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일정성분비의 법칙에 관련된 앙금생성실험과 모형실험수업의 효과 비교 = A Comparison of Instruction Effectiveness between the Experiment of Precipitation and the Experiment with Ball and Stick Model Related to 'Law of Definite Propor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31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에 가르치는 일정성분비의 법칙과 관련된 앙금생성실험수업과 모형을 이용한 수업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3학년 250명이었으며, 각각 앙금생...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에 가르치는 일정성분비의 법칙과 관련된 앙금생성실험수업과 모형을 이용한 수업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3학년 250명이었으며, 각각 앙금생성 실험반과 모형반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앙금생성 실험반은 수용액 안에 각각의 원소들이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두 용액을 섞으면 새로운 화합물이 만들어진다고 인식하는 비율도 모형반보다 높았다. 앙금생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는 두 집단이 큰 차이가 없었으며, 오답의 비율이 높아 교수전략이 학생들의 인식을 교정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비록 실험 결과로부터 규칙성을 찾는 비율은 모형을 사용하는 집단이 높았지만, 실험 결과로부터 반응물 사이의 일정비 결합을 추론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두 집단이 유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실험과 모형을 통해 일정성분비를 추론하는 것은 중학생의 수준에서 쉽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instruction effectiveness between experiments of precipitation and a ball & stick model related to the 'Law of Definite Proportions' of 9th grade scienc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250 students in the 9th grade. They were...

      This study compared the instruction effectiveness between experiments of precipitation and a ball & stick model related to the 'Law of Definite Proportions' of 9th grade scienc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250 students in the 9th grad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mode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thought in which the elements were divided in the solutions and the ratio of thought in which a new compound was created when the two solutions were mixed were higher in the precipitation experiment group than in the model group. The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in terms of the ratio of thought related to the reason for the creation of the precipitate. The ratio of thought pertaining to incorrect answers was high, implying that the two strategies were not effective in correcting students' thoughts. However, the ratio of finding patterns from the measuring data in the model group was higher than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 ratios of 'definite proportions' inference in the bonding of the reactants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From these data, we concluded that the inference of the 'Law of definite proportion' from experiments or models was not suita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aik, S. H., 37 (37): 30-37, 2010

      2 Maia, P. F., 31 (31): 603-630, 2009

      3 Justi, R. S., 24 (24): 1273-1292, 2002

      4 Fazio, C., 30 (30): 1491-1530, 2008

      5 Chi, M. T. H., 18 (18): 439-477, 1994

      6 Tylor, I., 25 (25): 1205-1225, 2003

      7 Kim, H. B., 29 (29): 57-64, 2001

      8 Choi, K. H., 48 (48): 401-410, 2004

      9 Taber, K. S., 36 (36): 222-226, 2001

      10 Harrison, A. G., 22 (22): 1011-1026, 2000

      1 Paik, S. H., 37 (37): 30-37, 2010

      2 Maia, P. F., 31 (31): 603-630, 2009

      3 Justi, R. S., 24 (24): 1273-1292, 2002

      4 Fazio, C., 30 (30): 1491-1530, 2008

      5 Chi, M. T. H., 18 (18): 439-477, 1994

      6 Tylor, I., 25 (25): 1205-1225, 2003

      7 Kim, H. B., 29 (29): 57-64, 2001

      8 Choi, K. H., 48 (48): 401-410, 2004

      9 Taber, K. S., 36 (36): 222-226, 2001

      10 Harrison, A. G., 22 (22): 1011-1026, 2000

      11 Blake, A., 26 (26): 1855-1873, 2004

      12 Schwarz, C. V., 46 (46): 632-654, 2009

      13 백성혜, ""일정성분비의 법칙"에 관한 교과서 실험 유형에 따른 중3학생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50-58, 2007

      14 백성혜, "중학교 3학년 요오드화납 생성반응 실험의 수업 방식 차이와 학생들의 이해에 관한 연구" 대한화학회 50 (50): 374-384, 2006

      15 김경순, "비유를 사용한 반응 속도 개념 학습에서 유발되는 대응 오류에 대한 분석과 비유 표현 방식에 따른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340-350, 2008

      16 백성혜, "물리변화와 화학변화에 대한 중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개념 분석" 대한화학회 47 (47): 155-164, 2003

      17 김미영, "모형 기반 수업을 통한 혈액 순환 개념 변화의 다차원적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5 (35): 407-424, 2007

      18 Han, G. H.,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 and 9th Grade Student's Perception about Lecture and Experimental Classers related to the "Law of Definite Proportion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0

      19 Else, M. J., "Should differnet types of analogies be treated differently in instruction? Observations from a middle-school life science curriculum" 2003

      20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National Achievement Level Test for 10th Grade" 2007

      21 Duit, R, "In Students' conceptual frameworks: Consequences for learning scien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1

      22 Lehrer, R., "In Scientific thinking and science literacy(6th)" John Wiley and Sons 2006

      23 Lesh, R., "In Beyond constructivism: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s o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learning, and teaching" Erlbaum 2003

      24 Kim, J. C., "Constraints of analogy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7

      25 Park, T. G., "Chemistry history, Review again common sense" Propagation Science Company 1993

      26 Jin, H. J., "Analysis of the effect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for concepts concerning material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3

      27 Song, Y. B.,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hemical Experiments in the Middl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4 0.36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