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나라 성인의 잔존치아와 일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 Association between Remaining Teeth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in Korean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54463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 보건학과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5.18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41 p.; 26 cm

      • 일반주기명

        원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영훈
        참고문헌: p.33-41

      • UCI식별코드

        I804:45008-200000362369

      • 소장기관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among adults in local communities in South Korea. Methods: Of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7th Ko...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among adults in local communities in South Korea.
      Methods: Of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 2018), a total of 4,324 participants who underwent the oral examination and completed the mental health questionnaire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Using dental status records from the oral examinatio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in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Good (≥20)', 'Fair (11-19)', and 'Bad (≤10)'.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ral health status, dental examination indicators,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Finally, the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depressive symptoms, perceived stress levels, sleep duration, experience of planning suicide, psychological counseling related to planning suicide) was evaluat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Results::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3,117 participants (72.1%) were classified as Good (≥20), 594 (13.7%) were classified as Fair (11-19), and 613 (14.2%) were classified as Bad (≤10). After adjusting for major variables, the odds ratio of 'high depressive symptoms’ (assessed using participants’ scores for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10 points) (OR, 1.60; 95% CI, 1.08-2.36)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hose remaining number of teeth were classified as Fair, compared to the group whose remaining number of teeth were classified as Good.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experience of suicide plann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classified as Fair compared to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OR, 2.03; 95% CI, 1.21-3.41). On the other hand, the Poor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odds ratio (OR, 0.41; 95% CI, 0.17-0.98) of' experienced in mental counseling. Furthermor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mental health indicators between the group classified as Bad and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erceived stress levels, sleep dur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between the group classified as Normal and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Conclusion: Depressive symptoms and experience of suicide plan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Korean adults with a lower number of remaining teeth. Active oral health management efforts are therefore needed to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through managing the number of remaining functional teeth, and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ad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성인의 잔존치아와 일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윤지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지도교수 이 영 훈)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성인을 대상으로 잔존치아...

      우리나라 성인의 잔존치아와
      일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윤지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지도교수 이 영 훈)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성인을 대상으로 잔존치아 수에 따른 정신건강 지표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제7기(2016, 2018)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50세 이상 성인 중 구강검진과 정신건강 설문조사 문항에 모두 응답한 4,324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는 구강검진에서 치아상태를 조사한 기록을 이용하여 ‘양호군(20개 이상)’, ‘보통군(11-19개)’, ‘불량군(10개 이하)’ 으로 분류하였다. 잔존치아 수의 분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 구강건강 상태, 구강검진 지표, 정신건강 지표의 차이는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잔존치아 수의 분류와 정신건강 지표(우울 증상 수준, 스트레스 인지 수준, 수면시간, 자살 계획 경험, 자살 계획 정신상담)와의 독립적 관련성을 평가하여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 분류에 따라 양호군 3,117명(72.1%), 보통군 594명(13.7%), 불량군 613명(14.2%)이었다. 주요 변수를 보정한 후, 잔존치아 수 양호군을 기준으로 보통군인 경우의 ‘높은 우울 증상(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10점)’ 교차비(OR, 1.60; 95% CI, 1.08-2.36)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잔존치아 수 보통군인 경우의 ‘자살 계획 유경험’ 교차비(OR, 2.03; 95% CI, 1.21-3.41)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스트레스 인지수준, 수면시간, 자살 계획 정신상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잔존치아 수 양호군에 비해 불량군은 ‘정신상담 유경험’의 교차비(OR, 0.41; 95% CI, 0.17-0.98)가 유의하게 낮았지만, 우울 증상, 자살 계획 경험, 스트레스 인지 수준, 수면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우리나라 성인에서 잔존치아 수가 적은 경우에 우울 증상과 자살 계획 유경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적절한 구강기능이 가능한 잔존치아의 관리를 통해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구강건강 관리 노력이 필요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방법 4
      • Ⅰ. 서 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방법 4
      • 3. 자료분석 9
      • Ⅲ. 연구결과 11
      • 1. 잔존치아 수의 분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비교 11
      • 2. 잔존치아 수의 분류에 따른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 비교 13
      • 3. 잔존치아 수의 분류에 따른 구강건강 상태 15
      • 4. 잔존치아 수의 분류에 따른 구강검진 지표 17
      • 5. 잔존치아 수의 분류에 따른 정신건강 지표 비교 19
      • 6. 잔존치아 수의 분류에 따른 정신건강 지표와의 연관성 21
      • Ⅳ. 고 찰 24
      • V. 결 론 3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