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형 자존감 평가영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omains of Self-esteem Appraisal Scale for Koreans (DoSEAS-K):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1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이 자존감을 평가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과 해당 영역별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하면서도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총 3개의 연구를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이 자존감을 평가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과 해당 영역별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하면서도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총 3개의 연구를 통해서 한국인의 자존감 평가 영역인 사회적/객관적 능력, 긍정적 성품, 대인관계 그리고 가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하는, 29문항으로 구성된 한국인 자존감평가 영역 척도(Domains of Self-Esteem Appraisal Scale for Koreans; DoSEAS-K)가 개발․타당화 되었다. ‘사회적/객관적 능력’은 학력, 직업, 경제력 등 외적으로 드러나는 영역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긍정적 성품’은 타인의 의견이나 평가와 상관없이 개인이 내적인 기준에 따라서 만족할 수 있는 노력, 성실성, 가치관, 윤리 등과 같은 문항이 포함되었다. ‘대인관계’는 친구관계, 공동체 내 관계와 같이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영역이며, ‘가족’은 가족애 및 가정 분위기를 측정하는 영역이다. 4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 ‘한국인 자존감평가 영역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한 결과, 양호한 수준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 문항 간 내적 일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4주 간격)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척도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nvenient and psychometrically-sound measure of life domains that are important for Koreans in appraising self-esteem. For this purpose, Domains of Self-esteem Appraisal Scale of Korean(DoSEAS-K) was developed and valida...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nvenient and psychometrically-sound measure of life domains that are important for Koreans in appraising self-esteem. For this purpose, Domains of Self-esteem Appraisal Scale of Korean(DoSEAS-K)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cross three studies. DoSEAS-K is composed of 29 items and includes four domains, (a) Social/Objective Ability, (b) Positive Character, (c)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 Family. Social/Objective Ability domain tapped into areas concerning academic ability, career or occupation, economic status etc. Positive Character domain included items relating to intrapersonal frame of reference(e.g., effort, diligence, values, ethics). Interpersonal Relationship domain involved areas of friendship and relationship in community. Family domain included items with regards to family care and family atmosphere. DoSEAS-K showed appropriate level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stimates and sound reliability estimates (bot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with a 4-week interval). This study ended wi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ca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윤오, "한국판 소아자기개념척도 개발" 33 (33): 1351-1369, 1994

      2 김희화, "한국 아동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개발" 34 (34): 1-12, 1996

      3 차경호, "한국 성인의 자존감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 25 (25): 105-139, 2006

      4 홍기원, "한국 성인 남녀의 자존감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33-52, 2003

      5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6 신철,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 인식과 자아 개념과의 관계" 8 : 163-218, 1997

      7 이은해,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을 위한 자아지각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6 : 175-191, 1992

      8 정익중,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127-166, 2007

      9 박중규, "청소년 대상 단축형 13문항 Marlowe-Crowne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의 요인 구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429-439, 2009

      10 이수란, "자존감의 영역별 수반성과 자기 평가 간 불일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313-335, 2008

      1 신윤오, "한국판 소아자기개념척도 개발" 33 (33): 1351-1369, 1994

      2 김희화, "한국 아동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개발" 34 (34): 1-12, 1996

      3 차경호, "한국 성인의 자존감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 25 (25): 105-139, 2006

      4 홍기원, "한국 성인 남녀의 자존감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33-52, 2003

      5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6 신철,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 인식과 자아 개념과의 관계" 8 : 163-218, 1997

      7 이은해,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을 위한 자아지각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6 : 175-191, 1992

      8 정익중,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127-166, 2007

      9 박중규, "청소년 대상 단축형 13문항 Marlowe-Crowne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의 요인 구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429-439, 2009

      10 이수란, "자존감의 영역별 수반성과 자기 평가 간 불일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313-335, 2008

      11 안신호, "자존감 결정요인: 영역별 능력과 자기수용의 영향" 한국심리학회 24 (24): 109-140, 2005

      12 정원식, "자아개념검사요강" 코리안테스팅 센타 1995

      13 이명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57-174, 2008

      14 홍기원,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한국 성인들의 자존감 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135-156, 2005

      15 박중규, "아동의 방해적 문제행동에 대한 인지-행동적 부모훈련과 행동적 부모훈련의 치료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16 김도영, "성격의 5요인과 조직에서의 맥락수행간의 관계" 15 (15): 1-24, 2002

      17 박정현, "사람의 내-외적인 모습에 두는 상대적 비중과 행복관과의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19-31, 2005

      18 안현진, "미혼남녀의 성의식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연구 : 20대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3

      19 최상진, "동양심리학 : 서구심리학에 대한 대안 모색" 지식산업사 1999

      20 서하진,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141-178, 2009

      21 홍기원, "대학생들의 자존감 구성요인에 있어서 문화적, 성차의 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3 (13): 237-261, 2008

      22 차경호, "대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삶의 만족도" 9 (9): 7-26, 2001

      23 서은국,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95-113, 2011

      24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25 Quevedo, R. J. M., "Well-being and personality : Facet-level analysis" 50 : 206-211, 2011

      26 Diener, E., "Very happy people" 13 : 81-84, 2002

      27 Tabachnick, B. G.,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Harper Collins 1996

      28 Mecca, A. M., "The social importance of self-estee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29 Rogers, C. R., "The significance of the self regarding attitudes and perceptions, In Feeling and emotion: The Moosebert Symposium" McGraw-Hill 374-382, 1950

      30 James, W.,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1890

      31 Goffman, E.,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Anchor Books 1959

      32 Diener, E.,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47 : 1105-1117, 1984

      33 Fleming, J. S., "The dimensionality of self-esteem" 46 : 404-421, 1984

      34 Marsh, H. W., "The content specificity of relation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84 : 35-42, 1992

      35 Brandstadter, J., "The aging self : Stabilizing and protective processes" 14 : 52-80, 1994

      36 Harter, S.,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53 : 87-97, 1982

      37 O’Brien, E. J., "The Multidimensional Self-Esteem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8

      38 Derogatis, L. R., "The Brief Symptom Inventory : An introductory report" 13 : 595-605, 1983

      39 Roberts, J. E., "Temporal variability in global self-esteem and specific self-evaluation as prospective predictors of emotional distress : Specificity in predictors and outcome" 106 : 521-529, 1997

      40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41 Hall, J., "Subjective measure of quality of life in Britain, 1971 to 1975 : some developments and trends" 7 : 47-60, 1976

      42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43 Brown, J. D., "Self-esteem: It's not what you think" 1994

      44 Tesser, A., "Self-esteem processes are central to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well-being, In Self-esteem issues and answers: A sourcebook of current perspectives" Psychology Press 267-271, 2006

      45 Leary, M. R., "Self-esteem as an interpersonal monitor : The sociometer hypothesis" 68 : 518-530, 1995

      46 Silber, E., "Self-esteem : Clinical assessment and measurement validation" 16 : 1017-1071, 1965

      47 전병재, "Self-esteem : A test of its measurability" 11 : 109-129, 1974

      48 Higgins, E. T., "Self-discrepancy : A theory relating self and others" 94 : 319-340, 1987

      49 Costa, P. T. Jr.,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 PI-R)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NEO-FFI):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50 Baumeister, R. F., "Relation of threatened egotism to violence and aggression : The dark side of high self-esteem" 103 : 5-33, 1996

      51 Hewitt, P. L., "Perfectionism, stress,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10 : 137-142, 1986

      52 Furnham, A., "Perceived parental behaviour, self-esteem, and happiness" 35 : 463-470, 2000

      53 Coopersmith, S., "Parent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elf-esteem, In Antecedents of self-esteem" Freeman 96-117, 1967

      54 민병모, "NEO 인성검사(NEO-PI-R)" PSI 컨설팅 1997

      55 Mead, G. H., "Mind, self, and socie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4

      56 Baumeister, R. F., "Metatraits" 56 : 571-598, 1988

      57 Harter, S., "Manual for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University of Denver 1985

      58 Fitts, W. H., "Manual for the Tennessee Self Concept Scale" Counselor Recordings and Tests 1965

      59 Piers, E. V., "Manual for the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The Way I Feel About Myself)" Counselor Recordings and Tests, Department of Mental Health 1969

      60 Baumeister, R. F., "Low self-esteem does not cause aggression" 30 : 4-, 1999

      61 Brockner, J., "Low self-esteem and behavioral plasticity: Some implication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In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4" Sage 237-271, 1984

      62 Leary, M. R., "Interpersonal functions of the self-esteem motive: The self-esteem system as sociometer, In Efficacy, agency, and self-esteem" Plenum 123-140, 1995

      63 Park, L. E., "Interpersonal consequences of seeking self-esteem" 31 : 1587-1598, 2005

      64 Sedikides, C., "Individual self, relational self, collective self, In Individual self, relational self, collective self" Psychology Press 1-6, 2001

      65 Dawes, R. M., "House of cards: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built on myth" Free Press 1994

      66 Marsh, H. W., "Global self-esteem : Its relation to specific facets of the self-concept and their importance" 51 : 1224-1236, 1986

      67 Pelham, B. W., "From self-conceptions to self-worth : The sources and structure of self-esteem" 57 : 672-680, 1989

      68 Reynolds, W. M., "Development of reliable and valid short form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38 : 119-125, 1982

      69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 1-55, 1999

      70 Hallowell, A. I., "Culture and experien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55

      71 Diener, E.,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68 : 653-663, 1995

      72 Scheff, T. J., "Crime, violence, and self-esteem: Review and proposals, In The social importance of self-estee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5-199, 1989

      73 Crocker, J., "Contingencies of self-worth in college students : Theory and measurement" 85 : 894-908, 2003

      74 Crocker, J., "Contingencies of self-worth" 108 : 593-623, 2001

      75 Rosenberg, M., "Conceiving the self" Basic Books 1979

      76 Zwick, W. R., "Comparison of five rul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to retain" 3 : 432-442, 1982

      77 Harter, S., "Causes, correlates, and the functional role of global self-worth: A life-span perspective, In Competence considered" Yale University Press 67-97, 1990

      78 Fordyce, M. W., "A review of research on the happiness measure : A sixty second index of happiness and mental health" 20 : 355-382, 1988

      79 Crowne, D. P., "A new scale of social desirability independent of psychopathology" 24 : 349-354, 1960

      80 한유화, "2요인 자아존중감 척도: 개인주의적 및 집단주의적 요인"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117-131,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