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 기대감과 현존감에 대한 인식조사 :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875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Expectancy and Existence for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for 0-5 Year olds

      • 형태사항

        v, 73p. : 차트 ; 26cm

      • 일반주기명

        총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강은주
        국문 및 영문 초록 수록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4-20000018092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총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Expectancy and Existence for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Kim, Min-You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Expectancy and Existence
      for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Kim, Min-You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synthesizing virtual information into the real world, to understand recognition of educators for infant and toddler about possibilities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which provides adjunctive information uneasy from the reality.
      This study also aims to present base line data in development of suitable and useful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for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in faith. The subject of inquiries follows below:

      1. Expectancy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1) What is the expectation level of Sunday school educators in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to infant and toddler?
      2)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he educators’ expectation level by general
      characteristics or individual experiences such as gender, age, position,
      career,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frequency of augmented reality and
      so on?

      2. Recognition of Sunday school educators for infant and toddler in augmented
      reality existence
      1) What is the recognition level of Sunday school educators in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2)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he educators’ recognition level by general
      characteristics or individual experiences such as gender, age, position,
      career,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frequency of augmented reality and
      so on?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ors’ recognition of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existence and expectancy about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If yes, what is the correlation like?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202 educators who teach infant and toddler in Sunday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hich is capital area, and who responded to the survey of questionnaires based on Google survey.
      And to measure expectancy of the infant and toddler educators about augmented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it partially quoted and adapted ‘A Study on Expectation and Presence Factors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of Special Education(Park Kyung Ok, Paik Jong Nam, Seo Sun Jin, Lee Yangwon, 2016)’ in alignment of this study purpose.

      Regarding the cause analysis of augmented reality existence of the object, it employed measurement tools excercised in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ecial education to augmented reality by designing draft items based on the researches of Yoon, Yong-pil (2010) and Dong-Jin (2013) (Park Kyung Ok, Baek Jong Nam, Seo Sun Jin, Lee Yangwon, 2016).
      This collected data, by SPSS24.0 accomplishe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completed qualification of Scheffée as well.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major results:
      First, the object educators’ expectation are mostly and highly positive and less concern in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Second,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object educators about existence of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the object educators show the highest awareness in factor, ‘pleasure’ out of all components, and then appear interaction, factuality, fulfilment, immersion, and accessibility in order.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existence i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and expectancy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to Sunday school education, presents that positive expectation of the object educators follows the enough and high recognition level in pleasure, immersion, factuality, fulfilment, accessibility, and interaction. Based on this, when it examines the correlation of the object educators’ negative expectation, immersion to augmented reality also shows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 with the object educators’ concerns which means that their concerns are as high as immersion to augmented reality.
      Frankly speaking, lack of understanding learning methods is a common fact especially in teaching methods responding demand of the trend by variou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ts popularization and applying newly to Sunday school education field. Therefore, this study expects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which is useful in teaching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unday school educ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hrough study on the recognition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and on possibilities of it as instructional med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세계에 가상의 정보를 합성하여 현실 세계에서는 쉽게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영·유아 교육 담...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세계에 가상의 정보를 합성하여 현실 세계에서는 쉽게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종이 그림책에서 느낄 수 있는 아날로그적 심미성과 디지털기기로 제공받을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통합과 융합으로 이루어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그림책이 주일학교 교육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좋은 증강 현실 그림책의 특성을 갖추어, 영·유아 신앙교육에 적합하고 유익한 증강현실 그림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의 적용 기대감은 어떠한가?
      (1)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의 적용 기대감 수준은 어떠한가?
      (2)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역할, 경력, 학력, 증강현실 경험횟수)에 따라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적용 기대감에 차이가 있는가?
      2)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1)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2)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역할, 경력, 학력, 증강현실 경험횟수)에 따른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3)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인식과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
      기대감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소재의 교회 주일학교에서 영·유아 교육 담당자 202명이며 온라인 구글(Google)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적용에 대한 기대감을 측정하기 위해 증강현실의 특수교육 적용에 대한 연구(박경옥, 백종남, 서선진, 이양원, 2016)에 활용 된 도구를 본 연구의 특성과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증강현실 현존감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윤용필(2010)과 이동진(2013)의 연구를 바탕으로 초안 문항을 설계하여 증강현실의 특수교육 적용에 대한 연구(박경옥, 백종남, 서선진, 이양원, 2016)에 활용 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t-test,(one-way ANOVA,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cheffé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의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과 부정적 우려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 기대감은 높은 편이었으며, 부정적 우려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은 증강현실 경험의 구성요인 중 즐거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호작용, 사실성, 수행, 몰입감, 접근성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인식과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 기대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증강현실 경험을 통한 즐거움과 몰입감, 사실성, 수행, 접근성,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이 높게 나타났다.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의 부정적 기대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증강현실에 대한 몰입감은 부정적 우려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 증강현실에 대한 몰입감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보다는 낮으나 부정적 우려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술 발달과 대중화 등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주일학교 교육 현장에서 도입할 수 있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증강현실 그림책이 주일학교 교수매체로서의 가능성이 어떠한지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주일학교 교육에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을 위해 참고할 만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국문초록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5
      • II. 이론적 배경 7
      • 1. 그림책의 개념과 형태 7
      • 1) 그림책의 개념 7
      • 2) 그림책의 가치 9
      • 3) 그림책의 형태별 종류 11
      • 2.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23
      • 1)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의 목적 24
      • 2) 교회 영·유아 교육에서의 교수방법의 한계점 25
      • 3)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에서의 증강현실 그림책의 필요성 25
      • III. 연구방법 27
      • 1. 연구대상 27
      • 2. 연구도구 28
      • 3. 연구절차 30
      • 4. 자료분석 31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2
      • 1.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에 대한 기대감 32
      • 1)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적용에 대한 기대감 수준 32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에 대한 기대감 차이 35
      • 2.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인식 39
      • 1)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인식 수준 39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인식 차이 40
      • 3. 영·유아 교육 적용에 대한 기대감과 현존감 간 에 상관관계 47
      • V. 논의 및 결론 49
      • 1. 요약 및 논의 49
      • 1)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에 대한 기대감 49
      • 2)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인식 52
      • 3)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인식과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 적용에 대한 기대감 간의 관계 53
      • 2. 결론 및 제언 56
      • 참고문헌 58
      • 부록 (설문지) 67
      • ABSTRACT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