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Bidirectional Subcategorization in Russian Morphosynta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190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러시아어의 격지배 현상을 현존하는 격이론을 그 기본으로 하되,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지배’(government)는 통사적 머리(syntactic head)가 그 보어 (complement)에 특정한 특성 ...

      본 논문은 러시아어의 격지배 현상을 현존하는 격이론을 그 기본으로 하되,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지배’(government)는 통사적 머리(syntactic head)가 그 보어 (complement)에 특정한 특성 혹은 특질(property)를 부여하는 능력(ability)을 의미하는데, 이 과정을 ‘하위범주화’ (subcategorization)이라고 부른다. 러시아어 머리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지배하는 NP보어의 격을 결정한다. (예: pomogat’ + 여격보어, dostoin + 생격보어 등). 또한 통사적 머리는 특정 전치사를 지배할 수도 있으며, 그 특정전치사는 특정격의 보어를 지배한다. (예: nu?dat’sja + v + 전치격보어).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지배의 두 가지 형태가 전적으로 유사하며, 전치사(강세가 없는)가 명사의 기능적 투사 범주(the functionala projection of N)내의 '기능' 요소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러시아어가 '역과정'(reverse process), 즉 피지배자인 보어가 지배자(governor)와 유사한 지배현상을 부여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 하다. 예를 들어 po?ta와 같은 명사는 둘러 쌓인 공간, 혹은 건물이라는 의미적 시각에서는 전치사 v 를 쓰는 것이 논리적인데도 불구하고, 대신 전치사 na 를 취한다. 시간표현에서도 이와 같은 역과정을 자주 접할 수 있는데, 머리가 그 보어를 지배할 뿐만 아니라, 보어가 기능적 머리를 지배하는 두 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기능적 머리가 지니는 특성 혹은 특질이 본질적으로 동질적이라는 명제를 제시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2. “Forward” Subcategorization
      • 3. The Structure of NP
      • 4. Reverse Subcategorization
      • 5. Conclusion
      • Ⅰ. Introduction
      • 2. “Forward” Subcategorization
      • 3. The Structure of NP
      • 4. Reverse Subcategorization
      • 5. Conclusion
      • 참고문헌
      • Appendix
      • 국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추석훈, "러시아어 명사구 위치에서 부정사절의 제약" 러시아연구소 22 (22): 279-298, 2006

      2 Fowler,George, "The Syntax of the Genitive Case in Russian" University of Chicago 1987

      3 Babby, Leonard H, "Syntax of Argument Stru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4 Van Schooneveld, Cornelius, "Semantic Transmutations: Prolegomena to a Calculus of Meanings, I" Physsardt 1978

      5 Švedova, N.Ju, "Russkaja grammatika 2 v" Nauka 1980

      6 Borras, F. M, "Russian Syntax: Aspects of Modern Russian Syntax and Vocabul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7 Franks,Steven, "Parameters of Slavic Morphosyntax"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8 Chomsky, Noam,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2nd" Foris 1982

      9 Choo, Sukhoon, "Genitive-Initial Sentences in Russian and the Typology of Case Assignment" 40 : 153-174, 2007

      10 Yadroff, Michael, "Formal Properties of Functional Categories: The Minimalist Syntax of Russian Nominal and Prepositional Expressions" Indiana University 1999

      1 추석훈, "러시아어 명사구 위치에서 부정사절의 제약" 러시아연구소 22 (22): 279-298, 2006

      2 Fowler,George, "The Syntax of the Genitive Case in Russian" University of Chicago 1987

      3 Babby, Leonard H, "Syntax of Argument Stru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4 Van Schooneveld, Cornelius, "Semantic Transmutations: Prolegomena to a Calculus of Meanings, I" Physsardt 1978

      5 Švedova, N.Ju, "Russkaja grammatika 2 v" Nauka 1980

      6 Borras, F. M, "Russian Syntax: Aspects of Modern Russian Syntax and Vocabul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7 Franks,Steven, "Parameters of Slavic Morphosyntax"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8 Chomsky, Noam,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2nd" Foris 1982

      9 Choo, Sukhoon, "Genitive-Initial Sentences in Russian and the Typology of Case Assignment" 40 : 153-174, 2007

      10 Yadroff, Michael, "Formal Properties of Functional Categories: The Minimalist Syntax of Russian Nominal and Prepositional Expressions" Indiana University 1999

      11 Richardson, Kylie R, "Case and Aspect in Slav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9-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슬라브학회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of Slavic-Eurasian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5 0.58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