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별에 따른 정서표현 양가성이 전문적 도움추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Seeking According to Gend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Self-Conceal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061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녀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개방(접근요인)과 자기은폐(회피요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남녀 집...

      본 연구는 남녀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개방(접근요인)과 자기은폐(회피요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남녀 집단별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창원지역 중학교 3학년 남녀 청소년 43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정서표현 양가성과 전문적 도움추구 관계에서 자기개방의 매개효과는 여학생의 경우에만 나타나, 정서표현 양가성이 도움추구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개방을 통해서는 도움추구를 높여주는 간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은폐의 경우, 남녀모두 자기은폐가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방어적 양가성이 도움추구에 직접적으로 혹은 자기은폐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남자의 경우 관계관여 적 양가성이 직접적 혹은 자기은폐를 통해 간접적으로 도움추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여자의 경우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자기은폐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도움추구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valuat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self-concealment on the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andthe differences of this effect between genders. For...

      The present study evaluat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self-concealment on the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andthe differences of this effect between genders. For this study, 433 male and female third year middleschool students in the Changwon area particip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i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In term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alment, self-defensiveambivalence showed negative direct correlation with help-seeking behavior or indirect negative correlationthrough self-concealment for both gender. And male student showed the relationship-focused ambivalence and help-seeking behavior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indirec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lationship-involved ambivalence and help-seeking behavior only through selfconcealme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