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주교통방송 가청권 확대를 위한 음영지역 해소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olution of Reducing the Shadow Area for Extending the Audible Range of TBN-Jeon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88423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Solution of Reducing the Shadow Area for Extending the Audible Range of TBN-Jeonju

      • 형태사항

        xii, 122 p : 삽화,표 ; 26cm

      • 일반주기명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문호, 박동선
        참고문헌 : p.122

      • 소장기관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교통방송의 계열로 2002년 5월 15일에 설립된 전주교통방송은 송신 출력 1kW, FM 주파수 102.5MHz로 방송하고 있다. 그러나, 전북권 내 동부산악지역에서의 전계강도는 매우 불량한 것이 현실...

      한국교통방송의 계열로 2002년 5월 15일에 설립된 전주교통방송은 송신 출력 1kW, FM 주파수 102.5MHz로 방송하고 있다. 그러나, 전북권 내 동부산악지역에서의 전계강도는 매우 불량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전주교통방송의 가청권 확대를 위해 송신 출력 5kW로 방송하고 있는 100.7MHz의 KBS와 99.1MHz의 MBC의 전계강도를 각각 측정하여 전주교통방송과 비교, 분석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전북권내 동부산악지역에 다수의 중계소를 확보하고 있는 EBS와도 전계강도 실측치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EBS의 경우와 같이 전주교통방송의 동부산악지역 내 중계소 설치가 전주교통방송의 가청권 확대를 위한 음영지역 해소방안의 최선책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제안하는 바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그림목차 ⅴ
      • 표목차 ⅷ
      • Abstract
      • 1. 서론 1
      • 1.1 연구배경 1
      • 그림목차 ⅴ
      • 표목차 ⅷ
      • Abstract
      • 1. 서론 1
      • 1.1 연구배경 1
      • 1.1.1 전북권내 동부 산악지역에 대한 이해 3
      • 2. TBN 한국교통방송의 전반적 이해 5
      • 2.1 TBN 한국교통방송 소개 5
      • 2.2 TBN 한국교통방송 연혁 5
      • 2.3 TBN 한국교통방송 네트워크 7
      • 2.4 TBN 한국교통방송 라디오/DMB 주파수 7
      • 2.5 TBN 한국교통방송 송/중계소 시스템 현황 14
      • 2.5.1 서울 DMB 14
      • 2.5.2 인천교통방송 14
      • 2.5.3 강원교통방송 16
      • 2.5.4 대전교통방송 19
      • 2.5.5 대구교통방송 22
      • 2.5.6 부산교통방송 24
      • 2.5.7 광주교통방송 26
      • 2.5.8 방송용 안테나 개요 28
      • 3. TBN 한국교통방송 전주본부의 전반적 이해 30
      • 3.1 전주교통방송 연주소 방송시설 31
      • 3.1.1 전주교통방송 연주소 안테나 내역 32
      • 3.2 전주교통방송 송신소 방송시설 33
      • 3.2.1 전주교통방송 송신소 안테나 내역 33
      • 3.3 전주교통방송 방송구역 산출 근거 41
      • 3.4 전주교통방송 방송링크 45
      • 4. 전계강도 측정 및 비교, 분석 46
      • 4.1 전계강도 표준 46
      • 4.2 방송구역전계강도의 산출방법 47
      • 4.2.1 방송구역 전계강도의 기준 47
      • 4.2.2 방송구역 전계강도의 계산기준 49
      • 4.3 전북권내 FM 라디오 채널 전계강도 측정 59
      • 4.3.1 측정 장비 및 방법 59
      • 4.3.2 전주교통방송 전계강도 측정 및 비교분석 60
      • 가. 전주시 전계강도 60
      • 나. 완주군 전계강도 61
      • 다. 익산시 전계강도 63
      • 라. 군산시 전계강도 64
      • 마. 김제시 전계강도 65
      • 바. 부안군 전계강도 66
      • 사. 정읍시 전계강도 67
      • 아. 고창군 전계강도 68
      • 자. 임실군 전계강도 69
      • 차. 순창군 전계강도 70
      • 카. 남원시 전계강도 71
      • 타. 무주군 전계강도 72
      • 파. 진안군 전계강도 73
      • 하. 장수군 전계강도 74
      • 4.3.3 동부 산악지역 전계강도 결과 분석 75
      • 4.3.4 전주교통방송 vs EBS 전계강도 비교 및 분석 79
      • 4.3.5 EBS 중계소 현황 79
      • 4.3.6 전주교통방송 vs EBS 전계강도 측정 80
      • 가. 전북권 전역 전계강도 80
      • 나. 동부 산악지역 전계강도 82
      • 4.3.7 EBS 중계소 위치 지역별 전계강도 83
      • 가. 무주군 83
      • 나. 장수군 87
      • 다. 고창군 89
      • 라. 남원시 91
      • 4.3.8 EBS 중계소별 전계강도 시뮬레이션 93
      • 가. EBS 계남 FM 중계소 93
      • 나. EBS 고창 FM 중계소 95
      • 다. EBS 무주 FM 중계소 96
      • 라. EBS 삼공 FM 중계소 98
      • 마. EBS 노고단 FM 중계소 99
      • 바. YTN 뉴스 FM 청계산 송신소 102
      • 5. 전주교통방송 팔공산 중계소 제안 105
      • 5.1 장수 FM 중계소 개요 105
      • 5.1.1 장수 FM 중계소 방송구역 산출 근거 109
      • 5.2 장수 FM 중계소 출력별 시뮬레이션 114
      • 5.2.1 공중선 출력 - 100W 115
      • 5.2.2 공중선 출력 - 250W 116
      • 5.2.3 공중선 출력 - 500W 118
      • 6. 결론 121
      • [참고문헌] 1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