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연부조직 낭미충증의 초음파 및 자기공명영상 소견 : 1예 보고 = Ultrasonographic and MR findings of cysticercosis in soft tissue : A case re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83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describe an unusual case of cysticercosis in soft tissue. On US, a well-defined oval shaped cystic lesionwith an inner central hyperechoic portion was noted. This portion showed high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images and equivocal enhancement. ...

      We describe an unusual case of cysticercosis in soft tissue. On US, a well-defined oval shaped cystic lesionwith an inner central hyperechoic portion was noted. This portion showed high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images and equivocal enhancement. On MRI, other portions of the lesion showed their cystic nature. Pathologicexamination confirmed the presence of cysticercosis and, in particular, the central portion was found to be amural nodule with scolex. Cysticercosis in the soft tissue and musculature of patients from endemic areas shouldthus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n incidental mass, especially when this is cystic and has aninner central nodu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부조직에서의 낭미중증은 주로 쌀알 모양의 여러 석회화 병변을 보고 진단한다. 그러나 연부 조직에서 석회화 병변을 가지지 않고, 다닝ㄹ 낭성 병변을 보인 낭미충증 1예를 경험하여 이...

      연부조직에서의 낭미중증은 주로 쌀알 모양의 여러 석회화 병변을 보고 진단한다. 그러나 연부 조직에서 석회화 병변을 가지지 않고, 다닝ㄹ 낭성 병변을 보인 낭미충증 1예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 병변은 초음파 검사에서 내부 고에코의 부분을 가진 경계가 분명한 낭성 병변으로 보였다. 내부 고에코부는 자기공명영상에서 T1 강조영사엥서 고신호강도를 보였으며, 조영증강 정도가 분명치 않았고, 나머지 부위는 모든 영상에서 낭성으로 보였다. 병리조직검사에서 이 병변은 낭미충증으로 확진되었고, 특히 초음파 검사에서 병변의 내부에서 보이 고에코부는 두절을 포함한 병재성 소결절이었다. 그러므로 연부조직내 병변이 내부 소결절을 가진 낭성병변일 경우, 감별진단에 연부조직 및 근육내 낭미충증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