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開化期詩歌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9166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詩文學社, 1990

      • 발행연도

        199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11.609 판사항(4)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韓國開化期詩歌硏究 / 金學東 著.

      • 형태사항

        473p.; 22cm.

      • 일반주기명

        색인수록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강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중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칠암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인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소장기관정보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백석대학교 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외국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경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세경대학교 도서관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천대학교 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평택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第一編 開化期詩歌의 史的 展開
      • Ⅰ. 開化期詩歌의 時代的 背景
      • 1. 緖論 = 12
      • 2. 四歐文化의 移植과 受容環境 = 14
      • 목차
      • 第一編 開化期詩歌의 史的 展開
      • Ⅰ. 開化期詩歌의 時代的 背景
      • 1. 緖論 = 12
      • 2. 四歐文化의 移植과 受容環境 = 14
      • 1) 基督敎思想의 移植과 受容環境 = 14
      • 2) 海外文學의 移入過程 = 20
      • 3)「四遊見開」과 ‘開化’의 두가지 類型 = 21
      • 3. 變革과 自覺의 두 次元 = 23
      • 1) 貴族革命 - 他律性 = 24
      • 2) 農民革命 - 自律性 = 25
      • 4. 社會·文化 諸般의 變化現象 = 26
      • 1) 新敎育機關과 그 變化意慾 = 27
      • 2) 近代的 新聞과 雜誌의 啓蒙性 = 32
      • 3) 民族語의 自覺과 言文一致運動
      • Ⅱ. 開化思想과 抵抗의 限界性
      • 1. 緖論 = 35
      • 2. 個我의 發見과 近代性의 徵候 - 東學歌辭 = 40
      • 1) 侍天主思想과 個我의 尊嚴性 = 40
      • 2) 變革과 抵抗的 主題 = 43
      • (1) 傳統性의 矛盾과 그 批判 = 45
      • (2) 外勢排擊 과 抵抗精神 = 47
      • (3) 末期的 症相과 變革의 企圖 = 49
      • 3. 文明開化와 自主獨立의 讚美 - 愛國·獨立歌 = 53
      • 1)《독닙신문》의 愛國·獨立歌 = 54
      • (1) 愛國·獨立歌의 作者와 作品 = 54
      • (2)「최돈셩의 글」과 愛國·獨立歌類型의 출발 = 56
      • (3) 自主·開化意識과 그 民衆性 = 58
      • 2) 時代相의 推移와 主題意識의 變化 = 64
      • (1)《大韓每日申報》의 愛國·獨立歌類型 = 65
      • (2)《京鄕新聞》의 愛國·獨立歌類型 = 67
      • 4. 開化思想과 抵抗的 主題 - 開化歌辭 = 70
      • 1) ‘詞藻’와 ‘社會燈’欄의 形成 = 70
      • (1) ‘詞林’ - ‘詞藻’ = 71
      • (2) ‘劍’ - ‘燈’ - ‘社會燈’ = 72
      • 2) ‘開化歌辭’의 쟝르적 개념 = 74
      • 3) 主題意識의 두가지 類型 = 78
      • (1) 民族觀念과 抵抗的 主題 = 81
      • (2) 開化와 自主權의 逆理現象 = 86
      • 5. 結語 = 91
      • Ⅲ. 新體詩와 그 詩壇의 展關
      • 1. 緖論 = 94
      • 2. 新體詩와 그 形成過程 = 96
      • 1) 新體詩의 名稱 = 97
      • 2) 新體詩의 起點問題 = 100
      • 3) 新體詩와 그 散文性 = 103
      • 4)「新體詩抄」(日本)와의 關聯 = 106
      • 3. 新體詩壇의 構成 = 110
      • 1) 新體詩의 先驅的 位置 - 六堂의 詩 = 112
      • (1) 六堂詩歌의 音數律에 의한 分布 = 113
      • (2) 六堂의 詩的 출발 = 115
      • (3) '바다'와 '少年'의 意味 = 118
      • (4) '山'과 朝鮮精神 = 125
      • 2) 詩形의 變化意圖와 歷史意識 - 春園의 初期詩 = 129
      • (1)「獄中豪傑」과 詩的 출발 = 130
      • (2) 4行聯詩와 그 押韻法 = 131
      • (3) 新體詩의 變形 = 135
      • (4) '곰'과 歷史意識 = 138
      • 3) 喪失感과 그 抵抗性 - 小星의 詩 = 142
      • (1)「小星의 漫筆」과 시작활동 = 143
      • (2)「失樂園」등과 그 定型性 = 144
      • (3)「웅커리로서」와 自由詩型 = 146
      • (4)「向上」및「새벽」과 散文詩型 = 150
      • 4) 浪漫과 個我의 抒情性 - 素月의 詩 = 153
      • (1) 素月의 詩와 근대적 요소 = 154
      • (2)「벨지엄의 勇士」와 詩的 출발 = 158
      • (3) 感傷과 浪漫의 情調 = 159
      • (4)「步月」과「潮에 蝶의 문제성」 = 162
      • (5)「美」와 素月의 藝術觀 = 165
      • 5) 轉換基의 詩的 變貌 - 岸曙·돌샘·流暗 등의 詩 = 168
      • (1) 金岸曙의 初期詩 = 168
      • (2) 돌샘「石泉」의 詩 = 170
      • (3) 流暗의「山女」등 = 172
      • 4. 結語 = 177
      • Ⅳ. 開化基詩歌의 類型과 形態的 展開
      • 1. 緖論 = 181
      • 2. 傳統詩歌의 韻律과 變化의 徵候 = 183
      • 1) 愛國·獨立歌類型의 展開 = 183
      • 2) 開化歌辭의 律調와 分聯法 = 194
      • 3) 時調와 漢詩 및 기타의 變形 = 203
      • (1) 時調形式과 그 終章의 變化 = 203
      • (2) 漢詩形式의 借用과 기타 = 205
      • 3. 六堂詩歌의 類型과 轉煥的 意味 = 209
      • 1) 唱歌形式과 그 律調 = 209
      • (1) 7·5調의 唱歌 = 212
      • (2) 8·5調의 唱歌 = 213
      • (3) 6·5調의 唱歌 = 215
      • 2) 新體詩와 그 音數律의 限界 = 217
      • 3) 自由詩形式의 試圖 = 223
      • 4) 散文詩形式의 試圖 = 226
      • 4. 結語 = 230
      • 第二編 開化基文學의 影響史的 背景
      • Ⅴ. 西歐文學의 移入과 그 影響
      • 1. 緖論 = 234
      • 2. 西歐作家와 作品의 表記法 = 235
      • 1) 主要作家와 기타의 경우 = 236
      • 2) 文學 作品과 기타의 경우 = 237
      • 3. 西歐文學의 移入樣相 = 240
      • 1) 희랍 및 로마 文學의 移入 = 243
      • 2) 이탈리아 文學의 移入 = 247
      • 3) 프랑스 文學의 移入 = 249
      • 4) 英國文學의 移入 = 260
      • 5) 美國·獨逸·러시아 文學 및 기타의 移入 = 272
      • 6) 쟝르와 思潮등 文學用語의 移入 = 276
      • 4. '格言'類의 移入과 敎訓性 = 281
      • 5. 結語 = 285
      • Ⅵ. 轉信者로서의 崔南善
      • 1. 緖論 = 288
      • 2. 《少年》 및 《靑春》지와 六堂의 譯述活動 = 289
      • 3. 六堂의 轉信者的 役割 = 290
      • 1) 희랍 및 로마文學의 移入過程 = 290
      • (1) 「이솝의 이약」과 희랍 寓話 = 291
      • (2) '知德合一' 思想과 소크라테스 = 292
      • (3) 新스토아 學派와 로마文學 = 294
      • 2) 英國文學의 移入過程 = 296
      • (1) 스위프트의「巨人國漂流記」 = 296
      • (2) 디포우의「로빈손 無人絶島漂流記」 = 298
      • (3)「失樂園」과「캔터베리 이야기」 = 300
      • (4) 바이런과 테니슨의 詩 = 302
      • (5) 스마일즈의「自助論」과 기타 = 304
      • 3) 美國文學의 移入過程 = 310
      • (1) 스미드의 「아메리카」 = 310
      • (2) 스토우未人의 「검둥이의 셜음」 = 310
      • (3) 켐프·호오도온·에머슨·어어빙 = 311
      • (4) 와싱턴·프랭클린·링컨·르우스벨트 = 313
      • 4) 프랑스文學의 移入過程 = 316
      • (1) 「나폴네온 大帝傳」과 프랑스文學 및 思想 = 317
      • (2) 위고의 「ABC 契」와「너 참 불상타」 = 321
      • (3) 近代哲學의 先導者 데까르트 = 322
      • 5) 獨逸文學의 移入過程 = 324
      • (1) 하이네·괴테·실러의 詩와 格言 = 324
      • (2) 빌헬름 二世의 思想과 藝術觀 = 327
      • (3) 모오짜르트의 音樂과 루터의 思想 = 328
      • 6) 러시아文學의 移入過程 = 329
      • (1) 톨스토이의 文學과 思想 = 330
      • (2) 투르게네포의「문어구」 = 331
      • (3) 끄르일로프의 寓話와 안드레에프의 散文詩 = 332
      • (4) 피이터大帝와 러시아의 定情 = 334
      • 7) 日本文學의 移入過程 = 335
      • (1) 福澤諭吉의 修身要領 = 335
      • (2) 中村敬宇의 「自助論譯本序」 = 336
      • (3) 島村抱月의 文學理論 = 337
      • 8) 폴란드·스페인·印度 및 기타 文學의 移入過程 = 338
      • (1) 네모에푸스키이의「사랑」과 폴란드 文學 = 338
      • (2) 세르반떼스의「頓基造傳奇」와 스페인 文學 = 339
      • (3) 타고르의 詩와 印度文學 = 340
      • (4) 가리발디와 이탈리아 政治史 = 341
      • (5) 페스탈로찌의 處世訓과 스위쓰의 文學 = 342
      • (6) 하멜의 (朝鮮日記)와 네델란드 文學 = 343
      • 4. (世界一週歌) 등과 그 影響要素 = 344
      • 5. 結語 = 348
      • 第三編 附錄
      • Ⅰ. 愛國·獨立歌類型의 年表 = 351
      • (1) 愛國·獨立歌의 內容要旨(Ⅰ) - 《大韓每日申報》 收錄分 = 351
      • (2) 愛國·獨立歌의 內容要旨(Ⅱ) - 《京鄕新聞》 收錄分 = 356
      • Ⅱ. 開化歌辭와 短歌의 年表 = 362
      • (1) '社會燈'歌辭의 內容要旨 = 362
      • (2) (詞藻欄)의 短歌 = 403
      • Ⅲ. 西歐作家와 作品의 表記法 = 409
      • 1) 漢子表記法의 境遇 = 409
      • (1) 西歐作家의 表記法(A) = 410
      • (2) 西歐作家의 表記法(B) = 415
      • (3) 文學作品 및 기타의 表記法 = 419
      • 2) 國語表記法의 境遇 = 420
      • (1) 西歐作家의 表記法(A) = 421
      • (2) 西歐作家의 표기법(B) = 432
      • (3) 文學作品 및 기타의 表記法 = 438
      • 索引 = 4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