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터키 문화 코드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Turkish Culture Co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5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터키 문화를 한 마디로 혼종성, 다양성으로 특징지을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여타 요소들이 간과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며, 이러한 요소들은 터키를 이해하는 이정...

      터키 문화를 한 마디로 혼종성, 다양성으로 특징지을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여타 요소들이 간과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며, 이러한 요소들은 터키를 이해하는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다양성이나 혼종성으로 명명할 수 있는 카테고리 안에는 많은 문화연구자들이 공통으로 도출할 수 있는 문화코드들이 존재한다. 이 글은 터키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를 몇 가지 문화코드로 정리 분석해 보고자 한 시도이다. 문화코드는 쉽게 이해하자면 문화적 특색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문화적 특색이 오늘날의 터키를 대변하고 표상하는 요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터키를 이해하기 위한 문화코드로 이슬람, 다문화 사회(혼종성), 집단주의, 가부장적 사회, 명예, 관용, 환대, 음식 등을 선별해 정리 및 분석하는 시도를 하지만, 문화의 가변성을 감안하면, 물론 다른 코드들이 첨가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터키가 다양한 문명을 품고 있으며, 동양과 서양, 이슬람과 세속주의, 전통과 현대 등 이중적이며, 복합적이며, 다양한 층위가 있는 국가라는 점을 감안하여, 이에 다가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터키인의 문화적 특징과 가치관을 이해하고 반영하는 대표적인 코드들은 터키인들의 의식 형성 패턴과 사회문화 이해에 지침이 되는 요소들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understand the social values of a society, one can take various paths out of which cul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 concepts. This is because culture is the means that enables one to effectively understand foundation and ethics, which allow...

      To understand the social values of a society, one can take various paths out of which cul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 concepts. This is because culture is the means that enables one to effectively understand foundation and ethics, which allows a nation or a society to form. To understand the Turkish culture and Turkish people’s ethnicity as a cultural code,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values which are oriented or embedded in Turkish society has been made by analyzing Islam, multicultural society (cultural hybridity), collectivism, patriarchal society, honor, hospitality, tolerance, food culture and so on. If cultural code can be briefly defined as the DNA and social instincts of accumulated social behavior, these codes, derived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Turkish culture, can serve as guidelines to estimate the disposition or characteristics, thoughts, and behaviors of Turks. French scholar Clotaire Rapaille said,“Culture code of a society is equivalent to a lock with a password.”This means the key to understand a culture depends on whether the password to the lock is found or not. Culture code can be said to be an academic field that displays race and identity of a society, and also, researching its footsteps, history, language, religion and diverse distribution can be directly said as the password to the DNA of social behavior. Turkey is consisted of various civilizations, and there is a need to approach the Turkish culture, considering the fact that Turkey has various social levels and dualities such as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slam and secularism, customs and modern time. Although representative codes that reflect the Turkish cultural aspects and values a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the formation of Turkish consciousness and their social culture, from now on, a more in-depth and comprehensive research needs to be set for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터키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 혹은 문화코드 3. 맺음말
      • 1. 머리말 2. 터키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 혹은 문화코드 3.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르코마르티니엘로, "현대사회와다문화주의, In 시앙스포총서8" 한울 2008

      2 윤재식외, "한국콘텐츠의세계시장진출확대를위한중국문화코드연구" 문화콘텐츠진흥원 2010

      3 서정민, "한국 콘텐츠의 해외시장 진출확대를 위한 중동/아랍문화코드 연구" 한국문화콘텐츠 진흥원 2011

      4 서재만, "터키인의의식구조, In 세계인의의식구조II"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7

      5 이희철, "터키, 신화와 성서의 무대, 이슬람이 숨 쉬는 땅" 리수 2002

      6 김대성, "터키 들여다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7 전국역사교사모임, "처음 읽는 터키사" 휴머니스트 2010

      8 이희수, "이슬람 문화" 살림 2003

      9 이난아, "오르한 파묵의 작품에 나타난 다문화적 요소" 한국이슬람학회 22 (22): 179-206, 2012

      10 이난아, "여성의 속박된 육체에관한 이야기<욜>, In 영화 속의 동 서양 문화" 2002

      1 마르코마르티니엘로, "현대사회와다문화주의, In 시앙스포총서8" 한울 2008

      2 윤재식외, "한국콘텐츠의세계시장진출확대를위한중국문화코드연구" 문화콘텐츠진흥원 2010

      3 서정민, "한국 콘텐츠의 해외시장 진출확대를 위한 중동/아랍문화코드 연구" 한국문화콘텐츠 진흥원 2011

      4 서재만, "터키인의의식구조, In 세계인의의식구조II"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7

      5 이희철, "터키, 신화와 성서의 무대, 이슬람이 숨 쉬는 땅" 리수 2002

      6 김대성, "터키 들여다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7 전국역사교사모임, "처음 읽는 터키사" 휴머니스트 2010

      8 이희수, "이슬람 문화" 살림 2003

      9 이난아, "오르한 파묵의 작품에 나타난 다문화적 요소" 한국이슬람학회 22 (22): 179-206, 2012

      10 이난아, "여성의 속박된 육체에관한 이야기<욜>, In 영화 속의 동 서양 문화" 2002

      11 최영길, "성 꾸란, 의미의 한국어번역"

      12 박치환, "문화콘텐츠와 문화코드"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1

      13 박지훈, "문화적 세계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6) : 191-224, 2011

      14 이희철, "문명의 교차로 터키의 오늘" 문학과 지성사 2012

      15 김정명, "명예 살인과 중동의 여성 문제" 10 (10): 2006

      16 정유연, "국내 인쇄광고에 나타난 한국인의 문화코드에 관한 연구 : 대한민국 광고대상 인쇄부문 수상작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7 "http://www.gennaration.com.tr/dunyadan/toplumun-kultur-kodu-sifreli-bir-kilit-gibidir/"

      18 Genc, Resat, "XI. Yüzyılda Türk Mutfağı Sempozyumu Bildirileri" Ankara 1988

      19 Türkdoğan, Orhan, "Türk Toplum Sistemi ve Yapısal Sorunları" IQ Kültür-Sanat Yayıncılık 2011

      20 Abdel-Rahman Ahmad Salem, "Osmanlı Hoşgörüsü (Editörler:Kemal H.Kapat ve Yetkin Yıldırım)" Timaş Yayınları 2012

      21 Triandis, Harry C., "An Etic-Emic Analysis of Individualism -Collectivism" 24 (24): 1993

      22 Anu Realo, "A Cross-Cultural Study of Collectivism: A Comparison of American, Estonian and Russian Students" 139 (139): 1999

      23 이희수, "9.11 테러와 이슬람세계 이해하기-이슬람" 청아출판사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 1.28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