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 슬관절 치환술 후 활액막내에 주입한 Ropivacaine과 Morphine이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 전향적 연구 = The Effects of Intra synovial Ropivacaine and Morphine Injection on Postoperative Pai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인공 슬관절 치환술 후 활액막내에 주입한 Ropivacaine과 Morphine이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 전향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50224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인공 슬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수술 후 통증 관리는 입원 기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의 운동성 제한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시 활액막 내에 morphine과 rop...

      목적: 인공 슬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수술 후 통증 관리는 입원 기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의 운동성 제한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시 활액막 내에 morphine과 ropivacaine을 병용하여 투여함으로써 활액막내 약물 투여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는 전향적 이중 맹검 무작위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전신 상태가 미국 마취과학회 신체 등급 분류상 등급 1, 2에 해당되는 환자를 척추마취 하에서 양측 인공 슬관절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 관절막 봉합 직전에 무작위로 한쪽 슬관절에는 morphine HCL 5 mg 0.5 mL, ropivacaine 0.6% 300 mg 40 mL, 1:200,000 epinephrine 0.25 mL 및 생리 식염수를 포함하여 전체 50 mL 그리고 반대측 슬관절에는 Normal saline 50 mL를 활액막내에 주입하였다. 수술 후 2, 4, 6, 12, 24, 32, 40, 48시간 동안 통증의 변화를 10 CM visual analogue pain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수술 후 양측 슬관절 간의 출혈량과 운동범위도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32명의 환자에서 양측 슬관절 간에 수술 후 2, 4, 6, 12시간에 휴식 시, 그리고 24, 32, 40, 48시간에는 휴식 시와 운동 시 모두 visual analogue scores (VAS)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수술 후 슬관절의 운동범위에도 양측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인공 슬관절 치환술 시 척추 마취와 경막외 자가 통증 조절 장치 사용 시에는 활액막내국소 마취제나 아편계 약물의 투여는 진통 작용이나, 수술 후 운동 범위 증가 등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Pain contro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reduces total admission days and is important in improving post operative range of mo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efficacy of intrasynovial injection of morphine and ropivacaine after total knee ar...

      Purpose: Pain contro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reduces total admission days and is important in improving post operative range of mo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efficacy of intrasynovial injection of morphine and ropivacain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double blinded and randomized study was performed in thirty two patients with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y stage I or II who underwent one staged total knee arthroplasty for both knees simultaneously under spinal anesthesia. Demographic data (age, height, weight, gender distribution,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knee score, Knee society score, visual analogue scores (VAS) and range of motion were evaluated in all patients preoperatively. Before closure of the joint capsule, a local injective analgesia of 50mL including 0.5 ml 5 mg of HCL morphine, 40 mL 0.6% 300 mg ropivacaine and 0.25 mL of 1:200,000 epinephrine was injected into the synovium of one knee and 50 mL of normal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synovium of the opposite knee. Analgesic efficacy was evaluated by visual analogue scores (VAS) at intervals of 2, 4, 6, 12, 24, 32, 40 and 48 hours after operation. During this period, the amount of postoperative bleeding and range of motion were compared between both knees in the same patient.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oth knees in regard to VAS at intervals of 2, 4, 6, 12, 24, 32, 40 and 48 hours after surgery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ange of motion among both knees (p>0.05).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o not recommend the routine use of postoperative intrasynovial ropivacaine and morphine injection for the purpose of reducing pain in patients undergoing knee arthroplasty under spinal anesthesia with epidural patient controlled anesthesi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