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매간 왕비가 된 장경왕후 김씨, 광정태후 김씨, 선정태후 김씨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15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종실 강릉공 왕온의 3딸로 자매간에 왕비가 된 장경왕후 김씨, 광정태후 김씨, 선정태후 김씨를 중심으로 그들의 가계, 결혼, 그리고 왕비로서의 위치를 살핀 것이다. 먼저 3자매...

      이 논문은 종실 강릉공 왕온의 3딸로 자매간에 왕비가 된 장경왕후 김씨, 광정태후 김씨, 선정태후 김씨를 중심으로 그들의 가계, 결혼, 그리고 왕비로서의 위치를 살핀 것이다.
      먼저 3자매의 아버지 강릉공 왕온을 보면, 그는 고려 11대왕 문종의 손자이다. 왕온의 아버지 왕도는 문종의 아들이니, 그 가계의 위상이 높았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왕도는 왕자이긴 하지만 모후가 인경현비로, 정비의 아들은 아니었다. 왕도의 아들 왕온은 아버지로 인해 종실의 일원이긴 하나 강릉김씨 가문의 여성과 혼인하게 되어, 그 자녀들은 종실의 지위를 유지할 수 없는 처지가 되었다. 그들이 종실의 지위를 갖기 위해서는 왕실과 혼인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왕온에게는 6명의 자녀가 있는데, 이중 5명이 고려왕 인종의 5자녀와 첩혼을 하고 있다. 인종이 아들 태자를 위한 배필로 종실녀를 맞으려 배우자를 물색하다가 자신과 5촌 사이인 왕온의 딸을 태자비로 선택하면서 양가의 혼인이 시작되었다. 의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자신의 동생들 배우자를 처가에서 구하여, 3쌍 정도의 혼인이 이루어졌다. 다시 명종이 즉위한 후, 동생 평량공이 왕온의 4녀와 결혼하게 된다. 이처럼 왕온의 5자녀는 인종대에 시작하여, 여러 해에 걸쳐 양가가 5차례 중첩하여 혼인하고 있다. 왕들의 입장에서는 종실녀를 배우자로 맞아 왕실의 안정을 꾀하고자 한 것으로 짐작된다.
      결혼한 3자매가 나란히 의종비, 명종비, 신종비로 왕비가 되는 흔치않는 상황이 생겨났다. 일반적으로는 맏딸로 의종비가 된 장경왕후 김씨만이 왕비에 오를 수 있었다. 그러나 무신 난이 일어나 무신정권이 성립된 후, 무신들은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을 옹립 하였고, 다시 명종을 폐하고 동생 신종을 즉위시켰다. 이에 종실부인이었던 두 자매는 차례로 왕위에 올랐던 것이다. 세 왕비들은 종실녀로서 후계자를 낳았고, 광정태후 김씨와 선정태후 김씨는 자신의 아들이 왕위에 오르면서 태후의 지위에까지 이르렀다. 종실녀 출신 제1비이며, 태자의 어머니로 왕비의 지위에 있었기에, 그들은 왕비로서는 안정된 위상을 지녔으리라 짐작된다.
      이와 같이 3자매 왕비를 통해 종실 가문, 왕실 혼인, 왕비로서의 위상등을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hree queens who were sisters in the Goryo dynasty. They were queen consorts of King Euijong, King Myongjong, and King Sinjong. Their father was Wang On, Duke Gangneung, who had been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In fact, Wang On...

      This is a study on three queens who were sisters in the Goryo dynasty. They were queen consorts of King Euijong, King Myongjong, and King Sinjong. Their father was Wang On, Duke Gangneung, who had been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In fact, Wang On"s children could not maintain the membership unlike the father. In Goryo, the membership of the royal family was doomed to disconnect without a continuing marriage with royal members, such as kings, princes, and princesses. In Wang On"s case, even though he himself had the membership, his wife did come from a noble family. Therefore, his children could not possess the membership of the royal household.
      Wang On had six children. Five out of six offsprings repeated marriages with five children of King Injong. At first, Wang On"s first daughter became a wife of the crown prince during the King Injong"s reign. His two daughters and one son also married Injong"s two princes and a princess during the reign of King Euijong. In addition, his fourth daughter became a wife of Injon"s youngest son, too, during Myongjong"s reign. Thus, two families have married five times. As a result, five children of Wang On could obtain the position as the members of the royal household.
      In general, the crown succeeds to a crown prince. Thus, Wang On"s first daughter became a queen[Empress Jangkyong] according to her husband, King Euijong. However, Military Revolt happened in 1170. Military leaders removed King Euijong, and placed his brother[King Myongjong] in a king"s position. Later, a military leader, Choi, Chunghun, dethronded King Myongjong, and made his youngest brother[King Sinjong] as a new king. Because of those political disorders, King Euijong"s two brothers became kings and their wives obtained the position of the queens[Empress Dowager Gwangjung and Empress Dowager Sunjung]. During the Military Rule, it seemed that the political position of queens was not that high. On the other hand, the queens were the relatives of the kings, and had children, and became mothers of crown princes. Therefore, the position as queens might have been relatively sta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머리말
      • Ⅰ. 세 왕비의 가계
      • Ⅱ. 세 왕비의 혼인
      • Ⅲ. 세 왕비의 위상
      • 요약
      • 머리말
      • Ⅰ. 세 왕비의 가계
      • Ⅱ. 세 왕비의 혼인
      • Ⅲ. 세 왕비의 위상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씨족원류"

      2 김창현, "신라왕실과 고려왕실의 칭호" 한국고대사학회 (55) : 253-307, 2009

      3 남인국, "귀족사회의 전개와 동요" 국사편찬위원회 12 : 1993

      4 채웅석, "고려중기 외척의 위상과 정치적 역할" 한국중세사학회 (38) : 335-372, 2014

      5 권순형, "고려의 혼인제와 여성의 삶" 혜안 2006

      6 정용숙, "고려왕실족내혼연구" 새문사 1988

      7 윤경자, "고려왕실과 인주이씨와의 관계" 2 : 1965

      8 김창현, "고려왕실 외척의 등장과 왕위 계승방식의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46) : 47-97, 2016

      9 정용숙, "고려시대의 후비" 민음사 1992

      10 김기덕, "고려시대 봉작제 연구" 청년사 1998

      1 "씨족원류"

      2 김창현, "신라왕실과 고려왕실의 칭호" 한국고대사학회 (55) : 253-307, 2009

      3 남인국, "귀족사회의 전개와 동요" 국사편찬위원회 12 : 1993

      4 채웅석, "고려중기 외척의 위상과 정치적 역할" 한국중세사학회 (38) : 335-372, 2014

      5 권순형, "고려의 혼인제와 여성의 삶" 혜안 2006

      6 정용숙, "고려왕실족내혼연구" 새문사 1988

      7 윤경자, "고려왕실과 인주이씨와의 관계" 2 : 1965

      8 김창현, "고려왕실 외척의 등장과 왕위 계승방식의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46) : 47-97, 2016

      9 정용숙, "고려시대의 후비" 민음사 1992

      10 김기덕, "고려시대 봉작제 연구" 청년사 1998

      11 박용운, "고려사회와 문벌귀족가문" 경인문화사 2003

      12 "고려사절요"

      13 "고려사"

      14 황병성, "고려무인정권기연구" 신서원 1998

      15 "고려묘지명집성"

      16 남인국, "고려 중기 정치세력연구" 신서원 1999

      17 김병인, "고려 예종대 정치세력 연구" 경인문화사 2003

      18 이만열, "고려 경원이씨 가문의 전개과정" 21 :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1.05 2.15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