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MODIS 위성자료를 이용한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MS-PT)의 적용 및 실제 증발산 평가 = Assessment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algorithm using MODIS produ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7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urate understanding and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ET)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water cycle and water budget. ET has been analyzed by many researchers in worldwide while Ground-based ET has limiation in analyzing the spat...

      Accurate understanding and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ET)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water cycle and water budget. ET has been analyzed by many researchers in worldwide while Ground-based ET has limiation in analyzing the spatio-temporal pattrens of ET. Thus,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represent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of ET by using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estimated from remote sensing datasets. Previous remote sensing based ET algorithms, however, have disadvantage in that various hydrometeological input datasets were required. In this study, actual ET was estimated by MODIS-based Rn and MS-PT algorithm requiring relatively less input data than previous method.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observed RN and latent heat flux from the eddy-covariance based fluxtowers located at CFK and SMK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estimated RN and ET. The average determination coefficients (R2) of ET estimated from satellite dataset over study periods were 0.77 (0.72-0.81) in Cheongmi (CFK) and 0.70 (0.67-0.78) in Sulma (SMK), respectively. Comparing with the actual ET of two flux tower sites, however, SMK showed more overestimated patterns than CFK due to the vegetation and radiation related err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증발산은 물수지 및 수문순환의 체계를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로서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산정이 필요하다. 국내외에서 증발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지점자료만을 ...

      증발산은 물수지 및 수문순환의 체계를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로서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산정이 필요하다. 국내외에서 증발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지점자료만을 이용하여 산정한 증발산은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파악하는데 제약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물리식을 기반으로 하여 인공위성에서 산정된 수문기상인자를 활용하여 증발산량의 시·공간적인 표현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방법들은 상대적으로 많은 입력 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산출물을 이용하여 순복사에너지를 산정하였으며, 기존에 활용된 인공위성 기반 증발산 알고리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입력 자료를 이용하는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MS-P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실제증발산을 산정하였다. 또한, MODIS 산출물로부터 계산된 순복사에너지와 실제증발산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청미천과 설마천의 플럭스 타워에서 관측된 자료와 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MODIS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순복사에너지와 실제증발산 값이 두 플럭스 타워에서 관측된 순복사에너지와 실제증발산이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체 모의기간 동안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실제증발산의 평균 결정계수는 청미천에서 0.77 (0.72-0.81), 설마천에서 0.70(0.67-0.78)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미천에 비해 설마천에서의 실제증발산 값이 과대산정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는 식생에 대한 영향 및 MODIS로부터 산정된 복사에너지에서의 오차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종진, "천리안 위성의 일사량 검증: 설마천, 청미천" 대한원격탐사학회 29 (29): 137-150, 2013

      2 백종진, "천리안 위성을 사용한 방출장파복사량 검증 : 청미천, 설마천" 한국수자원학회 46 (46): 465-476, 2013

      3 임창수, "증발산 산정 방법들의 비교 - 잔디기준작물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41 (41): 212-228, 2008

      4 오남선, "일단위 온도에 기초한 증발산량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37 (37): 479-485, 2004

      5 임창수, "유역 물수지를 이용한 연 실제증발산 산정에 미치는 수문기후 영향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44 (44): 915-928, 2011

      6 이길하, "우리나라 기준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Hargreaves 계수 산정" 대한토목학회 28 (28): 675-681, 2008

      7 변규현, "에디공분산 방법 기반의 플럭스 타워 순 복사에너지 검증 : 설마천, 청미천 유역" 한국수자원학회 46 (46): 111-122, 2013

      8 정승택, "동아시아 지역의 플럭스 타워 관측지에 대한 MODIS 위성영상 기반의 증발산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 11 (11): 174-184, 2009

      9 이민지, "다중 위성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에서의 실제 증발산량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9 (19): 145-151, 2011

      10 Yao, Y.,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the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algorithm for mapping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6 : 880-904, 2014

      1 백종진, "천리안 위성의 일사량 검증: 설마천, 청미천" 대한원격탐사학회 29 (29): 137-150, 2013

      2 백종진, "천리안 위성을 사용한 방출장파복사량 검증 : 청미천, 설마천" 한국수자원학회 46 (46): 465-476, 2013

      3 임창수, "증발산 산정 방법들의 비교 - 잔디기준작물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41 (41): 212-228, 2008

      4 오남선, "일단위 온도에 기초한 증발산량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37 (37): 479-485, 2004

      5 임창수, "유역 물수지를 이용한 연 실제증발산 산정에 미치는 수문기후 영향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44 (44): 915-928, 2011

      6 이길하, "우리나라 기준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Hargreaves 계수 산정" 대한토목학회 28 (28): 675-681, 2008

      7 변규현, "에디공분산 방법 기반의 플럭스 타워 순 복사에너지 검증 : 설마천, 청미천 유역" 한국수자원학회 46 (46): 111-122, 2013

      8 정승택, "동아시아 지역의 플럭스 타워 관측지에 대한 MODIS 위성영상 기반의 증발산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 11 (11): 174-184, 2009

      9 이민지, "다중 위성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에서의 실제 증발산량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9 (19): 145-151, 2011

      10 Yao, Y.,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the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algorithm for mapping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6 : 880-904, 2014

      11 Hou, J., "Satellite-based estimation of daily average net radiation under clear-sky conditions" 31 : 705-720, 2014

      12 Allen, R. G., "Satellite-based energy balance for mapping evapotranspiration with internalized calibration (METRIC)—model" 133 (133): 380-394, 2007

      13 이용관, "SEBAL 모형과 Terra MODIS 영상을 이용한 혼효림, 논 지역에서의 공간증발산량 산정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49 (49): 227-239, 2016

      14 Penman, H. L.,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193 : 120-145, 1948

      15 Yunjun Yao, "MODIS-driven estimation of terrestrial latent heat flux in China based on a modified Priestley–Taylor algorithm" Elsevier BV 171-172 : 187-202, 2013

      16 서찬양, "MODIS 인공위성 이미지를 이용한 Priestley-Taylor 기반 공간 잠재 증발산 산정: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 28 (28): 521-529, 2012

      17 신형진, "MODIS NDVI와 Morton 증발산량의 관계를 이용한 공간증발산량 산정 기법 연구 - 충주댐유역을 대상으로 -" 한국농공학회 52 (52): 19-24, 2010

      18 홍진규, "KoFlux 에디 공분산 자료 처리의 표준화" 한국농림기상학회 11 (11): 19-26, 2009

      19 Fisher, J. B., "Global estimates of the land atmosphere water flux based on monthly AVHRR and ISLSCP-II data, validated at 16 FLUXNET sites" 112 : 901-919, 2008

      20 Jacobs, J. M., "GOES surface insolationto estimate wetlands evapotranspiration" 266 : 53-65, 2002

      21 Monteith, J. L., "Evaporation and the environment" 19 : 205-234, 1965

      22 Park, J., "Evaluation of statistical gap fillings for continuous energy flux (evapotranspiration) measurements for two different land cover types" 29 (29): 2021-2035, 2015

      23 Baik, J., "Evaluation of remotely sensed actual evapotranspiration products from COMS and MODIS at two different flux tower sites in Korea" 36 (36): 375-402, 2015

      24 Baik, J., "Evaluation of geostationary satellite (COMS) based Priestley–Taylor evapotranspiration" 159 : 77-91, 2015

      25 Kim, J., "Evaluation of a MODIS-base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roduct at the point scale" 9 : 444-460, 2008

      26 Bisht, G., "Estimation of the net radiation using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data for clear sky days" 97 (97): 52-67, 2005

      27 Bisht, G., "Estimation of net radiation from the MODIS data under all sky conditions: Southern great plains case study" 114 (114): 1522-1534, 2010

      28 Hwang, K., "Estimation of instantaneous and daily net radiation from MODIS data under clear sky conditions: A case study in east Asia" 31 (31): 1173-1184, 2013

      29 Park, J.,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from ground-based meteorological data and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29 (29): 1963-1992, 2015

      30 Shin, S. C., "Estimation method of evapotranspiration through vegetation monitoring over wide area" 14 (14): 81-88, 1996

      31 Byun, K., "Dual-model approaches for evapotranspiration analyses over homo- and heterogeneous land surface conditions" 197 : 169-187, 2013

      32 Hargreaves, G., "Agricultural benefits for senegal river basin" 111 : 113-124, 1985

      33 Anderson, M. C., "A two-source time-integrated model for estimating surface fluxes using thermal infrared remote sensing" 60 : 195-216, 1997

      34 Norman, J. M., "A two-source approach for estimating soil and vegetation energy fluxes in observations of directional radiometric surface temperature" 77 : 263-293,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