manuscript of the Zhouyi focusing on Top Nine of Hexagram Gu 蠱, hexagram statement of Meng 蒙 Hexagram, “The Two or Three Disciples Ask (Ersanzi Wen 二三子問)” and “Yao 要” in the Silk Manuscripts of the Yizhuan 易傳.
      Top Nine of Hexagram Gu in the Silk Manuscript Sixty Four Hexagrams contains a letter of “xiong 凶”, as a divinatio decision, which means ominous that is not in the current version. Comparing and analyzing this with texts such including “Biaoji 表記” of the Liji 禮記, it is estimated that the Zhouyi text was not settl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Qin 秦 and Han 漢 dynasties and that Confucian thinkers deleted the letter of “xiong 凶” that was not suitable for their ideas as they introduced the Zhouyi into their Confucian classics.
      In the hexagram statement of Meng Hexagram in the Silk Manuscript Sixty Four Hexagrams, “bugao 不告” in the current version is all written as “buji 不吉”, which is more in line with the character of the Zhouyi as a book of fortune-telling. Thus, the ancient text of Yi would have been written in “buji”. “Muhe 繆和” of the Silk Manuscript Yizhuan and “Biaoji” of the Liji applies the hexagram statement of Meng in a Confucian way and a comparison of these two texts shows that the change from “buji” to “bugao” coincides with the Confucianization process of the Zhouyi.
      In the “The Two or Three Disciples Ask” in the Silk Manuscripts of the Yizhuan, there are sentences related to “Fei xiang 非相” of the Xunzi 荀子. This shows that ancient text Zhouyi began to be Confucianized from the time when Xunzi was active at the e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Since Xunzi was not very interested in the Zhouyi, it is believed that the Zhouyi began to be actively used from the time when Xunzi's pupils.
      Finally, in the “Yao” in the Silk Manuscripts of the Yizhuan, it acknowledges that there is a characteristic as a book of fortune-telling in the Zhouyi, but it mentions that the Zhouyi. is more important as a book of virtue and righteousness. This shows that the authors of the Silk Manuscripts of the Yizhuan attempted to combine the two characteristics of fortune-telling and scrip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용준, "출토문헌 [주역] 연구 방법론 고찰" 한국동양철학회 (45) : 267-289, 2016

      2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 정병석, "주역 하권" 을유문화사 2011

      4 정병석, "주역 상권" 을유문화사 2010

      5 방인, "역주 주역사전 2" 소명출판 2007

      6 원용준, "상해박초간 『주역』의 亡(无)忘(妄)卦 고찰" 한국한문고전학회 23 (23): 177-207, 2011

      7 원용준, "마왕퇴백서 『역전』의 도기론(道器論) 연구" 한국유교학회 (78) : 159-183, 2019

      8 安徽省文物工作隊, "阜陽雙古堆西漢汝陰侯墓發掘簡報" (8) : 1978

      9 裘錫圭, "長沙馬王堆漢墓簡帛集成 전7책" 中華書局 2014

      10 湖南省博物館, "長沙馬王堆二・三號漢墓發掘簡報" (7) : 1974

      1 원용준, "출토문헌 [주역] 연구 방법론 고찰" 한국동양철학회 (45) : 267-289, 2016

      2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 정병석, "주역 하권" 을유문화사 2011

      4 정병석, "주역 상권" 을유문화사 2010

      5 방인, "역주 주역사전 2" 소명출판 2007

      6 원용준, "상해박초간 『주역』의 亡(无)忘(妄)卦 고찰" 한국한문고전학회 23 (23): 177-207, 2011

      7 원용준, "마왕퇴백서 『역전』의 도기론(道器論) 연구" 한국유교학회 (78) : 159-183, 2019

      8 安徽省文物工作隊, "阜陽雙古堆西漢汝陰侯墓發掘簡報" (8) : 1978

      9 裘錫圭, "長沙馬王堆漢墓簡帛集成 전7책" 中華書局 2014

      10 湖南省博物館, "長沙馬王堆二・三號漢墓發掘簡報" (7) : 1974

      11 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 "長沙馬王堆二・三號漢墓發掘的主要收穫" (1) : 1975

      12 武內義雄, "武內義雄全集 제3권" 角川書店 1979

      13 戶田豐三郎, "易經注釋史綱" 風間書房 1968

      14 鈴木由次郞, "易經(上)" 集英社 1974

      15 于豪亮, "帛書『周易』" (3) : 1984

      16 張政烺, "帛書『六十四卦』跋" (3) : 1984

      17 정병석, "帛書 『易傳』 「要」篇을 통해 본 孔子의 『周易』觀" 한국중국학회 (70) : 369-386, 2014

      18 李鏡池, "周易通義" 中華書局 1981

      19 高亨, "周易古經今注(重訂本)" 中華書局 1984

      20 이승률, "周易 蹇卦의 원의와 유교 경전화 과정: 地下의 서적과 紙上의 서적을 통해 본 周易 六十四卦 卦爻辭의 형성과 전개 Ⅰ" 국학연구원 (163) : 81-126, 2013

      21 池田知久, "兩漢における易と三禮" 汲古書院 2006

      22 池田知久, "『馬王堆漢墓帛書周易』要篇の思想" 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 126 : 1995

      23 張政烺, "『馬王堆帛書』周易『經傳校讀』" 中華書局 2008

      24 김상섭, "『帛書周易』 「要」의 ‘夫子老而好易’장의 眞僞 문제―공자와 『역』의 관계를 중심으로―" 대한철학회 129 : 1-22,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