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80년대 여성평우회의 기층여성 중심의 활동과 여성운동의 방향 논쟁 = In Woman PeongU Association in 1980’s Activation Focused on Grass-Roots Women, and Directional Debate of Women’s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381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평우회는 한국전쟁 이후 최초의 진보적 여성운동단체이다. 여성평우회는 여성문제를가부장제라는 사회구조에서 인식하였고, 성평등한 사회건설을 지향하면서 1983년에 창립됐다. 평우...

      여성평우회는 한국전쟁 이후 최초의 진보적 여성운동단체이다. 여성평우회는 여성문제를가부장제라는 사회구조에서 인식하였고, 성평등한 사회건설을 지향하면서 1983년에 창립됐다. 평우회는 기층여성 중심의 활동으로 여성빈민운동, 여성노동운동을 지원했고, 여성문화큰잔치 등의 대중활동을 벌였다. 또 25세 여성 조기정년제 폐지운동을 통해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과 가사노동의 의미를 문제 제기하는 등 각계각층의 여성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여성단체들과 연대하여 ‘85 여성선언’과 1986년 ‘기층여성’ 중심의 여성운동을 표방했다.
      그러나 여성평우회는 회원들 간의 경험 차이, 조직 위상, 민족민주민중운동과 여성운동의 관계문제를 둘러싼 논쟁을 벌이다가 1987년 해산했다. 이후 이들은 분화하여 한국여성노동자회,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단체연합을 결성하여 현재 진보적 여성운동의 일 주체를 형성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man PeongU Association was the first progressive women’s movement group since the Korean War. Woman PeongU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1983, recognizing women’s problems in the social structure of patriarchy and aiming for gender equality. Wo...

      Woman PeongU Association was the first progressive women’s movement group since the Korean War. Woman PeongU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1983, recognizing women’s problems in the social structure of patriarchy and aiming for gender equality. Woman PeongU Association supported women’s poverty movement and women’s labor movement with the activities centered on women, and carried out popular activities such as women’s culture and big feast. In addition, through the abolition of the 25-year-old women’s early retirement system, they raised the issue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meaning of household labor in the labor market. In solidarity with women’s organizations, the ’85 Women’s Declaration and the ’Fool Women’-centered Women’ movement in 1986 were promoted.
      However, Woman PeongU Association dissolved in 1987 after arguing about differences in experience among members, organizational statu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Democratic People’s Movement and the Women’s Movement.,Since then, they have differentiated and formed the Korean Women’s Workers’ Association, the Korean Women’s Association, and the Korean Women’s Associ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효재, "한국의 여성운동-어제와 오늘" 정우사 1996

      2 오장미경, "한국여성운동과 젠더 정치"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6

      3 남인순, "한국여성단체연합 여성정책자료실" 1998

      4 "총회자료집"

      5 "창립선언문"

      6 김영희, "진보적 여성운동론의 재검토" 한국여성연구소 2 : 2002

      7 한국여성단체연합, "진보여성운동가들의 삶과 희망-여성평우회 창립 30주년 기념" 2013

      8 "이천만 여성 1∼4"

      9 여성평우회 창립 20주년 기념행사준비위, "여성평우회 발자취" 2003

      10 "여성평우 1∼4"

      1 이효재, "한국의 여성운동-어제와 오늘" 정우사 1996

      2 오장미경, "한국여성운동과 젠더 정치"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6

      3 남인순, "한국여성단체연합 여성정책자료실" 1998

      4 "총회자료집"

      5 "창립선언문"

      6 김영희, "진보적 여성운동론의 재검토" 한국여성연구소 2 : 2002

      7 한국여성단체연합, "진보여성운동가들의 삶과 희망-여성평우회 창립 30주년 기념" 2013

      8 "이천만 여성 1∼4"

      9 여성평우회 창립 20주년 기념행사준비위, "여성평우회 발자취" 2003

      10 "여성평우 1∼4"

      11 조주현,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80∼90년대 한국의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12 (12): 1996

      12 "성명서 모음"

      13 "규약"

      14 이송희, "80년대 한국여성운동" 부산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3 : 1992

      15 오장미경, "80∼90년대 여성운동에 나타난 운동론 쟁점들" 고려대학교 석순편집위원회 17 : 2000

      16 "1985년 제2회 여성평우회 창립 2주년 기념대회자료집"

      17 "1984년 「가족법의 왜 개정되어야 하는가 자료집」"

      18 박인혜, "1980년대 한국의 '새로운' 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 크리스챤 아카데미의 '여성의 인간화' 담론과 '여성사회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5 (25): 141-174, 2009

      19 김영정, "1980년대 한국 여성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 민주화운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6 1.81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