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민왕대 기사의 수록양식과 원전자료의 記事 전환방식 = The article recording system and methods of changing materials in original books into articles in the era of King Gongmin - Centering on the Sega in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and the 〈Goryeosa Jeolyo(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nual average numbers of articles in the era of King Gongmin were 61 in the 「Sega(世家)」 in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and 39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nd thus the forme...

      The annual average numbers of articles in the era of King Gongmin were 61 in the 「Sega(世家)」 in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and 39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nd thus the former was approximately 1.5 times of the latter. However,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over time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were generally proportional. The numbers of articles between the end of the 12th year and the 13th year of King Gongmin and between the end of the 14th year and the beginning of the 13th year of King Gongmin are much smaller compared to other periods because some of materials in original books were omitted or deleted in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with Yuan.
      The most notable thing in the recording systems of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is that whereas the daily sexagenary cycles were indicated in approximately 85% of articles in the former, the daily sexagenary cycles were indicated in only approximately 9% of articles in the latter. In the case of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the daily sexagenary cycles were mostly omitted because many articles gathered were synthesized and summarized because of the principle of ’‘summarization’.
      Articles beginning with ‘this month’ or ‘this year’ were those for events that clearly occurred in the month or year but could not be dated to certain days. However, among the entire articles for the era of King Gongmin, the number of those beginning with ‘this month’ was only 8 and the number of those beginning with ‘this year’ was only 3. The reason why articles related to Hwanjo(桓祖) were included in the extremely small numbers of ‘this month(是月)’ and ‘this year(是年)’ articles was that the articles related to Hwanjo(桓祖) were added when ‘Goryeo History’ was complied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Lee Seong-Gye related articles contained in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in the 「Taejo Series(太祖總序)」 and excessively decorated the achievements of Lee Seong-Gye compared to the activities of persons in the era of King Gongmin recorded in the 「Biographies(列傳)」. As with the case of Hwanjo(桓祖) related articles, this was because the achievements of Lee Seong-Gye were unnaturally included in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The preface and messages in 〈Mokeunmungo(牧隱文藁)〉 were recorded in detail in 「Sega(世家)」 and briefly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Cases where terms such as proclamation(宣旨) and royal messages(勅書) were irregularly chang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content of the anthology into articles in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could be found. The reason for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confusion resulted from frequent changes in the principle of compilation of the ‘Goryeo History’ or the carelessness of compil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고려사』 세가와 『고려사절요』의 기사분포와 수록양식
      • 3. 원전자료의 ‘記事化’ 방식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고려사』 세가와 『고려사절요』의 기사분포와 수록양식
      • 3. 원전자료의 ‘記事化’ 방식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항녕, "조선초기 『고려사』 개수에 관한 사학사적 검토" 16 : 1999

      2 이익주, "이색의 삶과 생각" 일조각 2013

      3 박재우, "고려전기 王命의 종류와 반포" 진단학회 (95) : 29-54, 2003

      4 尹龍爀, "고려시대 사료량의 시기별 대비" 24 : 1986

      5 최영호, "고려시대 묘지명과 고려사 열전의 서술형태" 한국중세사학회 (19) : 175-203, 2005

      6 김광철, "고려사 편년화와 고려실록 체제의 재구성" 한국중세사학회 (30) : 149-185, 2011

      7 최연식, "高麗時代 國王文書의 種類와 機能, In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下)" 서울대출판부 2000

      8 閔賢九, "高麗政治史論"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9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10 韓永愚, "朝鮮前期史學史硏究" 서울대출판부 1981

      1 오항녕, "조선초기 『고려사』 개수에 관한 사학사적 검토" 16 : 1999

      2 이익주, "이색의 삶과 생각" 일조각 2013

      3 박재우, "고려전기 王命의 종류와 반포" 진단학회 (95) : 29-54, 2003

      4 尹龍爀, "고려시대 사료량의 시기별 대비" 24 : 1986

      5 최영호, "고려시대 묘지명과 고려사 열전의 서술형태" 한국중세사학회 (19) : 175-203, 2005

      6 김광철, "고려사 편년화와 고려실록 체제의 재구성" 한국중세사학회 (30) : 149-185, 2011

      7 최연식, "高麗時代 國王文書의 種類와 機能, In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下)" 서울대출판부 2000

      8 閔賢九, "高麗政治史論"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9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10 韓永愚, "朝鮮前期史學史硏究" 서울대출판부 1981

      11 閔賢九, "新主(德興君)와 舊君(恭愍王)의 對決-元의 國王廢立 획책에 대한 高麗의 軍事的 대응, In 高麗政治史論"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12 박종기, "『국역 고려사』 완간과 학술적 의의" 석당학술원 (54) : 35-64, 2012

      13 김광철, "『고려사』의 편찬과 간행, In 국역 고려사 1" 경인문화사 2008

      14 김광철, "『고려사』의 간행 유통과 동아대 소장 『고려사』 판본의 특징" 석당학술원 (54) : 1-33, 2012

      15 邊太燮, "『高麗國史』의 編纂內容과 史論" 3 : 1979

      16 邊太燮, "『高麗史』의 연구" 삼양사 1975

      17 邊太燮, "『高麗史』의 연구" 삼양사 1982

      18 邊太燮, "『高麗史』의 연구" 삼양사 1982

      19 崔在晉, "『高麗史』 列傳의 嬖幸傳 硏究" 2 : 1996

      20 姜聲媛, "『高麗史』 列傳에 대한 分析的 考察" 17・18 : 1995

      21 邊太燮, "『高麗史』 編纂에 있어서의 客觀性의 問題" 40 : 1975

      22 張東翼, "『高麗史』 編纂過程에서 改書" 46 : 2010

      23 朴龍雲, "『高麗史』 百官志 譯註" 신서원 2009

      24 姜聲媛, "『高麗史』 叛逆傳의 分析" 13 (13): 1990

      25 邊太燮, "≪高麗史≫・≪高麗史節要≫의 纂修凡例" 46 : 1984

      26 韓永愚, "≪高麗史≫・≪高麗史節要≫의 比較硏究" 48 :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