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BMS 빅데이터를 이용한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효과 분석 : 강남대로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xclusive Median Bus Lane Operation Effectiveness Using BMS Big Data : Case Study at Gangnam-daer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7155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통공학과 , 2016. 2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34.0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ⅳ, 59 p.p. : 삽화, 도표 ; 26cm.

      • 일반주기명

        Analysis of Exclusive Median Bus Lane Operation Effectiveness Using BMS Big Data : Case Study at Gangnam-daero
        지도교수:김영찬
        참고문헌 :57 p.

      • 소장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4년 서울시는 도시 내 혼잡을 해소하고 버스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주요 간선도로 중앙에 버스통행을 위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였다. 그런데 2014년 기준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

      2004년 서울시는 도시 내 혼잡을 해소하고 버스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주요 간선도로 중앙에 버스통행을 위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였다. 그런데 2014년 기준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버스 통행속도는 19.9km/h로 일반차로를 이용하는 버스 통행속도 20.2km/h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서울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평균통행속도 감소는 중앙버스전용차로 내 정류장 정차용량 초과에 의한 것이라는 견해가 대다수이나 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BMS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내 정류장들의 정차면 용량 초과 현상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용량 초과 현상이 통행시간과 정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기위해 BMS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행시간, 정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차용량 초과 분석 결과 강남대로 양방향 모두 대부분의 정류장에서 정류장 정차면 용량초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양방향 모두 강남역 정류장에서 평일 정차면 용량 초과 현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통행시간을 분석한 결과 강남대로 양방향 모두 대부분의 정류장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버스의 통행시간(초/km)이 일반차로를 이용하는 버스 통행시간보다 짧게 나타났는데 강남역 부근에서만 역전된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시성 분석 결과 양방향 모두 0~1사이의 정시성을 가지고 있어 다른 지역의 버스차로 정시성과 비교했을 때 나쁘지 않은 정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차면 용량초과 현상과 통행시간, 정시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정차면 용량초과와 통행시간의 상관관계는 0.38로 나타났고 정차면 용량초과와 정시성의 상관관계의 경우 0.36으로 나타났다. 즉, 정차면 용량초과와 통행시간, 정시성의 상관관계는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차면 용량초과 현상은 정시성보다 통행시간에 미비하지만 조금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녹색시간비율(g/C), 정차시간, 정차대수와 정차면 용량 초과 현상과의 상관관계도 분석해 보았는데 그 결과 정차대수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다음으로 정차시간이 정차면 용량초과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C의 경우에도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경우 5월 한 달 자료를 이용하여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만 분석하였기 때문에 향 후 연구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여 서울시 전체 중앙버스전용차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운영평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04, Exclusive Median Bus Lane in Seoul were supposed to improve Bus Service quality. However now, Bus travel speed(km/h)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is 19.9km/h. This speed is slower than Bus travel speed in ordinary Bus Lane. Many felt that Bus...

      In 2004, Exclusive Median Bus Lane in Seoul were supposed to improve Bus Service quality. However now, Bus travel speed(km/h)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is 19.9km/h. This speed is slower than Bus travel speed in ordinary Bus Lane. Many felt that Bus stop capacity excess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diminished bus service quality. In this study analysed the Bus stop excess, travel time and reliability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Using BMS big data.
      A Bus stop capacity excess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analysis showed that most bus stop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exceeded the capacity limit. Such a capacity excess phenomenon mainly appears on weekday. A Bus travel time in Gangnam-daero analysis showed that most bus travel time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is less than ordinary bus lane. but, the bus travel time in Exclusive median bus lnae near Gangnam station is more than ordinary bus lane. A Bus stop Reliability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analysis showed that all bus stop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reliability were between 1 and 0. so, Exclusive median bus lane in Gangnam-daero reliability is good.
      In this study analysed two correlation analysis. One correlation analysis is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travel time. There is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travel time of 0.38,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Another correlation analysis is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reliability. There is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reliability of 0.36,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제 2 장 국내외 문헌고헌
      • 제 1 절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평가 관련 문헌 고찰
      • 제 1 장 서론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제 2 장 국내외 문헌고헌
      • 제 1 절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평가 관련 문헌 고찰
      • 제 2 절 대중교통 운영평가 지표관련 문헌 고찰
      • 제 3 절 문헌 고찰을 통한 운영평가 지표선정
      • 제 3 장 BMS 데이터 가공
      • 제 1 절 정차면 용량분석을 위한 데이터 가공
      • 제 2 절 통행시간(통행속도) 분석을 위한 데이터 가공
      • 제 3 절 배차간격(정시성) 분석을 위한 데이터 가공
      • 제 4 장 분석결과
      • 제 1 절 정차면 용량 분석 결과
      • 제 2 절 통행시간(통행속도) 분석 결과
      • 제 3 절 배차간격(정시성) 분석 결과
      • 제 5 장 결론 및 향후연구과제
      • 제 1 절 결론
      • 제 2 절 향후 연구과제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