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래도시와 환경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917621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다운샘, 2004

      • 발행연도

        200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39.7 판사항(4)

      • DDC

        363.7 판사항(2)

      • ISBN

        8986471981 94048
        8986471817(세트)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미래도시와 환경 / 안성호 [외]지음.

      • 형태사항

        385 p. : 삽도 ; 23 cm.

      • 총서사항

        지역협력연구총서 ; 2

      • 일반주기명

        공저자: 김선태, 김정욱, 김해창, 官本憲一, 이창기, 임도한, 임수만, 정광조, 정찬호, 최병환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삼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인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주보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목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머리말 / 안성호 = 3
      • 1. 도시환경문제의 진단
      • 주요 환경현안 및 국책사업에서의 지속가능성 확보방안 / 김정욱
      • Ⅰ. 서론 = 15
      • 목차
      • 머리말 / 안성호 = 3
      • 1. 도시환경문제의 진단
      • 주요 환경현안 및 국책사업에서의 지속가능성 확보방안 / 김정욱
      • Ⅰ. 서론 = 15
      • Ⅱ. 성장과 공급위주의 경제개발과 그에 따른 환경영향 = 16
      • Ⅲ. 국책사업들의 문제점과 지속가능한 대안 = 19
      • 1. 발전소 건설사업 = 19
      • 2. 경부고속철도 = 21
      • 3. 인천국제공항 = 22
      • 4. 고속도로 건설사업 = 24
      • 5. 간척사업 = 26
      • 6. 경인운하 = 28
      • 7. 다목적댐 건설사업 = 29
      • Ⅳ. 지속가능한 국토환경보전 = 31
      • Ⅴ.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 34
      • Ⅵ. 맺으며 = 38
      • 우리나라 도시의 환경지속성 평가인자의 추이 / 김선태
      • Ⅰ. 서론 = 41
      • Ⅱ. 우리나라 환경지속성 지수의 평가 = 44
      • Ⅲ. 환경지속성 평가 인자별 환경부하량 및 환경질의 변화 추이 = 49
      • 1. 환경영향 기본 인자의 추이 = 49
      • 2. 에너지와 기온변화 = 50
      • 3. 대기오염 배출량과 공기질의 변화 = 52
      • 4. 소음 ·악취 등의 생활공해문제 = 56
      • 5. 수자원 및 수질오염 부하량의 변화 = 57
      • 6. 폐기물 부하량의 변화 = 62
      • Ⅳ. 도시 환경관리 체계의 분석 = 65
      • 1. 환경법률 및 제도의 변화 = 65
      • 2. 환경예산과 환경시설 투자의 분석 = 67
      • Ⅴ. 결어 = 70
      • 도시 지하수 자원의 중요성 / 정찬호
      • Ⅰ. 서론 = 73
      • Ⅱ. 대전광역시의 도시발달과 토지이용 현황 = 74
      • Ⅲ. 대전광역시 지하수 이용실태 = 76
      • Ⅳ. 지하수 용도별 이용현황 = 78
      • 1. 민방위 비상용 지하수의 이용실태와 중요성 = 78
      • 2. 약수의 분포와 이용실태와 수질현황 = 79
      • 3. 간이 및 소규모 급수시설의 이용실태와 수질 = 80
      • Ⅴ. 지하수의 수질화학 = 81
      • 1. 수소이온농도 = 82
      • 2. 전기전도도 = 83
      • 3. 수리화학적 유형 = 84
      • Ⅵ. 지하수 관리대책 및 결론 = 85
      • EU 환경거버넌스 체제연구 / 정광조
      • Ⅰ. 이 글의 목적 = 89
      • Ⅱ. EU 환경거버넌스 체제의 이론적 배경 = 90
      • 1. EU 환경거버넌스의 특징 = 90
      • 2. EU 환경거버넌스의 정책 기조 = 92
      • Ⅲ. EU 환경거버넌스의 생성과정 = 94
      • 1. 역사적 개관 = 94
      • 2. EU 환경거버넌스 탄생의 상황적 요인 = 95
      • Ⅳ. EU 환경거버넌스의 유형 = 99
      • 1. 아젠다 설정 과정 = 99
      • 2. 정책 수립과 기준설정 = 100
      • 3. 정책결정과 각 기관들간의 제도적 관계 = 103
      • Ⅴ. 환경거버넌스의 참여자 = 106
      • 1. 유럽위원회 = 106
      • 2. 유럽의회 = 107
      • 3. 각료이사회와 유럽 이사회 = 108
      • 4. 유럽사법재판소 = 109
      • 5. 유럽 환경위원회 = 110
      • 6. 기타 기관들 = 110
      • Ⅵ. 결론 = 111
      • 2. 도시환경과 생명
      • 생태도시의 철학적 고찰 / 최병환
      • Ⅰ. 들어가는 말 = 117
      • Ⅱ. 생태도시의 존재론적 고찰 = 120
      • 1. 인간의 기본적 욕구와 삶의 질 = 120
      • 2. 삶의 공간으로서의 도시 = 120
      • 3. 도시의 생태적 요청 = 123
      • 4. 생태도시의 존재론적 근거 = 127
      • 5. 생태도시의 특성 = 132
      • Ⅲ. 생태도시의 윤리학적 고찰 = 132
      • 1. 생태도시의 조성 = 133
      • 2. 자연과 문화 = 136
      • 3. 인간의 현실적 삶의 모델로서의 생태도시 = 139
      • 4. 생태도시의 의의 = 143
      • Ⅳ. 생태도시 구축을 위하여 = 144
      • 1. 인식의 전환 = 145
      • 2. 개인과 전체의 조화 = 146
      • 3. 인간과 자연의 화해 = 147
      • Ⅴ. 나오는 말 = 148
      • 인간욕망의 한계와 은유적 전망의 힘 / 임도한
      • Ⅰ. 환경오염의 심화와 생태문학의 출현 = 153
      • Ⅱ. 생태학적 상상력의 실제 = 156
      • 1. 시의식의 생태학적 전환 = 156
      • 2. 생태학적 시의식의 확장과 심화 = 168
      • Ⅲ. 은유적 전망의 힘과 생태문학의 과제 = 191
      • 근대의 반성과 생태주의 / 임수만
      • Ⅰ. 생태주의란 무엇인가 = 199
      • Ⅱ. 한국문학에서의 생태주의 = 205
      • Ⅲ. 한국 생태시의 전개 양상 = 208
      • 1. 생태위기의 고발과 문명비판 = 208
      • 2. 생태학적 상상력의 확산 = 214
      • 3. 생태학적 상상력의 내면화 = 221
      • Ⅳ. 생태문학의 의의와 과제 = 227
      • 3. 지속가능한 미래도시를 향하여
      • 에너지자원 절약형 도시 만들기 / 이창기
      • Ⅰ. 머리말 = 239
      • Ⅱ. 선진국의 온실가스감축에 대한 벤치마킹 = 240
      • 1. 미국 = 241
      • 2. 유럽 = 248
      • 3. 일본 = 251
      • 4. 필리핀 = 255
      • Ⅲ. 에너지자원 절약형 도시 만들기 전략 = 257
      • 시민주체의 어메니티 도시 만들기 / 김해창
      • Ⅰ. 21세기 어메니티 도시를 지향하며 = 263
      • 1. 21세기와 어메니티 = 263
      • 2. 어메니티란 무엇인가 = 264
      • 3. 어메니티와 '지속가능성(SD)' 그리고 마을만들기 = 266
      • Ⅱ. 외국의 어메니티 도시만들기운동 사례 = 268
      • 1. 푸르고 아름다운 도시 만들기 = 268
      • 2. 도심하천 호수 살리기 = 271
      • 3. 청정 대안에너지 도입하기 = 274
      • 4. 지역산업 일으키기 = 277
      • 5. 도서관 확장 정보마을 만들기 = 281
      • 6. 환경지자체 만들기 = 283
      • 7. 생태공동체 만들기 운동 = 287
      • Ⅲ. 어메니티 도시만들기의 전략 = 291
      • 1. 어메니티 마을만들기의 소프트 전략 = 291
      • 2. 어메니티 도시만들기를 위한 제언 = 292
      • Exploring East Asian Sustainable Governance via Municipal International Cooperation / 안성호
      • Ⅰ. Introduction = 297
      • Ⅱ. Global Public Goods and the Potential of MIC = 300
      • Ⅲ. Evolution, Tools and Issues of MIC = 303
      • Ⅳ. Broadening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and Exemplary Cases of Sustainable MIC = 309
      • Ⅴ. The Need for an MIC Approach to East Asian Sustainable Governance = 317
      • 지속가능한 동북아공동체 형성을 위한 지자체국제협력 / 안성호
      • Ⅰ. 세방화시대의 지방자치외교 = 327
      • Ⅱ. 통상외교와 국제협력 = 328
      • Ⅲ. 지자체국제협력(MIC)의 잠재력 = 329
      • Ⅳ. 동북아 정세와 MIC의 필요성 = 330
      • Ⅴ. MIC의 여건 조성 : 동북아의 지방분권화 = 333
      • Ⅵ.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교량적 역할 = 334
      • Ⅶ. 동북아공동체 형성을 위한 MIC의 실천과제 = 335
      • 維持可能な社會(Sustainable Society)をめざして / 官本憲一
      • Ⅰ. 環境問題の基本的な考え方 = 339
      • 1. 公害から環境問題へ = 339
      • 2. 日本の經驗による理論的敎訓 = 343
      • Ⅱ. Sustainable Societyをめざして = 348
      • 1. End of Pipeからシステム改革へ = 348
      • 2. Sustainable Society(以下SSと略す) = 350
      • 3. 勞動から仕事へ, 需要から必要へ = 352
      • 4. 外來型開發から內發的發展へ = 353
      • Ⅲ. 足元からSSを = 355
      • 1. EUのSustainable City(Community) = 355
      • 2. 日本における環境再生 = 356
      •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하여 / 官本憲一
      • Ⅰ. 환경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사고 = 359
      • 1. 공해로부터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으로 = 359
      • 2. 일본의 경험에 의한 이론적 교훈 = 365
      • Ⅱ.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해서 = 371
      • 1. End of pipe로부터 시스템 개혁으로 = 371
      • 2. Sustainable society = 376
      • 3. 노동에서 일로 수요에서 필요로 = 378
      • 4. 외래형 개발에서 내발적 발전으로 = 379
      • Ⅲ. 발밑에서부터 SS를 = 381
      • 1. EU의 sustainable city = 382
      • 2. 일본에서의 환경재생 = 3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