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06년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의 역학적 특성 =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rub Typhus in Gyeongsangbuk-do, 200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13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쯔쯔가무시병은 국내에서 최근 그 발생이 증가추세에 있다. 이 연구는 쯔쯔가무시병 사례군의 발생 원인을 추적하여 보다 효과적인 예방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6년 10월 1일...

      쯔쯔가무시병은 국내에서 최근 그 발생이 증가추세에 있다. 이 연구는 쯔쯔가무시병 사례군의 발생 원인을 추적하여 보다 효과적인 예방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6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경상북도 경주시, 영천시, 청도군 보건소에서 확진된 쯔쯔가무시병 사례를 직접 방문하여 연령, 성별, 직업, 작업행태, 가피위치, 방문 및 진단기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성별, 연령별로 환자를 분류하고 작업행태별로 가피의 위치를 분류해 보았고, 발생일별 분포와 진단기관, 방문기관별 입원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성별 분포는 남자 28명(45.2%), 여자 34명(54.8%)이었고, 연령별 분포는 60대 19명(30.6%), 70대 17명(27.4%), 50대 13명(21.0%) 등의 순이었다. 사례군의 발생일은 10월과 11월에 집중되어 있었다. 작업행태별로 분류해 보면, 농사관련 작업이 41명(66.1%), 과수재배 작업이 13명(21.0%), 성묘 작업이 3명(6.5%), 실내에 쥐가 있던 경우가 3명(6.5%), 등산과 기타 외부활동이 각각 1명이었다. 농사관련 작업은 다시 세부적으로 다양한 농사활동 17명(41.5%), 논농사 11명(26.8%), 텃밭농사 8명(19.5%), 밭농사 5명(12.2%)이었다. 사례들의 첫 번째 방문기관은 의원이 40명, 병원 6명, 보건소 4명, 보건지소 3명, 한의원 1명, 약국 8명이었으며, 첫 방문기관에서 3명이 입원하였고, 그 후 둘째, 셋째, 넷째 방문기관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47명(75.8%)이 입원하였다. 가피는 52명(83.9%)에서 55건 관찰되었고, 그 위치는 겨드랑이가 15건(27.3%)으로 가장 많았고, 옆구리와 서혜부가 각각 6건, 배꼽근처와 흥부가 각각 5건 등의 순이었다. 일부에서 작업행태를 재연해 본 결과, 가피의 위치와 위험작업 간 관련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쯔쯔가무시병 사례군을 대상으로 작업행태를 재연하여 위험작업을 추정할 수 있었던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he incidence of scrub typhus is increasing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crub typhus. The authors reviewed 62 cases reported by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s. The cas...

      Currently, the incidence of scrub typhus is increasing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crub typhus. The authors reviewed 62 cases reported by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s. The cases had the newly developed scrub typhus patients in Gyeongju-si, Yeongcheon-si and Cheongdo-gun from October 1 to December 31, 2006.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orted cases. Determination of the cause of disease was evaluated. The occurrence of disease varied with gender, age, working attitude and the date of onset. Twenty-eight patients (45.2%) were male, and 34 patients (54.8%) were female. The most of cases occurred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The probable causes were fruit harvesting (13 cases), mowing around grave yard (3 cases), indoor activity near mice (3 cases), climbing (1 case), other outdoor activity (1 case), and farming activities (41 cases) such as various farm works (17 cases), rice field farming (11 cases), house garden farming (8 cases), and dry-field farming (5 cases). Total 47 cases (75.8%) were admitted to hospitals at last. The sites of eschar were axilla (15 spells), flank (6 spells), groin (6 spells), and around umbilicus (5 spells). Some of cases reacted to their working, indicating that the site of the eschar had some correlation with the cause of infection. The results of this report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scrub typhus about etiology and high-risk behavior that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effective prevention program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