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회화에서‘제너러티브’ 이미지의 외연 확장과 그 표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2369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 미술학과 회화전공 , 2018.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59.95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Generative' images and its expression in contemporary paintings

      • 형태사항

        2책.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지석철
        1권: 학위논문. -- 2권: 작품집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2927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ent of this study lies, in a narrow sense, in examining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 generative images within the art of analog paintings concerning image production systems by way of computers and the characterized generative images thro...

      The intent of this study lies, in a narrow sense, in examining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 generative images within the art of analog paintings concerning image production systems by way of computers and the characterized generative images through those algorithmic processes of production. Furthermore, this expansion is an essential and differential element which contributes to the examination into the traits and purpose of generative ima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nterpret in detail in what way generative images are produced through system, principle, process, method, and purpose in a work of art as well as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artworks which the researcher studied were from 2004 to 2017 on ‘memory and dreams’ and the main subjects of expression were on the writer’s subjective, emotional reactions. The researcher has expanded those works throughout various image territories, such as painting, installation, architecture, media, and commercial media. The researcher’s early works in 2004 began in collage which utilized automatism with materials such as glass and wax, and since 2007 the work shifted to three-dimensional plane in which many layers of mixed media were built up on a surface of acrylic paint in order to generate the image. From 2012 she extended her work outside of the canvas frame, expanding from a visual image on a limited two-dimensional space to a larger space with three-dimensional installation. Currently, her work is experimenting in emergent generative images, using computer technology to convert her flat painting images into graphic design to expand into architecture, media, and commercial media.
      One can observe a consistency amid the series of her research works. That is, the consistent thematic consciousness of ‘dreams and memories about experiences,’ as well as the generative aspect found in the specific process of the images that are manifested in each of her works. In computer art, images are manifested by the fixed system of generative art and the development algorithm of that system. One can find generative development algorithms in her research works in the way the procedure of the work is founded on the basic qualities of curves and oblique angles. These characteristics, as particular combination shapes, form shape modules and furthermore these shape modules develop into patterns or configurations. In addition, the general elements in an artwork follow a method and process of forming a general image according to a particular sequence (linear or non-linear emergent sequence) or algorithm. In other words, there exists a systematic visual language in her research works and because they are produced by that system, the images in those works can sufficiently be interpreted as generative images.
      It is true that the research works share the generative aspects with generative art on a genre perspective. However, unlike the narrow definition of generative art, they hold the characteristics of intrinsic painting-like quality of art. Herein lies the determining intent in expanding the research works from a genre definition of generative art to ‘generative imag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artistic elements on the particularity of the medium, spontaneity and coincidence, emergent feedback in addition to systematic algorithmic elements of generative art. These elements are the mechanisms necessary to expand the genre definition of generative art, which works solely on a systematic level, into ‘generative image’ on an artistic, aesthetic perspective, and simultaneously are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research works. Therefore, the artistic expansion of generative art is also the element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enerative process of said works and the images produced through that process.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generative images in the research works, the qualification elements and modular perspective as well as sequential algorithm of the visual language were analyzed against how the generative system unfolds. As a result, even though research works looked as if they were unfolding under random improvisation and coincidence, the internal mechanism had a generative aspect which accommodated substantial opportunity, and this aspect could be verified to use elements which initiated painting-like visual language. Although qualifying elements of curves and oblique angles were used as basic elements in the research works, they had their own inherent way of unfolding a modular combination structure as well as pattern combination of particular methods. In addition, one could also discover sequential elements which created images by developing these elements. Although there are linear and non-linear developments in the algorithms that developed images in the research works, non-linear sequences outnumbered. Emergent elements were converted to various media through non-linear sequences, expanding the researcher’s work into completely new territory.
      From an interpretational viewpoint, the generative images ultimately found in the research works were largely from personal and existential aspects. The generative elements that the researcher introduces in her paintings are because through dreams and memories that come from experience and emotion works through the subconscious to have generative, emergent, process-centered traits. The essence of memory, vision, and emotion do not exist as a fixed image or idea but, like the nature of desire, continually fluidly generates and annihilates. Conclusively, what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ay through generative visual language images in her research works is that the essence of mind and matter persistently selects production as its nature. This is the very point at which the research works inevitably convey generative im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좁은 의미에서 컴퓨터에 의한 이미지 생성의 시스템과 그 생성의 알고리즘적 절차에 의해 특성화되는 제너러티브 이미지를 아날로그적 회화 예술 안에서의 제너러티브 이미지로 ...

      본 연구는 좁은 의미에서 컴퓨터에 의한 이미지 생성의 시스템과 그 생성의 알고리즘적 절차에 의해 특성화되는 제너러티브 이미지를 아날로그적 회화 예술 안에서의 제너러티브 이미지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확장은 연구작품의 본질적이고 차별적인 요소로서 제너러티브적 이미지의 성격과 목적을 규명하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목적과 더불어 연구작품에서 제너러티브적 이미지가 어떠한 체계, 원리, 절차, 방법, 목적에 따라 생성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연구자의 2004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구작품은 ‘기억과 꿈’,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자 개인의 주관적, 감정적 반응을 주된 표현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회화, 설치, 건축, 미디어, 상업적 매체 등의 다양한 이미지 영역으로 확장해 왔다. 연구자의 2004년 초기작품은 유리와 왁스 등의 재료를 이용한 자동기술법의 콜라주로 시작되었고, 2007년부터는 아크릴을 이용한 평면의 여러 레이어의 혼합으로 색을 겹겹이 쌓아 올려 이미지를 생성하는 입체적 평면작업으로 전환되었다. 2012년부터는 캔버스의 틀 안에서 벗어나 제한적인 공간 안의 2차원의 시각 이미지를 공간으로 확장시키는 3차원의 설치 작업으로 이어졌다. 현재는 평면의 회화 이미지를 컴퓨터 기술을 이용해 그래픽 디자인으로 전환시켜 건축, 미디어, 상업적 매체로 확장되며 창발적 제너러티브 이미지 실험을 전개하고 있다.
      일련의 연구작품의 전개 과정에서 하나의 일관성이 관찰된다. 그것은 ‘경험에서의 꿈과 기억’이라는 일관된 주제의식과 더불어 각각의 작품에서 이미지가 발현되는 구체적인 절차에서 제너러티브적 측면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컴퓨터 아트에서는 제너러티브 아트의 일정한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전개 알고리즘에 의해서 이미지를 발현된다. 연구작품에서도 만곡과 사각의 기본 자질을 토대로 진행되는 제너러티브적 전개 알고리즘을 찾아 볼 수 있다. 이 자질들은 특정한 결합 형태로서 형태 모듈을 형성하며, 나아가 이 형태 모듈들은 패턴이나 형상으로 전개된다. 또한 작품 안의 전체 요소는 특정한 시퀀스(선형적이거나 비선형적인 창발의 시퀀스)와 알고리즘에 따라 전체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식과 절차를 따른다. 즉 연구작품에는 체계적인 시각언어 시스템이 존재하고 그 시스템에 따라 연구작품이 생성된다는 점에서 연구작품의 이미지를 충분히 제너러티브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작품이 장르적 의미의 제너러티브 아트와 제너러티브적 측면을 공유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연구작품은 좁은 의미의 장르적 제너러티브 아트와 달리 회화적 예술의 본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연구작품을 장르적 의미의 제너러티브 아트를 넘어 ‘제너러티브 이미지’로 확장하려는 본 논문의 결정적 의도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너러티브 아트의 시스템적, 알고리즘적 요소에 더해 매체 특이성, 즉흥성과 우연성, 창발적 피드백의 예술적 요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순전히 시스템적으로 작동하는 장르적 의미의 제너러티브 아트를 예술적, 미학적 관점에서제너러티브 이미지로 확장하는 데 필요한 장치들이며, 동시에 연구작품에서 보이는 고유한 특성화 요소들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너러티브 아트의 예술적 확장은 곧 연구작품 안에서의 제너러티브적 과정성과 그 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를 규명하기 위한 요소들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작품의 제너러티브적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작품이 어떠한 제너러티브적 시스템에 의해 전개되는지를 시각언어의 자질 요소와 모듈적 관점, 그리고 시퀀스적 알고리즘에 의해서 분석하고 있다. 그 결과 연구작품은 무작위적 즉흥성과 우연성에 의해서 전개되는 것처럼 보임에도 불구하고, 그 내적 기제에는 질료성의 계기를 수용하는 제너러티브적 측면이 있으며, 이 측면이 회화적 시각적 언어를 창발하는 요소들로 쓰이고 있음이 확인된다. 연구작품에는 주로 만곡과 사각의 자질적 요소들을 기본 요소로 하되 이를 특정한 방식의 모듈적 결합 구조와 패턴적 결합으로 전개시키는 고유한 방식이 있다. 또한 이 요소들을 전개시켜 이미지를 창출하는 시퀀스적 요소가 있음도 확인된다. 연구작품에서 이미지를 전개하는 알고리즘에는 선형적 전개와 비선형적 전개가 있지만, 비선형적 시퀀스가 우세한 것이 확인된다. 비선형적 시퀀스에 의해 창발적 요소는 다양한 매체로 전환되어 전혀 다른 새로운 영역으로 연구자의 작업을 확장시킨 것을 볼 수 있다.
      해석적 측면에서는 궁극적으로 연구작품에서 보이는 제너러티브적 이미지는 크게 사적인 측면과 실재성의 측면에서 검토되고 있다. 연구자가 제너러티브적 요소를 회화작업에 도입하는 것은 경험에서 오는 꿈과 기억, 그에 대한 감정적 작용이 무의식을 통한 생성적이고 창발적인 과정적 특성을 갖는다는 데 있다. 기억, 비전, 감정의 본질은 고정된 이미지나 관념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욕망의 본성이 그런 것처럼 끊임없이 유동적으로 생성 소멸한다. 결국 연구자가 연구작품의 제너러티브적 시각언어 이미지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정신과 실재의 본성이 끊임없는 생성을 그 본질로 한다는 점이다. 바로 이 점에서 연구작품은 필연적으로 제너러티브 이미지를 수반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문제 및 방법 2
      • 3. 연구의 절차 5
      • I. 제너러티브 아트의 형성과 전개 10
      •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문제 및 방법 2
      • 3. 연구의 절차 5
      • I. 제너러티브 아트의 형성과 전개 10
      • 1. 제너러티브 아트의 개념적 규정 11
      • 2. 현대미술과 제너러티브 아트 16
      • 2.1. 무의식 시스템의 자동기술 16
      • 2.2. 액션의 제너러티브적 문법 20
      • 2.3. 미니멀리즘 24
      • Ⅱ. 문제 설정과 방법론 27
      • 1. 선행연구검토 27
      • 1.1. 장르로서 ‘제너러티브 아트’의 제 계열 27
      • 1.1.1 알고리즘에 의한 컴퓨터 아트 27
      • 1.1.2. 버츄얼 이미지 31
      • 1.2. 제너러티브의 이미지의 제 양상 35
      • 2. 문제제기와 방법론 46
      • 2.1. 제너러티브 이미지의 예술적 확장의 필요성 제기 46
      • 2.2. 제너러티브 아트의 예술적 확장을 위한 구성적 조건 49
      • 2.2.1. 매체 특이성 49
      • 2.2.2. 즉흥성과 우연성의 도입 51
      • 2.2.3. 창발적 피드백 53
      • III. 연구작품에서 제너러티브 측면의 전개 양상 54
      • 1. 자동기술법의 콜라주 54
      • 2. 혼합재료를 이용한 회화의 입체적 표현 59
      • 3. 현실 공간으로서의 회화의 조각적 확장 62
      • 4. 자연과 인공적 이미지로 만들어진 가상공간 66
      • IV. 연구작품에서 제너러티브 이미지의 요소와 구조 분석 및 해석 71
      • 1. 연구작품의 시각언어 체계 분석 73
      • 1.1. 시각언어의 주요 자질 및 모듈 분석 74
      • 1.1.1. 주요 자질 요소 추출 74
      • a. 만곡 자질 74
      • b. 사각 자질 78
      • 1.1.2. 주요 모듈 요소 추출 분석 83
      • a. 만곡과 사각의 형태 모듈 83
      • b. 형상 및 패턴 모듈 97
      • 1.1.3. 자질 및 모듈 분석 106
      • 2. 모듈 요소들의 전개 알고리즘 108
      • 2.1. 선형 시퀸스 110
      • 2.2. 비선형적 창발의 시퀀스 111
      • 2.2.1. 비선형 시퀀스 111
      • 2.2.2. 창발성의 요소 117
      • a. 질료의 물질성 117
      • b. 다매체적 질료의 혼성 124
      • 3. 제너러티브 표현의 비교 분석 134
      • 3.1. 폴리 아펠바움(Polly Apfelbaum) 134
      • 3.2. 타라 도노반 (Tara Donovan) 143
      • 4. 제너러티브 요인의 해석 153
      • 4.1. 꿈과 기억의 시각언어 153
      • 결 론 168
      • 참고 문헌 172
      • Abstract 17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상욱, "디지털 아트", 경북대학교출판부,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1

      2 가와노, 시로시, "『예술 기호 정보』", 중원문화, 진중권 옮김, 중원문화, 1990

      3 박정호, "『컴퓨터 알고리즘』", 상조사, 1996

      4 김복영, "《이미지와 시각언어》", 한길아트, 한길아트, 2006

      5 구딩, "『추상미술 (Abstract Art)』", 정무성 옮긴, 열화당, 2001

      6 박일호, "『예술과 상징 상징형식』", 예전사, 예전사, 2006

      7 박상현, "「제너레티브 아트의 구조」", 『정보처리학회지』, 제18권, 제4호, , 7월, 2011

      8 이원곤,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9 조르주, "세바, 『초현실주의』, 최정아 옮김", 현대신서, 2005

      10 피오나, "브래들리, 『초현실주의』, 김금미 역", 열화당, 2003

      1 김상욱, "디지털 아트", 경북대학교출판부,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1

      2 가와노, 시로시, "『예술 기호 정보』", 중원문화, 진중권 옮김, 중원문화, 1990

      3 박정호, "『컴퓨터 알고리즘』", 상조사, 1996

      4 김복영, "《이미지와 시각언어》", 한길아트, 한길아트, 2006

      5 구딩, "『추상미술 (Abstract Art)』", 정무성 옮긴, 열화당, 2001

      6 박일호, "『예술과 상징 상징형식』", 예전사, 예전사, 2006

      7 박상현, "「제너레티브 아트의 구조」", 『정보처리학회지』, 제18권, 제4호, , 7월, 2011

      8 이원곤,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9 조르주, "세바, 『초현실주의』, 최정아 옮김", 현대신서, 2005

      10 피오나, "브래들리, 『초현실주의』, 김금미 역", 열화당, 2003

      11 마이클, "러시, 『뉴미디어 아트』, 심철웅 옮김", 시공아트, 2003

      12 지그문트, "프로이드, 『꿈의 심리학』, 정명진 옮김", 부글북스, 2009

      13 박순기, "『기하학으로 본 데이비드 호크니의 꼴라주』", 이마지네, 이마지네, 2014

      14 제니퍼, "로빈슨, 『감정, 이성보다 깊은』, 조선우 옮김", 북코리아, 2015

      15 이혜리, "「베르그송 이론에서 해석하는 비선형과 생성 예술연구」", 『한국영 상학회논문집』, 제10권, 제3호, , 12월, 2012

      16 권경아, 윤준성, "「오토매틱 드로잉과 생성예술: 자율적 시스템으로서 무의식」", 『한국영상학회논문집』, 제15권, 제1호, , 2월, 2017

      17 신현숙, "『초현실주의:예술 각 분야에 나타난 모험 정신과 그 한국적 수용』", 동아, 동아출판사, 1992

      18 박상현, "제너레티브 아트: 필립 갈란터의 형식적 분류에 대한 반 론을 중심으로",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제 31호, , 10월, 2009

      19 최장섭, "「제너레티브 디자인 방법론의 예술 및 디자인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제11권, 제4호, , 10월,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