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교과서중심주의적 접근으로 본 2015 개정 통합교과용 도서의 특성 = The Characters of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Based on De-textbook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30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탈교과서중심주의적 접근 측면에서 2015 개정 통합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탈교과서중심주의적 접근은 교과서를 하나의 진리로 보고 이를 통해 획일적인 ...

      본 연구는 탈교과서중심주의적 접근 측면에서 2015 개정 통합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탈교과서중심주의적 접근은 교과서를 하나의 진리로 보고 이를 통해 획일적인 교육과정을 전개해나가는 교과서중심주의적 접근의 대안적 관점으로, 2015 개정 통합교과용 도서에서는 학생과 교사, 교과서가 상호교직하면서 교육의 텍스트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또한 교사가 교과서에서 벗어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업을 만들어가는 것으로 탈교과서중심주의적 접근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탈교과서중심주의적 접근의 2015 개정 통합교과용 도서는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능력에 기여함으로써 교과서를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능력을 기르는, 교과서의 새로운 경향성을 만들어나갈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quire characters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based on a de-textbook approach. De-textbook approach is an alternative of textbook approach which consider textbook as one and only curriculum material(truth). Th...

      This study aims to inquire characters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based on a de-textbook approach. De-textbook approach is an alternative of textbook approach which consider textbook as one and only curriculum material(truth).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took the de-textbook approach which means that it enabled a communication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through a textbook; provoked textuality of a textbook; helped a teacher to make a teaching with a Standard. As a result,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is expected to contribute on developing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ability as well as creating a new trend in textboo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출판에 대한 지향적 과제―교과서 이해의 현상적 양태로 본 지향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53) : 245-278, 2007

      2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 연구" 일진사 2001

      3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4 고진호, "한국교육에 있어서 탈교과서주의적 경향성 분석" 16 (16): 245-276, 1998

      5 이한나, "한국, 중국, 일본의 초등학교 통합교과용 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25-42, 2014

      6 이상은, "학교교과 '되기' 과정에 나타난 학교교과의 속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7 김민하, "통합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관련 활동의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 구현 양상"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1-33, 2014

      8 이희정, "통합교과 교과서 외적 요소의 변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9-42, 2015

      9 강충열,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성격과 2007년 개정 교과용 도서 개발 방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 (1): 109-139, 2007

      10 김민하, "초등학교 통합교과서의 국악 제재 수록 양상" 한국국악교육학회 38 (38): 29-61, 2014

      1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출판에 대한 지향적 과제―교과서 이해의 현상적 양태로 본 지향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53) : 245-278, 2007

      2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 연구" 일진사 2001

      3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4 고진호, "한국교육에 있어서 탈교과서주의적 경향성 분석" 16 (16): 245-276, 1998

      5 이한나, "한국, 중국, 일본의 초등학교 통합교과용 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25-42, 2014

      6 이상은, "학교교과 '되기' 과정에 나타난 학교교과의 속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7 김민하, "통합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관련 활동의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 구현 양상"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1-33, 2014

      8 이희정, "통합교과 교과서 외적 요소의 변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9-42, 2015

      9 강충열,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성격과 2007년 개정 교과용 도서 개발 방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 (1): 109-139, 2007

      10 김민하, "초등학교 통합교과서의 국악 제재 수록 양상" 한국국악교육학회 38 (38): 29-61, 2014

      11 김동환, "초등학교 통합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학생과 교사 선호도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 (2): 1-19, 2008

      12 김무정, "초등학교 통합 교과서의 다문화 교육 내용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6) : 335-360, 2011

      13 김평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35-161, 2004

      14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초등학교 교과서 개발의 절차와 원리 구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5

      15 정광순,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3-43, 2010

      16 박민정,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인식 분석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1-26, 2011

      17 김세영,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이야기"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33-161, 2014

      18 이윤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으로 본 교육과정 실행 관점과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65-89, 2015

      19 김세영,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에 관한 실제적 접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20 정광순, "초등 통합 교과서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반성"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 (1): 69-92, 2007

      21 박순경, "초등 저학년 통합 교과서의 삽화 제시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 25 : 53-70, 1997

      22 박순경, "초등 저학년 통합 교과서 국제 비교 연구 : 한국, 일본, 독일, 영국 통합교과서의 외형적 체재와 내용 조직 방식을 중심으로" 7 (7): 1-18, 1997

      2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 국어 교과서 내․외형 체제 선진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24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98년도 초등 학교 1종 도서 편찬 추진 계획" 31 : 101-107, 1998

      25 이종국, "정부 수립 이후 교과서의 위상에 관한 이해―교과서에 대한 이해와 그 특징적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34 (34): 253-289, 2008

      26 한국교육개발원, "새 교과서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민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1977

      27 곽병선, "미래 지향적 교과서관" 78 : 14-22, 2014

      28 조상연, "국정 도서 개발 과정의 교과서 수정 양상 분석: 2009 개정 통합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7 (7): 87-108, 2013

      29 신헌재, "국어 교육의 발전을 담보할 국어 교과서관 -‘열린 교과서관’의 국어교육학적 의미와 국어 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 청람어문교육학회 (44) : 7-21, 2011

      30 강지영,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31 김세영, "교육과정 가능성의 개념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27-50, 2013

      32 정광순,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6 (6): 109-132, 2012

      33 한국교육개발원, "교과서와 교과서 정책" 한국교육개발원 1986

      34 김만곤, "교과서관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의 변화 : 사회과 교과서의 변화상 연구를 위한 제언" 33 : 309-331, 2000

      35 이종국, "교과서관과 교과서연구" 출판학연구 177-212, 1989

      36 한국교육개발원, "교과서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5

      37 차우규,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바른생활 교과용도서의 개발 방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 (2): 17-35, 2008

      38 "http://www.latin-dictionary.net"

      39 Deng, Z., "The formation of a school subject and the nature of curriculum content : An analysis of liberal studies in Hong Kong" 41 (41): 585-604, 2009

      40 Deng, Z., "Revisiting curriculum potential" 41 (41): 538-559, 2011

      41 박진은, "Gadamer 해석학의 관점에서 기존의 교과서관 비판" 한국교육원리학회 20 (20): 27-46, 2015

      42 정광순, "2015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일 고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18, 2015

      43 조상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통합교과교과서의 개발 방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35-159, 2015

      44 이희정, "2009 개정 초등학교 교과서 비교 분석 : 1학년 통합교과, 국어, 수학을 중심으로" 20 (20): 16-41, 2013

      45 정광순, "2009 개정 초등통합 교과서 개발 과정 기술"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7 (7): 37-63, 2013

      46 김세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서에 대한 실험학교 교사의 의견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7 (7): 109-140, 2013

      47 김세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서 집필 경험에 대한 기술"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7 (7): 53-86, 2013

      48 김세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서 심의 의견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51-77, 2014

      49 김세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 교육과정 및 통합 교과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43-72, 2014

      50 이응로, "2007년 개정 통합교과 실험용 교과서의 현장 적합성 검토"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3 (3): 59-79, 2009

      51 강충열, "2007년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과용 도서 개발에 대한 두 가지 오해"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 (2): 1-15, 2008

      52 박한숙,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 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 이야기"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89-113, 2009

      53 박한숙,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슬기로운 생활 교과용 도서의 개발과 활용 방안"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 (2): 37-55,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55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