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야[爲]’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연구 = Study on Diachronic Change of ‘하야(hay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39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achronically investigates the transition of “해(hae)", the conjugated form of “하-(ha-)” in modern Korean. ‘- + -아 (hʌ- + -a)’ in Middle Korean appear as ‘야(hʌya)’ or ‘여(hʌyə)’ and ‘야(hʌyya)'...

      This study diachronically investigates the transition of “해(hae)", the conjugated form of “하-(ha-)” in modern Korean. ‘- + -아 (hʌ- + -a)’ in Middle Korean appear as ‘야(hʌya)’ or ‘여(hʌyə)’ and ‘야(hʌyya)' or ‘여(hʌyyə)’ in the 16th century Korean. ‘(hʌy)’ form was achieved through the insertion of ‘y’, and ‘(hʌy)’ appeared in ‘야(hʌyya)' and ‘여(hʌyyə).’‘(hʌy)’ appears for the first time in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t the end of 16th century and this was formed through the ellipsis of ‘ya' or ‘yeo' from ‘야(hʌyya)' and ‘여(hʌyyə).’ This type of ‘(hʌy)’ form is seen in the southeastern dialect of Korean first and gradually spread up to central dialect of Korean until the 19th century. In modern Korean, ‘하여(hayeo)’ form is applicable with connective ending but not with final-endings, and in this case only ‘해(hae)’ form is acceptable. The reason ‘하여(hayeo)’ is impossible in the final-endings is that the final-ending ‘-아/어(-a/eo)’ was formed later in the period. When the stem was ‘-(hʌ-)’, ‘-아/어(-a/eo)’ was not formed, and since it is the ending that appears after the restructuring into ‘-(hʌy-)[해-(hae-)]’, only ‘해(hae)’ became possible. ‘햐(hya)’ form and ‘혀(hyeo)’ form that appear in dialects are the forms that cannot be developed from ‘-(hʌ-)’ but the forms that can be developed only after restructuring into ‘-(hʌy-).’ In other words, they were formed through the omission of word-final nuclear vowel and glide formation in the stage of ‘- (hʌ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두현, "현풍 곽씨언간 주해" 태학사 2003

      2 조항범, "청주시 토박이말 조사·연구" 청주시·충북대학교 국어생활연구소 2008

      3 박종희, "중세국어 활용형 ‘?야’(爲)의 음운론적 고찰" 국어국문학회 128 : 5-28, 2001

      4 김완진, "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에 대하여" 4 : 1971

      5 조항범, "주해 순천김씨묘출토간찰" 태학사 1998

      6 정승철, "이중모음" 태학사 2010

      7 안귀남, "이응태 부인이 쓴 언간의 국어학적 연구" 안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 : 213-239, 1999

      8 이숭녕, "이숭녕 국어학 선집1(음운편 Ⅰ)" 민음사 1988

      9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성김씨 김성일파 종택 한글 간찰, In 조선 후기 한글 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6" 태학사 2009

      10 곽충구, "아산지역어의 이중모음 변화와 이중모음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 : 2010

      1 백두현, "현풍 곽씨언간 주해" 태학사 2003

      2 조항범, "청주시 토박이말 조사·연구" 청주시·충북대학교 국어생활연구소 2008

      3 박종희, "중세국어 활용형 ‘?야’(爲)의 음운론적 고찰" 국어국문학회 128 : 5-28, 2001

      4 김완진, "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에 대하여" 4 : 1971

      5 조항범, "주해 순천김씨묘출토간찰" 태학사 1998

      6 정승철, "이중모음" 태학사 2010

      7 안귀남, "이응태 부인이 쓴 언간의 국어학적 연구" 안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 : 213-239, 1999

      8 이숭녕, "이숭녕 국어학 선집1(음운편 Ⅰ)" 민음사 1988

      9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성김씨 김성일파 종택 한글 간찰, In 조선 후기 한글 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6" 태학사 2009

      10 곽충구, "아산지역어의 이중모음 변화와 이중모음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 : 2010

      11 김차균, "변칙용언 연구" 한글학회 147 : 85-120, 1971

      12 최명옥, "변칙동사의 음운현상에 대하여-lɨ-, lə-, ɛ(jə)-, h-변칙동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4 (24): 41-68, 1988

      13 최전승, "문헌 자료에 반영된 음운론적 변이의 과정과 ‘하여(爲)>해’의 음성변화" 국어교육학회 96 : 339-358, 1998

      14 정인호, "모음연쇄의 음변화에 대한 시론, In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6

      15 유창돈, "모음변화 유형고"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 : 93-122, 1959

      16 박영준, "명령문의 국어사적 연구" 국학자료원 1994

      17 이광호, "동사어간 ‘하-’의 음운현상" 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4 : 99-116, 1985

      18 이진호, "국어 활용형에 적용되는 모음 축약" 언어교육원 40 (40): 177-194, 2004

      19 李東碩, "국어 이중모음에 대한 통시적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20 김완진, "국어 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1971

      21 김완진, "국어 모음체계의 신고찰" 진단학회 24 : 1971

      22 김정태, "국어 과도음 연구" 박이정 1996

      23 이광호, "경남방언의 이중모음에 대하여" 국어학회 6 : 161-184, 1978

      24 전철웅, "‘해(爲)’의 음운론적 이해, In 동천 조건상선생 고희기념논총" 형설출판사 251-266, 1986

      25 이현희, "‘하다’ 어사의 성격에 대하여-누러다류와 엇더다류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2 : 221-247, 1985

      26 정광, "‘하-’ 동사활용의 음운론적 해석, In 국어학신연구(약천 김민수교수 화갑기념)" 탑출판사 114-125, 1986

      27 고광모, "VjV의 축약에 대하여 ―‘바얌>뱀’ 형과 ‘바얌>뱜’ 형의 두 갈래 변화―"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5) : 131-170, 2009

      28 황문환, "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태학사 2002

      29 이숭녕, "15세기 모음체계와 이중모음의 Kontraktion적 발달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 : 1954

      30 배영환, "'-코' 말음 부사에 대하여" 국어문학회 48 (48): 63-8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