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대 동아시아 공역에서의 ‘공(功)’과 대구무술오작비 = ‘Gong(功)’ of the construction in Ancient East Asia and Deagu Musul Ozakbi(大丘戊戌塢作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597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대 동아시아 공역에서의 功과 功夫의 개념을 실마리로, 대구무술오작비에서의 공역의 축조과정과 오작지역의 성격을 분석한 논문이다. 오작비에서 볼 수 있는 功夫는 고대 중...

      본 논문은 고대 동아시아 공역에서의 功과 功夫의 개념을 실마리로, 대구무술오작비에서의 공역의 축조과정과 오작지역의 성격을 분석한 논문이다. 오작비에서 볼 수 있는 功夫는 고대 중국의 功이라는 개념에서 유래하였고 7세기 일본에서도 쓰였다. 이것은 고대 동아시아의 공역에서 국가가 공적 공역을 기획하고 추진할 때 노동량을 산정하는 개념이었다. 이러한 功夫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오작비에서 제시된 규모, 역부의 수와 역의 기간이 功夫를 통해 산출된 사실과, 오작 공역의 기획과 추진과정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공시함으로써 塢作이 중앙정부에 의해 공식적이고 합리적인 과정을 거친 공적 공역으로 추진된 것임을 논증하였다. 그러나 오작비의 功夫를 통해 6세기 후반 신라사회의 특수성도 엿보인다. 중고기 축조 금석문의 재지세력 역역 편성방식과 비교함으로써, 오작비가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공역에 대한 재지세력의 공동 대응방식과 추진방식을 검토하였다. 또한 공적 공역의 지휘자가 왜 지방관이 아닌 고위 승려인가라는 문제에 대해, 지금까지 제기되었던 여러 견해를 적용해봄으로써 오작지역이 두 도유나의 녹읍일 가능성이 있음을 추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nalyzes the procedure of construction labor(工役) and the principal subject of the Daegu Musul Ojakbi(大邱戊戌銘塢作碑: monument), based on the concept of “effort(功)” and “gongbu(功夫)” of construction labor in ancie...

      This thesis analyzes the procedure of construction labor(工役) and the principal subject of the Daegu Musul Ojakbi(大邱戊戌銘塢作碑: monument), based on the concept of “effort(功)” and “gongbu(功夫)” of construction labor in ancient East Asia, as a lead. The word “gongbu” found in the Ojakbi in Daegu City originates from the concept of “effort” and was also used in the 7th-century Japan. In construction labor of ancient East Asia, it was a concept of calculating quantity of labor when the government planned and prepared public labor for construc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gongbu,” this study was able to deduce the fact the scale of the construction suggested in the Ojakbi, the number of laborers and the duration of the construction were calculated using “gongbu” as well as the planning and preparation process of the Ojak(塢作) construction labor. By announcing such data, this study proves that the Ojak was processed as a public labor implemented through official and rational procedures by the central government. Also, through the “gongbu” of the Ojakbi, this study glimpsed into distinctive features of the Silla Dynasty society in the late 6th century. By examining the method which “gongbu” of Ojakbi suggested, this study examines the common method of reaction and preparation used against the opposition power that went against the construction labor. In addition, regarding the issue of why the chief commander of the public construction was not a provincial official but a high-ranking monk, this thesis deduces, by applying various opinions proposed thus far, the possibility of him being a “Nogeup (local taxation officer)” of the Doyuna(都維那) position in the Buddhist ord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eudaimonia1113@gmail.co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