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청주목의 치소와 산성 ―원도심 발굴성과와 문헌자료의 보완 검토― = Ruling Place (Chiso) and Fortresses of Cheongju-mok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62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the history of a region, revealing how the center of government, Chiso (ruling place), existed is a basic problem to solve. In the case of Cheongju,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re is no disagreement that the town...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the history of a region, revealing how the center of government, Chiso (ruling place), existed is a basic problem to solve. In the case of Cheongju,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re is no disagreement that the town castle area, which was demolished by the Japanese in the 1910s, is considered to be Chiso; however, debates persist over the location of Chiso; e.g in the Seowon- Sogyeong during the Silla Dynasty period, several fortress areas in addition to the town castle were identified as Chiso. 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of Cheongju-mok Chiso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was relatively neglected and only briefly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other periods, but in recent years, it has gradually received attention as a number of related ruins and artifacts have been excavated along with the redevelopment of the original city center.
      In this context, this paper summed up the location, scale, movement, and relationship of the Cheongju-mok Chiso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by the summary of the excavation results accumulated so far in the original city center of Cheongju and complementary review of them with the literature.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aims to sum up th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scale, mobility, and relationship with nearby fortresses of Chiso in the Goyreo Dynasty period. While there are no clear traces of Chiso in the town castle area, it is suggested that specific stipulated roof tiles may be associated with Chiso. Additionally, evidence from nearby areas around the town castle, consecutive constructions of Silla and Goryeo relics, and the scale of military buildings near the fortress walls suggest that the scope of Goryeo Chiso might have been larger than the Joseon town castle.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the fortresses near the downtown area were not Chiso but were possibly utilized by local residents as alternative defensive fortress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is concluded that Chiso in Cheongju-mok in the Goryeo was located roughly within the town castle area, and it is unlikely that Chiso was moved like the counties in the coastal region. Despite an increase in the quantity of Goryeo relics and artifacts unearthed in the Cheongju’s original city center, there is still a lack of qualitative answers to several hypotheses. With more unexplored regions remaining, hopefully, future excavation surveys will yield noteworthy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 지역의 역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통치의 중심지인 치소가 어떻게 존재했는지를 밝히는 일은 기본적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이다. 청주지역의 경우 조선시대는 1910년대 일제에 의해 헐린 ...

      한 지역의 역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통치의 중심지인 치소가 어떻게 존재했는지를 밝히는 일은 기본적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이다. 청주지역의 경우 조선시대는 1910년대 일제에 의해 헐린 읍성 구역을 치소로 보는 데 이견이 없으나 신라 서원소경은 읍성 구역 외에 주변의 여러 산성이 치소로 비정되는 등 논의가 분분하였다. 반면에 고려시대 청주목 치소의 위치는 비교적 등한시되어 다른 시대와 맞물려 간략히 서술되는 수준에 그쳤는데, 근래 들어 원도심의 재개발에 따라 관련 유적과 유물이 다수 발굴되면서 서서히 관심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지금까지 누적된 청주 원도심 일대의 발굴성과를 정리하고 문헌자료와 보완 검토함으로써 고려시대 청주목 치소에 대해 위치와 규모, 이동 여부, 도심 인근 산성과의 관계 등을 정리하였다. 먼저 읍성 내부 구역은 치소의 존재 여부를 가릴 수 있을 정도로 뚜렷한 흔적이 아직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특정 명문 기와가 치소와 관련이 있음을 타진하였다. 이어서 읍성 외부 구역에서 신라와 고려의 유적이 연이어 조영된 사례, 성벽 부근에서 확인된 관영 건물지의 규모 등을 통해 막연하나마 고려시대 치소의 범위가 조선시대 읍성보다 컸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도심 인근 산성은 치소가 아니라 유사시 관민이 입보 산성으로 일부 활용했다고 보았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고려시대 청주목 치소는 대략 읍성 구역에 위치하였으며 혹여 연해 지역의 군현처럼 치소가 이동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간 청주 원도심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유적과 유물은 이전에 비해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질적으로는 여러 가설에 대해 여전히 해답을 주지 못하는 상태이다. 미발굴 지역이 더 많이 남아 있는 만큼 향후 발굴조사를 통해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