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8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을 조사하여 학년, 인권 관련 교육경험, 유아권리협약 인지도,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중요성 인지도 등의 변인에 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을 조사하여 학년, 인권 관련 교육경험, 유아권리협약 인지도,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중요성 인지도 등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인권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S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389명이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은 보통을 조금 넘어서는 수준으로, 책임지각이 가장 높았고 결과 지각이 가장 낮았다. 변인들 중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성 인식도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개인효능감이 결과 기대감보다 높았다.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모든 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인권교육 관련 경험이 부족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관련 지식뿐만 아니라, 상황 중심의 문제해결과정을 강조하는 접근법의 유아인권교육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cessary data to make a better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this research carries out an investigation on preservice teacher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f huma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cessary data to make a better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this research carries out an investigation on preservice teacher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 consists of 389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 College in Seoul.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overall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s slightly above averag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mong those affected by the level of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duaction on child's human rights, groups with a high level of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n child human rights had higher scores. Th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overall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is above averag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according to grade,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awareness of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awareness of interest in and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re i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ry and efficacy in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hildren‘s rights education is required not only for prospective teachers who lack experience in child human rights education but also hor approaches that emphasize situation-oriented problem solv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 약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연구 도구
      • 요 약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연구 도구
      • 3. 연구 절차
      • 4. 자료 처리
      • Ⅲ. 결과 및 해석
      • 1.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
      • 2.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 3.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의 관계
      • Ⅲ.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종화, "탐구중심 수학교육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141-173, 2004

      2 김충희, "정신보건영역 사회복지사의 인권민감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 윤정숙, "인권단체 인권교육을 활용한 학교 인권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4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5 구정우, "인권감수성 예측모형 구축: 데이터마이닝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5 (35): 53-110, 2018

      6 조부경, "유치원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교수 실제" 21 (21): 622-634, 2001

      7 방은영, "유치원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에 관한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5-30, 2005

      8 김은심,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에 따른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수실제에 관한 연구" 23 (23): 241-266, 2003

      9 한석실,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207-240, 2003

      10 김숙자,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Ⅲ"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99-323, 2008

      1 한종화, "탐구중심 수학교육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141-173, 2004

      2 김충희, "정신보건영역 사회복지사의 인권민감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 윤정숙, "인권단체 인권교육을 활용한 학교 인권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4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5 구정우, "인권감수성 예측모형 구축: 데이터마이닝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5 (35): 53-110, 2018

      6 조부경, "유치원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교수 실제" 21 (21): 622-634, 2001

      7 방은영, "유치원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에 관한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5-30, 2005

      8 김은심,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에 따른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수실제에 관한 연구" 23 (23): 241-266, 2003

      9 한석실,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207-240, 2003

      10 김숙자,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Ⅲ"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99-323, 2008

      11 이지혜, "유아의 음악성과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및 유아의 창의성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2 국가인권위원회,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1

      13 김정화,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0 (10): 135-155, 2011

      14 서영숙,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213-232, 2009

      15 이민지, "유아교사의 아동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아동인권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6 전인옥,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이 언어적 · 비언어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26 : 505-532, 1998

      17 최미희,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언어교수효능감 및 독서습관과 유아 문해교육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연규승,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심리적 소진, 가능한 자아 간의 관계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19 여은진, "유아교사의 개인적, 학문적, 사회환경적 요인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175-192, 2004

      20 신은수, "유아교사론" 학지사 2013

      21 한유미, "유아과학교육의 목표와 교수방법 간의 일관성과 관련된 주요변인: 과학교수 효능감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121-138, 2004

      22 강경희, "유아과학 교과내용의 실천적 지식(PCK)이 과학교수 효능감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현직교사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127-150, 2016

      23 권귀염, "유아 인권교육을 위한 고민: 유아교육환경 및 교사의 인권감수성" 인문과학연구소 39 : 179-206, 2015

      24 이문정, "유아 예비교사의 책읽기 효능감과 읽기교수 효능감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07-215, 2016

      25 최미숙, "유아 교사의 인권감수성에 대한 낙관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01-320, 2016

      26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유·초·중·고 인권교육과정 개발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3

      27 김경민,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기 학대경험 및 인권감수성이 아동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28 노진형, "예비유아교사의 배경요인과 문학적 요인(유아문학관심도, 독서습관, 유아문학지식)이 문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65-184, 2011

      29 송정애, "예비보육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아동권리인식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20 : 23-53, 2011

      30 한지혜, "예비교사와 유아교원의 신체표현 교수 효능감에 관한 연구" 18 : 81-95, 2009

      31 이은영,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13-229, 2010

      32 지성애,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적 태도와 구성주의 교육신념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77-300, 2011

      33 유승희,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 17 (17): 49-63, 2017

      34 이미숙, "영유아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 인식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5 이지영, "영아의 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6 서유임, "영·유아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 부천시, 광명시, 시흥시를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37 이도레, "어린이집 일과에서의 영유아권리존중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비교 및 교사의갈등"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8 구정화, "아동의 '인권' 개념 형성에 비추어 본 초등사회과 인권 내용 적합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65-84, 2004

      39 황옥경, "아동권리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아동권리학회 14 (14): 677-706, 2010

      40 박정선,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현안 인식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2007

      41 정원주, "보육교사의 인권에 대한 관심도가인권상황 지각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167-187, 2008

      42 이미래, "보육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아동인권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2

      43 윤진주, "보육교사의 유아 언어 교수 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7-44, 2009

      44 김진숙,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5 신은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놀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20 (20): 27-42, 2000

      46 이영주, "놀이를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효능감과 놀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13 : 5-15, 2010

      47 장영숙, "기관유형에 따른 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포괄적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73-85, 2006

      48 김희경,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권감수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9 유영의, "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과 유아의 연령에 따른 구성놀이 질의 차이" 한국아동학회 26 (26): 111-126, 2005

      50 김헤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교육지식이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81-296, 2013

      51 김지영, "과학교사교육이 예비 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교육 목표, 과학교수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33-151, 2005

      52 황주연,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과 환자권리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455-465, 2015

      53 지성애,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현장적용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34, 2014

      54 구정우, "Who Thinks and Behaves According to Human Rights?: Evidence from the Korean National Human Rights Survey" 한국학술연구원 46 (46): 53-87, 2015

      55 Dembo, M. H., "Teacher' sense of efficacy :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88 (88): 178-184, 1985

      56 Gibson, S.,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43 (43): 569-582, 1984

      57 Teti, "Structured Interviews for Assessing Children" 14 : 37-45, 1991

      58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ill 1986

      59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37 : 122-147, 1982

      60 Bandura, A.,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61 Saracho, O. N., "Professionalism and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 89 : 1-17, 1993

      62 Clark, C. M.,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cMillan 1986

      63 Enochs, L. G.,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90 : 694-706, 1990

      64 Enochs, L. G.,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100 (100): 194-202, 2000

      65 Czermiak, C. M., "A study of self-efficacy, anxiety and science knowledg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10-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4-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