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문화 재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06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국내 문화에 재적응하는 경험을 심리적 경험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국내 문화에 재적응하는 경험을 심리적 경험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은 국내 문화 재적응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국내 문화 재적응 경험에 영향을 준 맥락은 무엇인가? 셋째,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국내 문화 재적응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OECD 비회원국에서 청소년기를 5년 이상 보내고 한국 대학에 진학하고자 귀국한 국내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접근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 모집은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자가 지인들로부터 연구에 적합한 사람들을 소개받거나 이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가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여겨지는 지인들에게 연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면담은 일대일 형식으로 각 참여자당 1회 실시되었고, 소요시간은 약 90분이었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추가로 전화 면담이 진행되었다. 면담 내용은 사전 동의하에 녹음하였고, 녹취된 자료는 연구자가 직접 전사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서 제시한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6개의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었고, 이는 18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군으로 묶였으며, 3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드러난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국내 문화 재적응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범주는 ‘심리 내적 경험’이며, 이에 대한 주제군은 ‘사회의 소수자로서의 혼란과 어려움’, ‘내 나라에 사는 안정감’, ‘여전히 남아있는 적응과제’이며, 이에 대한 주제는 ‘낯선 한국생활에 진입하는 두려움',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외로움', ‘비교하며 찾아온 위축감', ‘한국 사람들의 시선이 의식됨', ‘기대와 다른 한국에 답답하고 안타까움', ‘모국에서의 편안함', ‘유능함을 인정받음'이다.
      두 번째 범주는 ‘성장의 경험'이며, 이에 대한 주제군은 ‘나를 찾아가는 여정', ‘나를 키우는 발판'이며, 이에 대한 주제는 ‘재적응의 의미를 발견함', ‘나만의 방식으로 한국에 적응하기', ‘기회의 땅', ‘나의 확장'이다.
      세 번째 범주는 ‘지지의 경험’이다. 이에 대한 주제군은 ‘나를 도왔던 지지’, ‘필요했지만 얻지 못했던 지지’이다. 이에 대한 주제는 ‘스스로 견디려는 노력’, ‘주변 사람들의 지지’, ‘살기 좋은 한국의 생활환경’, ‘때로 우리끼리 때로 같이’, ‘받아들여지기’이다.
      본 연구는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이 국내 문화에 재적응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했고, 이에 영향을 주는 맥락이 무엇이며, 재적응 경험이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드러냄으로써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국내 문화 재적응 경험이라는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였다. 이를 통해 재적응 경험이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에게 소수자의 삶을 경험하게 하지만 한편으로는 나를 키우는 성장의 경험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이 국내 문화에 재적응할 때 겪는 심리적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들을 돕는 상담 실제에 유용한 기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연구 및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t explor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re-acculturation to home culture of ru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To this end, 10 students who returned to Korea to attend Korean universities after spending more tha...

      This study aims to at explor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re-acculturation to home culture of ru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To this end, 10 students who returned to Korea to attend Korean
      universities after spending more than five years of adolescence in non-OECD
      countrie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data analysis, Colaizzi’s research method was applied amo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46
      formulated meanings, 19 themes, 5 thematic groups, and 2 categories were drawn
      to the experiences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re-acculturation to home
      culture of ru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The first category is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the theme clusters are
      ‘social disruption and difficulty as a minority', ‘stability in my country',
      ‘still adaptive tasks', and the themes of this are 'the difficulty of entering
      unfamiliar Korean life', 'the loneliness of belonging nowhere', 'atrophy
      through comparison' 'getting on other Korean's nerves', 'The frustration and
      sadness of Korea, which is different from expectations.', 'home comfort',
      'recognized for my ability', 'a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ntry
      into a new society'.
      The second category is ‘Experience of growth’, and the theme clusters are
      ‘the journey to Find myself’and‘the foundation for raising myself’, and the
      themes of this are ‘finding the meaning of re-adaptation’,‘adaptation to
      Korea in my own way’, ‘land of opportunity’ and ‘expansion of myself'.
      The third category is the ‘Experience of support'. and the theme clusters
      are ‘support that helped me', ‘support that I needed but didn't get', and the
      themes of this are 'sometimes between us' and 'accepted'.
      This study understands the essence of the phenomenon that re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have experienced in re-acculturation to home
      culture, what the context influences, and what the re-acculturation experience
      mean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cculturation experience
      allows re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to experience life as
      a minority,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function as an experience of growing
      up.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nderstands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when they re-adapt to home culture and provided a useful foundation for
      counseling practice to help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of counseling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studies was suggest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